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문화중심도시의 구상과 사례연구
  • 환경과조경 2006년 3월

정부는 지난해부터 지역균형 발전차원에서 광주를 ‘아시아문화 중심도시’로, 경주는 ‘역사문화 중심도시’로, 전주는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부산은 ‘영상문화 중심도시’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중심도시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행정, 문화라는 범주와 실천 양식들이 삶의 문화를 위해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문화산업은 미래를 여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며, 이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안겨주는 영역이다. 오래전에 문화를 주목했던 세계의 도시중에는 문화적 전통을 살려 산업화로,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본 원고에서는 문화도시의 의미와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상 해보고 일본과 뉴질랜드, 덴마크 및 우리나라 등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으로 하였다.

문화도시
문화중심도시(문화도시)는 문화적 삶을 자생적으로 키워 갈 수 있는, 성찰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민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평등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도시문화가 도시라는 공간을 문화화하고 그 속에 시민문화를 배치하는 방식이라면 문화도시는 문화라는 삶의 양식으로 공간을 생성해 문화시민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다소 적극적으로 말하자면 문화는 생명이다. 모든 생명체들은 스스로의 삶의 법칙에 따라 반응하며 그 소임을 다하듯 인류의 문화 또한 여러 국면의 저항과 갈등을 극복하고 보다 고양된 가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전통적인 경제 이론에서 국가나 도시와 같은 공간적 단위의 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자본(physical capital)의 축적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교육을 통한 인적 자본(human capital)의 투자와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요한 자연 자본(natural capital)의 형성이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에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이와 같은 세가지 형태의 자본 축적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문화자본의 중요성이 최근 문화경제학적 관점에서 주장되고 있다.
자연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생태환경적 보존과 마찬가지로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한 도시가 정주공간으로서 자생능력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른바 문화적 지속가능성(cultural sustainability)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 사회적, 정신적 고양이 순화적으로 이루어져서 삶 그 자체를 통해서 소진되어 버리지 않고 자생적인 문화적 재생산 능력을 가져야 한다.
문화적 에코시스템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공간이나 외형적 인프라와 같은 유형의 문화자본 축적과 더불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문화활동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나 문화적 소통과 같은 무형의 문화자본이 필요하며, 이런 개념이 도시 구상의 기초에 자리잡고 있어야만 하다.
향후 100년을 내다보는 문화도시 구상에서 이제는 문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뒷전으로 밀려나지 않아야 하겠다.


일본의 문화도시
일본의 문화도시는 우리보다 먼저 시행 되었다. 문화도시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도시가 차별화된 전략으로 지역발전과 문화적 삶을 동시에 얻었다. 일본의 전통문화와 역사도시인 나라와 교토, 가나자와가 지닌 도시의 문화적인 힘은 특별하다.

나라
나라는 불교를 중심으로 한 문화가 융성했던 고도(古都)이다. 고도 경제성장 속에서 상실했던 문화적 향수를 전통에서 되찾고 있다. 일본의 전통보전 노력의 하나가 ‘나라마치’다. 전통가옥을 보존하자는 의견이 나온 후 10년 만인 1990년 도시경관조례가 제정되면서 탄력을 받게된 나라마치 조성사업은 지역 주민의 요구를 바탕으로 한 정책 수립을 통해 착실하게 전개되어왔다. 나라마치는 보존 희망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70~150년이 된 전통가옥들을 보존하고 있다. 주민들의 협조로 2004년까지 1백68건의 보조금 지금실적을 보이는 등 주민들의 협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단순한 전통 건축물 규제나 보존에 그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이 새로운 문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점이다. 시 행정이 보존과 복원, 규제 등을 맡는 대신, 진흥재단이 내부 문화시설 운영이나 행사기획을 맡아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고 있다.
2010년 ‘평성 천도 1300년’을 기념해 대대적인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710년부터 80여년간 수도였던 나라는 지난 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일본 고대궁궐 유적인 평성궁터의 일부를 복원해 당시 모습을 재현할 계획이다.
기념사업은 헤이조궁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많은 사람들이 모여 역사와 문화를 만나고 즐기며 교류하는 국제적인 이벤트 ‘역사문화의 제전’, 역사와 문화를 통해 새로운 교류 활동을 전개하는 중심공간으로서의 나라현을 조성하는 ‘역사문화의 국제교류지역’, 형성, 새로운 교류 무대로 ‘다시 소생하는 헤이조궁’ 복원이다.

교토
교토는 역사적 전통을 현대적인 창조의 힘으로 이어내는 다양한 문화정책으로 눈길을 모은다.교토시는 147만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이다. 794년 헤이안시부터 19세기 메이지유신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는 세계문화유산만도 17개나 된다. 옛 왕궁인 ‘교토고쇼’, 도쿠가와가 거주했던 ‘니조성’, 794년 도읍지인 ‘헤이안신궁’ 등이다.
1972년 교토시는「市街地景觀條例」를 제정하고, 「特別保全修景地區」를 설치하여 전통적인 가옥인 「町家」의 외관수리,修景을 위해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는 제도를 실시했다. 또 1975년 국가의 문화재보호법 안에「傳統的建造物保存地區」가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네 지구가 정비되었다.
1)産寧阪地區(5.3ha,  약 240戶+石地區8.2ha)
2)기園新橋地區(1.4ha, 약100戶)
3)嵯峨鳥居本 地區(2.6ha, 약50戶)
4)上賀茂地區(2.7ha, 약59戶)
이 이외에도 「美觀地區」「第1種建造物修景地區」「第2種建造物修景地區」를 선정하여 綠地, 風致, 자연풍경 보전과 옥외광고물 규제 등의 행정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또 2004년에는 「歷史都市?京都創生策(案)」을 정리하고 「일본에서 현재 교토 創生이 필요한 이유와 그 구체적 방책」을 제시하여 논의의 전개를 촉구하고 있다. 여러 가지 법률, 조례, 행정지도에 의해 전통문화를 유지하는 시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私權의 자유, 사유재산처분의 자유 등으로 인해 완전한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

가나자와
가나자와는 이시가와현의 현청소재지로 인구는 46만명이다. 옛 모습과 풍습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전통문화의 향취가 넘친다. 이미 오래 전부터 전통 보존에 심혈을 기울이면서 현대적 삶을 구현, 일본안의 전통문화 ‘메카’로 자리잡은 가나자와의 문화도시 만들기의 과정과 전략은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격자창의 고급 요정집 1백여채가 그대로 보존돼 있는 ‘히카시차야’, 무사들의 집들이 줄지어 서 있는 ‘나가마치 부케야시키’ 70여개의 절이 모여 있는 테라마치는 전주한옥마을의 미래에 새로운 대안과 전략을, 직인대학과 시민예술촌은 예술인의 양성과 생활문화의 접목를 제시한다. 그리고 일본 3대 정원인 ‘겐로쿠엔’ 옆에 자리 잡은 ‘가나자와성’을 복원한 것도 전통문화의 복원을 통한 전통문화의 사랑을 찾아 볼 수 있다.
전통문화도시는 단기간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가나자와는 전통 예술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놓고 있다. 전통예술의 맥을 이으며 장인들을 배출하고 있는 ‘가나자와 직인대학’이나 ‘우타츠야마 공예공방’등이 그 사례이다. 또한 시민들에게도 순수 아마추어 창작 활동을 위해 ‘시민예술촌’과 ‘창작의 숲’이 가나자와의 자산이다. 그리고 구도심활성화를 위한 대안 모색이 한창이며, 자치단체와 주민들의 뜻을 모아 문화도시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김 세 천 Kim Sei Cheon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