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수상자 발표
    2011 Winners Unveil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ism Contest월간 <환경과조경>에서는 신진 조경비평가 발굴과 조경 비평 문화의 지평을 개척하고자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을 개최하였다. 이번 공모전에는 2011년 11월 20일 마감일까지 총 13편의 원고가 접수되었는데, 이 중 공모 요강의 응모작 기준에서 현격히 위배되는 3개 작품을 제외한 10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하였다. 심사위원단은 건축, 미술, 조경을 대표하는 각 분야의 비평가 1인씩 3인의 비평가로 구성되었다. 심사는 1차 ‘심사위원 개별 심사’와 2차 ‘심사위원단 회의’로 이루어졌는데, 1차에서는 심사위원 2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작품을 본선작으로 선정하고, 2차 ‘심사위원단 회의’에서는 합의제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하게 되었다. 1차 ‘심사위원 개별 심사’를 통해서 총 4편이 본선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12월 10일 개최되었던 2차 최종 심사에서는 심사위원 간격론을 벌인 끝에 당선작 없는 가작 4편을 선정하게 되었다.결과 발표가작대형공원에 나타나는 현대공원 설계의 쟁점 _ 박선희 조경, 느슨한 경계 _ 유시범조경, 통하였느냐 _ 이성민 지금 여기, 아름답고 신비하고 신묘하다 -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희망적 시간 _ 이명준
    • / 2012년02월 / 286
  •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국제공모지명초청사 CA조경기술사사무소 + Weiss/ManfrediCTOPOS + SWA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 Oikos Design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Turenscape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 삼성에버랜드조경설계 서안 + M.A.R.U신화컨설팅 + 서안알앤디 디자인West 8 + 이로재
    • / 2012년02월 / 286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테마정원 공모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Garden Design Competition환경적·예술적·실용적 정원의 모델 발굴을 위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실외정원공모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자연의 순환 표현과 미래의 대안 제시를 취지로 전통정원(傳統, Tradition), 실용정원(實用, Practical), 미래정원(未來, Future), 도시정원(都市, Urban)의 4개 분야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대상 3개 작품과 우수상 10개 작품 총 13개 작품이 선정되었다. 특히 영국, 호주 등 해외 작품과 국내 다양한 참가 그룹의 작품으로 국제 공모전으로서의 위상이 확립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장에 대륙별 전통양식의 정원과 환경이라는 주제를 가진 정원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호에서는 각 수상자들의 간단한 서면 인터뷰를 통한 디자인 컨셉 및 주안점,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느낀 소감 등을 위주로 2013순천만국제박람회 실외 정원 공모전을 정리해 소개한다. 수상내역 대상 한국의 부뚜막 정원 - 김상윤 외 2명(에이트리)Can Recycling Plants - 한승욱(서울시립대학교)Drift - Gavin Mc William(Wilson Mc William studio) 우수상 대숲에서 길을 잃다 - 이대영((주)씨토포스디자인)두루미 정원 - 김현주(건국대학교)마음을 다스리는 명상 정원 休 - 권혁문 외 6명(Garden5090)색, 펼치고 개다 - 김연금 외 2명(조경작업소 울)NATURE DINING - 오현주 외 1명((주)그람디자인)빨래터 - 송조현 외 1명(순천대학교)라이네쎄 정원 - 하나금((주)라이네쎄)석가산 정원 - 윤영조 외 2명(조경디자인린(주))Gravel garden - Andy Sturgeon(Andy Sturgeon Garden Design)Beach - Jim Fogarty(Jim Fogarty Design Pty Ltd) ※대상과 우수상의 수록 순서는 접수번호 순임
    • / 2012년02월 / 286
  •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
    Debate: Oppositions to the Legislation of Urban Forest Law지난 12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림청의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에 반대하는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가 (사)한국조경학회 주최로 개최되었다. (사)한국조경학회 양홍모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조경영역인 도시공간의 공한지, 공공공지, 주택·공동주택, 병원·요양소, 공장·공단, 인공지반 등에 조성하여 관리하는 녹지를 도시환경숲으로 정의하고 산림청이 다루겠다’는 ‘도시숲법(안)’이 현행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중복되며, 조경영역인 가로조경과 학교조경도 가로숲, 학교숲으로 이름을 바꾸어 산림청 업무로 전담하겠다는 법안으로 조경 고유의 영역을 심각히 침해하므로 법 제정이 불가하다는 조경계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조경인들의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김한배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시숲법(안)은 침략적 법안이다’ 이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폐기되는 시점까지 조경인들의 단결된 총궐기를 독려하였고,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는 ‘도시숲법(안)과 관련 법 비교’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현행법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명백히 중복되기 때문에 법률제정 자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심왕섭 세림조경건설(주) 대표이사도 ‘도시숲법(안)의 조경산업 업무영역 침탈’ 이라는 주제로 껍데기만이라도 상정하여 통과시킨 후 보완 내지 개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완수하고자 하는 산림청의 꼼수가 내포된 ‘도시숲법(안)’은 절대로 통과되면 안되는 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Design Lecture Series IV
    그 네 번째 이야기 - 공존을 위한 디자인지난 12월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하 2층 의원회의실에서 ‘공존을 위한 디자인’이란 주제 아래 윤호섭 명예교수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의 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은 삼성에버랜드(주)E&A 디자인그룹그룹장 김준연이 주관한 Design Lecture Series의 마지막을 장식한 강연으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기 위한 근원적 해결책으로서의 그린디자인을 교육하고, 주로 폐품을 재활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윤호섭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든 작품과 그 속의 이야기로 강연을 이끌었다. 그는 ‘공존’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아이티 지진사건 후에 있었던 자신의 일화를 먼저 전하였다. 당시 국제동물애호기금인 IFAW에서 도움을 달라는 메일을 받으면서 새로운 충격에 휩싸였다는 것이다. 당시 그 곳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당연하게 떠올렸지만, 동물들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사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다니엘 스포에리 정원
    Giardino di Daniel Spoerri예술가의 뜰 - 삶의 의미를 찾는 공간다니엘 무대 위에서 아름다운 동작을 연출해 내는 무용수처럼 대지 위에 자유로운 배치를 통해 개인적인 상상력을 분출하고 자연과 교감을 이루는 ‘Land Art’는 풍경 안에서 예술가들의 작품을 낳게 하였다.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자연 속의 작업장이 영감을 불러 일으키는 명상의 공간이 되고 3차원의 커다란 Canvas가 되어 창작의 터가 된다. 우리에게 대지는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삶을 잉태하고 뿌리를 내리게 하고 다시 거둬들이는 순환과정을 이루어 내는 곳. 그 위에 예술가는 천상에서 우리를 굽어보고 있는 신을 즐겁게 하려는 듯 대지에 상상의 세계를 뿌린다. 이러한 인간의 행동은 본능적이다. 원시인들은 우리보다 더 섬세한 감각을 지니고 있었기에 피부와 자연이 직접 교감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보는 동시에 교감하는, 현現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로선 거의 불가능한 능력으로 말이다. 아마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날카로운 매의 눈으로 먼 곳까지 바라보고 감지하는 것과 아마존 강에서 일과를 보낸 후 황금빛 노을이 떨어진 강물에 몸을 담그며 신의 축복을 감사하고 기도하는 마음으로 바라보는 세상과 비슷할 것이다. 또한 그들은 동이 트면 몸 위에 그림을 그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옷을 입는다. 이런 원초적인 능력을 아직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오늘날에는 ‘예술가’로 불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사실 우리 모두는 예술가의 기질을 타고 나지만 단지 나이가 들어가면서 잊고 살아갈 뿐이다. 위치 _ Seggiano (GR) Italia작가 _ Daniel spoerri조성 시기 _ 1989년면적 _ 160,000m²
  • 진도 운림산방
    Jindo Ullimsanbang운림산방 1 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64번지에 위치하며, 철종 8년1857 남종화의 대가인 소치 허련 2 小癡 許鍊, 1808~1894 이 조성해 말년에 거처하면서 작화와 저술 활동을 하던 별서이다.1911년 허형이 운림산방을 떠나면서 매각되어 예전의 모습을 잃어버렸다가, 1982년 허련의 손자 허건이 운림산방을 다시 사들여 옛 모습 3 으로 복원한 후 진도군에 기증되어 관리되고 있다.현재 1,367,620㎡ 일원의 운림산방, 운림사, 사천사, 운림지 등에서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81년 10월 20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8월 8일 명승 제80호로 승격되었다.
  • 서울의 공원
    • / 2012년02월 / 286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생명의 강 마스터플랜 국제 공모
    River of Life International Master Plan Competition지난해 7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시는 도심의 Klang과 Gombak 강변의 약 10.7킬로미터 구간을 도시를 재생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수변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River of Life 마스터플랜 국제 공모를 실시하였다. 이 공모전에는 AECOM(싱가포르), BDP(영국), 한국종합기술(한국), AJC Planning Consultant(말레이시아), T.R.Hamzah & Yeang(말레이시아) 등 서류전형심사를 거친 5개의 회사들이 지명 초청되었으며, 이 중 AECOM(싱가포르)이 제시한 안이 1등작으로 당선되었다. 이에 AECOM사의 마스터플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 수록한다.Main Design Office _ AECOM SingaporeLead Designer _ Scott DunnDesign & Project Lead _ Brian Jan, Sibarani Sofian, Jason ZlotkowskiTeam _ Sasha Jun, Irwin Ponco, Rick Yin, Ardzuna Sinaga, Mohamad Nurhadi, Annisa Yumaladini, Pierre Pohan, Por Maneephoka, Haejin Kim, Eve Sanguanruang, Ying Zee, Pink Wongpichitkul, Berd Lueangsangthong, Belinda Fierro, Nick Bailey, Claire Gibson, Ghianne, Lorena Navarro, Aileen Buenafe, Munggorn haijaroenmaitre, Jan Wuttijariyakul, Raka ChoudhuryClient _ City Government of Kuala Lumpur 이 공모전의 목표는 River of Life의 두 번째 요소인 River Beautification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반적인 경관 개선 접근방식을 확립하는 것이었으며, 공모전을 통하여 경제적이고 기능적이며 건축적으로나 도시계획적으로 뛰어난 작품을 선정하는데 있었다.이에 참가자들은 Klang과 Gombak 강변의 약 10.7km의 선형 공간을 아우르는 마스터플랜과 강 주변 지역 및 1구역(Titiwangsa)과 7구역(Masjid Jamek)에 대한 상세 제안서를 제출해야 했다. 이번 공모전은 큰 맥락에서 수변과 공원시스템들을 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은 프레임 워크를 만들 것이 요구되었다. 1. Kuala Lumpur에서 일하며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에 필수적인 강 만들기2. 강변 부동산 개발의 자극제3. 강 양쪽의 커뮤니티를 강과 결합시켜 현재의 장벽이 아닌 소통으로의 전환4. 물 접촉 경험 제공5. 현재 쿠알라룸푸르의 교통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적인 수변 대중교통시스템 확립6. 현존하는 공공 스페이스의 연결 및 향상 그리고 수변공간을 따르는 모든 공공 공간에 대한 뚜렷하고 균일한 아이덴티티 제공
    • / 2012년02월 / 286
  • 베트남 호찌민시 자이 리버뷰 팰리스
    Xi Riverview Palace, HCMC, Vietnam베트남의 경제수도 호찌민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사이공강. 최근 이 강변에 호찌민 남부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GS건설의 고급 아파트인 ‘자이 리버뷰 팰리스(Xi Riverview Palace, 이하 자이 리버뷰)’가 오랜 공사를 마치고 마침내 그 웅장한 위용을 드러냈다. 아파트가 들어선 타오디엔 안푸지역은 호찌민 시내 최고의 부촌으로 손꼽힌다. 유유히 흘러가는 사이공 강변을 따라 외국인들이 거주하는 고급 빌라가 밀집해 있으며 명문 국제학교들이 많아 베트남 최고의 학군을 자랑한다. 강 조망을 뜻하는 ‘리버뷰(Riverview)’에 궁전을 뜻하는 ‘팰리스(Palace)’란 이름이 붙은 것도 바로 이런 연유. 강물이 3면을 휘감아 돌아가기 때문에 3개동 어디에서나 시원하게 펼쳐진 강 전망을 바라볼 수 있다. 주출입구가 시작되는 보행자 거리에 들어서면 남국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대왕야자(Roystonia regia, Royal Palm)가 줄지어 서있고, 야자수 우측편의 부드러운 곡선이 돋보이는 수경시설에는 시원한 물줄기를 뿜어내는 캔들분수와 화려한 조명이 공간의 활기를 불어 넣어주며 입주민을 맞이한다. Main Zone에는 장중한 멋을 지닌 대형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Weeping Fig)가 포인트 식재되어 있어 진입감을 강조해주며 마치 특급호텔에 들어서는 양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해 준다.3층 Podium공간의 조경은 마치 고급 휴양 리조트에 온 느낌을 주고자 했으며, 빛·바람·감성이 통하는 공간으로 만드는데 주안점을 두었다.이곳에 들어서면 중앙에 자리 잡은 부드러운 곡선의 코발트 빛 야외 수영장이 눈앞에 펼쳐진다. 1.3~1.4미터 깊이의 수영장은 둘레를 따라 턱을 조성하지 않고 월류(overflow)형태의 배수구를 설치하여 포장면과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 심플하게 처리한 점이 돋보인다. 여기에 썬베드와 파라솔이 한데 어우러져 마치 남국의 휴양지에 온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한편 이곳은 각 동에 위치한 자이안 센터의 출입구가 연결되는 곳이어서 주민들 간의 정서적 교감이 일어나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Schematic Design _ AECOM SingaporeLandscape Design _ Landscape Architecture & Urban Design D.OneConstruction Documents _ DoYeon LandscpaeConstruction _ GS Engineering & Construction(Park, Dong Geun, Project Director)Landscape Construction _ DoYeon Landscpae(An, Jae Woo, CEO / Park, Sung Jun, Project Manager)Loication _ 301 Nguyen Van Huong Street, Thao Dien Ward, Dist 2, Ho Chi Minh City, VietnamSite Area _ 17,209㎡Landscape Area _ 8,983.94㎡ Becoming a landmark of the region, a new highclass apartment complex, ‘Xi Riverview Palace,’ has been recently completed in the riverside of the Saigon River in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complex consists of three buildings of twenty seven stories that include two hundred seventy units in total. Thao Dien district where the complex is located is one of the wealthiest areas in the downtown Ho Chi Minh City. There are a number of fine villas of foreigners densely placed along the Saigon River.The name, ‘Riverview Palace,’ also represents this exclusiveness. Any of the three buildings has a nice panoramic view towards the river since the three sides of the complex are wound by water. This concept of exclusiveness is reflected in landscaping.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is the amount of green. Particularly knowing that ordinary Vietnamese apartment complexes have just a few trees in leftover space of them, this complex has quite a bit of green area compared to them.Stepping in the main entrance, you would first see the rows of Royal Palms (Roystonia regia ). Energizing the space, candle fountains and glaring lightings on the right side of the palm trees are welcoming visitors. A weeping fig(Ficus benjamina) is planted in the main zone as a focal point whose transplantation is known as the biggest as well as the first large tree transplanting project in Vietnam. The landscape area of the podium space is intended to create a feeling of high class holiday resort. An outdoor swimming pool of soft curved lines and cobalt color is located in the middle. To achieve fine simplicity of the space, overflow drain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1.3~1.4meter deep pool so that the water level is set exactly same as the level of the paving surface. Having sunbeds and parasols creates an illusion that you are in a nice summer vacation resort. This also performs as a community place where the entrances of each Xian Centers are connected and residents share each other’s feeling.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