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테마정원 공모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Garden Design Competition환경적·예술적·실용적 정원의 모델 발굴을 위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정원공모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자연의 순환 표현과 미래의 대안 제시를 취지로 전통정원(傳統, Tradition), 실용정원(實用, Practical), 미래정원(未來, Future), 도시정원(都市, Urban)의 4개 분야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대상 3개 작품과 우수상 10개 작품 총 13개 작품이 선정되었다. 특히 영국, 호주 등 해외 작품과 국내 다양한 참가 그룹의 작품으로 국제 공모전으로서의 위상이 확립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장에 대륙별 전통양식의 정원과 환경이라는 주제를 가진 정원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호에서는 각 수상자들의 간단한 서면 인터뷰를 통한 디자인 컨셉 및 주안점,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느낀 소감 등을 위주로 2013순천만국제박람회 실외 정원 공모전을 정리해 소개한다. 수상내역 대상 한국의 부뚜막 정원 - 김상윤 외 2명(에이트리)Can Recycling Plants - 한승욱(서울시립대학교)Drift - Gavin Mc William(Wilson Mc William studio) 우수상 대숲에서 길을 잃다 - 이대영((주)씨토포스디자인)두루미 정원 - 김현주(건국대학교)마음을 다스리는 명상 정원 休 - 권혁문 외 6명(Garden5090)색, 펼치고 개다 - 김연금 외 2명(조경작업소 울)NATURE DINING - 오현주 외 1명((주)그람디자인)빨래터 - 송조현 외 1명(순천대학교)라이네쎄 정원 - 하나금((주)라이네쎄)석가산 정원 - 윤영조 외 2명(조경디자인린(주))Gravel garden - Andy Sturgeon(Andy Sturgeon Garden Design)Beach - Jim Fogarty(Jim Fogarty Design Pty Ltd) ※대상과 우수상의 수록 순서는 접수번호 순임
    • / 2012년02월 / 286
  •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국제공모지명초청사 CA조경기술사사무소 + Weiss/ManfrediCTOPOS + SWA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 Oikos Design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Turenscape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삼성에버랜드조경설계 서안 + M.A.R.U신화컨설팅 + 서안알앤디 디자인West 8 + 이로재
    • / 2012년02월 / 286
  •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국제공모지명초청사 CA조경기술사사무소 + Weiss/ManfrediCTOPOS + SWA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 Oikos Design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Turenscape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삼성에버랜드조경설계 서안 + M.A.R.U신화컨설팅 + 서안알앤디 디자인West 8 + 이로재
    • / 2012년02월 / 286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테마정원 공모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Garden Design Competition환경적·예술적·실용적 정원의 모델 발굴을 위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정원공모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자연의 순환 표현과 미래의 대안 제시를 취지로 전통정원(傳統, Tradition), 실용정원(實用, Practical), 미래정원(未來, Future), 도시정원(都市, Urban)의 4개 분야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대상 3개 작품과 우수상 10개 작품 총 13개 작품이 선정되었다. 특히 영국, 호주 등 해외 작품과 국내 다양한 참가 그룹의 작품으로 국제 공모전으로서의 위상이 확립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장에 대륙별 전통양식의 정원과 환경이라는 주제를 가진 정원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호에서는 각 수상자들의 간단한 서면 인터뷰를 통한 디자인 컨셉 및 주안점,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느낀 소감 등을 위주로 2013순천만국제박람회 실외 정원 공모전을 정리해 소개한다. 수상내역 대상 한국의 부뚜막 정원 - 김상윤 외 2명(에이트리)Can Recycling Plants - 한승욱(서울시립대학교)Drift - Gavin Mc William(Wilson Mc William studio) 우수상 대숲에서 길을 잃다 - 이대영((주)씨토포스디자인)두루미 정원 - 김현주(건국대학교)마음을 다스리는 명상 정원 休 - 권혁문 외 6명(Garden5090)색, 펼치고 개다 - 김연금 외 2명(조경작업소 울)NATURE DINING - 오현주 외 1명((주)그람디자인)빨래터 - 송조현 외 1명(순천대학교)라이네쎄 정원 - 하나금((주)라이네쎄)석가산 정원 - 윤영조 외 2명(조경디자인린(주))Gravel garden - Andy Sturgeon(Andy Sturgeon Garden Design)Beach - Jim Fogarty(Jim Fogarty Design Pty Ltd) ※대상과 우수상의 수록 순서는 접수번호 순임
    • / 2012년02월 / 286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생명의 강 마스터플랜 국제 공모
    River of Life International Master Plan Competition지난해 7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시는 도심의 Klang과 Gombak 강변의 약 10.7킬로미터 구간을 도시를 재생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수변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River of Life 마스터플랜 국제 공모를 실시하였다. 이 공모전에는 AECOM(싱가포르), BDP(영국), 한국종합기술(한국), AJC Planning Consultant(말레이시아), T.R.Hamzah & Yeang(말레이시아) 등 서류전형심사를 거친 5개의 회사들이 지명 초청되었으며, 이 중 AECOM(싱가포르)이 제시한 안이 1등작으로 당선되었다. 이에 AECOM사의 마스터플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 수록한다.Main Design Office _ AECOM SingaporeLead Designer _ Scott DunnDesign & Project Lead _ Brian Jan, Sibarani Sofian, Jason ZlotkowskiTeam _ Sasha Jun, Irwin Ponco, Rick Yin, Ardzuna Sinaga, Mohamad Nurhadi, Annisa Yumaladini, Pierre Pohan, Por Maneephoka, Haejin Kim, Eve Sanguanruang, Ying Zee, Pink Wongpichitkul, Berd Lueangsangthong, Belinda Fierro, Nick Bailey, Claire Gibson, Ghianne, Lorena Navarro, Aileen Buenafe, Munggorn haijaroenmaitre, Jan Wuttijariyakul, Raka ChoudhuryClient _ City Government of Kuala Lumpur 이 공모전의 목표는 River of Life의 두 번째 요소인 River Beautification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반적인 경관 개선 접근방식을 확립하는 것이었으며, 공모전을 통하여 경제적이고 기능적이며 건축적으로나 도시계획적으로 뛰어난 작품을 선정하는데 있었다.이에 참가자들은 Klang과 Gombak 강변의 약 10.7km의 선형 공간을 아우르는 마스터플랜과 강 주변 지역 및 1구역(Titiwangsa)과 7구역(Masjid Jamek)에 대한 상세 제안서를 제출해야 했다. 이번 공모전은 큰 맥락에서 수변과 공원시스템들을 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은 프레임 워크를 만들 것이 요구되었다. 1. Kuala Lumpur에서 일하며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에 필수적인 강 만들기2. 강변 부동산 개발의 자극제3. 강 양쪽의 커뮤니티를 강과 결합시켜 현재의 장벽이 아닌 소통으로의 전환4. 물 접촉 경험 제공5. 현재 쿠알라룸푸르의 교통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적인 수변 대중교통시스템 확립6. 현존하는 공공 스페이스의 연결 및 향상 그리고 수변공간을 따르는 모든 공공 공간에 대한 뚜렷하고 균일한 아이덴티티 제공
    • / 2012년02월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