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수 관리] 특수지역 식재지와 식엽성해충 관리
  • 에코스케이프 2014년 Summer

LJB 004-1.jpg

느티나무벼룩바구미의 성충이 가해해 붉게 변한 상태

 

특수지역 식재지 관리: 성토지, 인공지반, 포장지역

새로 식재되는 조경수들은 변형된 지역에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높은 지형을 깎아 낮은 지역을 메운 성토지에는 도로, 건축물, 공원, 박스 형태의 플랜트 등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시설물과 수목들이 들어선다. 이러한 지역은 자연지반과는 달리 저마다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특수지역이라고 불린다.

 

특수지역에서는 식재지 유형에 따라 식재 기간은 물론이고 준공 및 하자 기간 만료 후에도 계속하여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아예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심한 경우도 있다. 몇 가지 특수지역 식재지 사례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대책과 하자 관리,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보편적인 대형 건설공사에서는 토목과 건축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식재가 시작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사 전에 문제점을 수정하기란 현실적으로 무척 어려운 일이다. 선행 공정의 잘못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지만 이는 영구적인 방법이 될 수 없고, 큰 비용을 들여서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더구나 애초 계획한 개념과 다른 형태의 공원, 가로수, 녹지대 등으로 변형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성토지는 주로 도로 개설 지역, 댐 수몰 지역, 지구단위 택지 개발 지역에 많이 있다. 성토지의 침하방지를 위해 지반 다짐은 필수 요건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수목이 식재되는 지점(가로수 부지, 공원 부지, 녹지 부지 등)이 생육 환경에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수지역 식재지는 개발 계획 시 수목 생육에 필요한 양질의 토양 확보, 배수시설 설치, 불투수층 제거가 필요하고, 성토 높이에 따라서 장비 등에 대한 답압을 줄일 수 있는 식재지 조성 방안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토목, 건축 등 부처 간의 사전 정보 교류와 협의 등이 필요하고, 계획부터 시공, 관리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토목의 성토 지역과 구조물, 건축 시설물과 전선 등이 수목 생육 공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

 

현장에서는 이의 실천을 위한 여러 가지 보완 방법이 나오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장 실정에 맞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을 특수지역 식재지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각계 전문가(수목 생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자료를 토대로 식재지 조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추후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종범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자원학과에서 환경조경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문화재수리기술자(식물 보호) 자격을 취득하였다. 서울나무병원에서 21년간 근무하였으며, 각종 식물 문화재, 보호수, 노거수, 조경수 등의 치료 및 진단·자문과 대형수목 이식 및 식재 기반 조성 자문을 하였고, 화성시 공원녹지 조성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시 교육연수원과 인천시 교육연수원에서 시설관리 교육과정(조경 관리) 강의를 담당하였고, 상명대학교와 한경대학교에서도 강의를 맡고 있으며, 경기농림진흥재단 경기도 지역 4개 대학교 조경 가드닝 코스 강의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