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올림픽파크 포레온 Olympic Park Foreon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 재개발 추진부터 준공까지, 부동산 뉴스에 등장하지 않은 날이 없을 정도였다. 그만큼 이슈가 가득하고 관심을 많이 받은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둔촌주공아파트 143개동 5,930세대를 85개동 12,032세대로 재건축한 단지다. 약 17만㎡녹지에 교목 1만 6천 주, 관목 15만 5천 주, 초화 100만 본이 식재됐다. 티하우스와 퍼걸러 60여 개, 수경 시설 16개, 어린이 놀이터 18개(물놀이터 6개), 주민 운동 시설 12개소, 휴게 정원 30여 개소가 설치됐고, 옥상 녹화 면적은약 2만2천5백㎡에 달한다. 4개 시공사와 4개 설계 본부가 1년에 걸쳐 조경 특화설계를 진행하고, 시공을 하면서 현장 상황과 요청에 맞추어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의 결과를 위해 함께 설계를 조율했다.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단일 공동 주택 단지로는 가장 크고, 가장 많은 조경 공사비는 물론 역대 최대의 설계·시공 전문가를 투입해 완성한 단지다. 올림픽파크 포레온 올림픽공원은 서울에서 손꼽히는 대형 공원이며 강동구 주민의 생활권 공원이다. 단지명인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올림픽공원과 푸른 자연 위에 자리한 따뜻하고 평온한 곳”이라는 의미로, 올림픽공원을 향한 둔촌주공아파트 주민의 각별한 사랑을 엿볼 수 있는 지점이다. 이에 주목해 올림픽공원의 랜드마크를 단지의 조경 공간에 옮겨 담아 단지와 공원의 관계성을 높이고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설계 목표로 삼았다. 넓은 단지의 장점을 활용해 다양한 자연의 경관을 담는 ‘메가 네이처 파크(Mega Nature Park)’라는 콘셉트로 조경 계획을 진행했다. 단지를 일곱 개 선형 공간으로 나눈 뒤 세부 공간을 계획했다. 단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중심 클러스터는 메가 포레스트와 메가 그린필드로 구성된다. 단지를 동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인 포레스트웨이와 스트림웨이는 자연 그대로의 녹음을 단지 내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레벨 차가 있는 곳에는 선형 마당인 스케이프라인과 비스타라인을, 올림픽공원과 단지를 연결하는 대형 보행로에는 아티스틱 애비뉴를 조성했다. 메가 포레스트 둔촌동 습지를 포함해 생태경관 보전지역과 경계가 맞닿아 있는 단지 동측은 주동의 층수가 낮고 인동간격이 충분하다. 이를 활용해 녹음이 단지로 흘러들어와 자연 그대로의 숲과 정원이 된 듯한 공간을 계획했다. 에버그린가든: 메가 포레스트의 핵심 공간인 에버그린가든은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숲을 콘셉트로 한 공간으로 대형 팽나무 숲, 넓은 잔디밭 등으로 구성된다. 배롱나무 대형목과 아름다운 조형미를 보여주는 소나무는 일상에서 느낄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포시즌가든: 팽나무 대형목을 중심으로 넓은 잔디밭과 티하우스, 데크가 조화를 이루는 안락한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했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함께 바뀌는 자연의 색채를 담아내 그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고요하고 평온한 휴식처로 조성했다. 메가 그린필드 단지를 가로지르는 녹지를 수목으로만 가득 채우는 것을 경계했다. 비움과 채움 공간을 구분해 리드미컬한 오픈스페이스 공간을 만듦으로써 주동과 주동 사이의 조경 공간이 답답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했다. 거석원(巨石園): 돌 사이에서 자란 소나무가 있는 바위산을 등산하다 보면 험한 환경을 이겨내는 식물의 생명력, 소나무가 바위산을 짊어진 듯한 강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돌과 소나무의 아름다움을 단지 내에 표현하고자 했다. 울주, 횡성 일대에서 모양이 자연스럽고 야생 들풀이 피어난 거석을 수집해 레벨차가 생기는 단지 외곽 경사면에 배치하고 조형 소나무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했다. 메가 그린필드: 단지 중앙의 메인 외부 공간인 메가 그린필드는 넓게 펼쳐진 잔디광장이다. 독특한 형태의 수경 시설인 아이파크 워터 오브제, 조형적 티하우스, 특색 있는 형태로 시선을 끄는 대형목이 너른 잔디밭과 어우러져 있다.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조명을 통해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계획했다. 예원(藝園, Artistic Bosque): 공간 강조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주동 사이에 위치한 사각형의 공간을 몬드리안 방식으로 분할했다. 레이아웃의 특징이 두드러지도록 조형 퍼걸러, 잔디마당, 산책로, 수목 식재 패턴을 평면 속 직선과 맞추어 배치했다. 이로써 평면을 구성하는도시적 선형이 3차원 공간을 경험하는 이용자에게도 전달된다. 정형적으로 식재된 수목 사이의 좁은 산책로를 따라 진입하면 넓게 열린 잔디광장을 만나게 된다. 공교롭게도 이 오픈스페이스 사방을 야생적인 분위기의 신단풍 숲이 감싸고 있어 이용자는 열려 있지만 동시에 위요감을 느끼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신단풍 숲 하부에는 골재 크기가 작은 쇄석을 포설하고 작은 초화류를 심었다. 더불어 정원형 의자를 배치해 이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해 원하는 방식으로 휴식하도록 유도했다. 총림을 배경으로 놓인 비정형의 3D 프린팅 벤치, 이끼를 품은 자연의 돌, 저녁을 밝히는 갈대등, 공간 확장 효과를 내는 스테인리스 미러월이 감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일상 속 예술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 아름다움을 인정받아 다양한 상(2024 K-디자인 어워드 위너 및 2024 우수디자인상품 선정 및 동상 수상)을 수상했다. 둔촌진경원(遁村眞景園): 9호선 둔촌오륜역에서 단지로 들어서 제주 팽나무길을 지나면 둔촌진경원이 펼쳐진다. 산을 표현한 가벽을 배경으로 식재된 왕벚나무 대형목과 주변을 둘러싼 석가산이 어느 깊은 계곡 주변을 거니는 듯한 느낌을 준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진과 협업을 통해 계획한 프로젝션 맵핑 미디어 아트를 석가산에 맵핑해 야간에는 색다른 경관이 연출된다. 비스타라인 비스타라인은 강동대로에서 단지 출입구를 지나 풍성로에 이르는 남북 통경축이다. 이 통경축의 시작점인 북쪽과 남쪽에 장방형의 오픈스페이스를 조성했다. 송류원(松流園): 비스타라인 북측에 위치한 송류원은 약 200m 길이의 잔디마당이다. 잔디마당의 녹지와 포장의 경계를 허물고 아름드리 소나무를 심었다. 소나무라는 수종의 조형미와 한국의 미가 공간에 잘 드러나도록 식재 위치를 선정하고 사계절 푸르른 경관을 느끼게 했다. 북측 진입부에는 1.5m 단차를 활용한 캐스케이드를 조성했다. 단지로 들어설 때 들리는 청량한 물소리는 앞으로 펼쳐질 공간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더 높이는 효과를 낸다. 캐스케이드와 소나무에 둘러싸인 2층 티하우스에서는 다채로운 경관을 다양한 방향에서 관망하고 휴식할 수 있다. 남측 입구에는 둔촌주공아파트의 흔적인 ‘둔촌축제 기념비’를 설치했다. 기념비 주변에 대형 배롱나무를 식재하고 바 테이블, 통석 벤치 등 휴게 시설을 배치했다. 이곳에서 주민들은 백일 동안 화려하게 피어 있는 배롱나무 꽃을 감상하며 서로 소통하고 추억을 나누게 될 것이다. 라이브러리 앤드 가든(Library & Garden): 비스타라인 남측 잔디마당에는 성균관대학교 최혜영 교수가 디자인한 정원을 조성했다. 주민 편의 시설 인근이라는 점을 고려해 정원으로 이루어진 도서관이라는 콘셉트로 설계됐다. 이 커뮤니티 정원에서 주민들은 사색하며 일상의 지친 심신을 달래고 서로 교류하며 생각과 지혜를 나누게 된다. 정원 맞은편에는 연못에 담긴 듯한 2층의 티하우스를 설치했다. 이곳에 올라 넓은 잔디마당을 배경 삼아 정원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포레스트웨이 포레스트웨이는 강동구 생태 자연의 중요 요소인 일자산의 숲 경관을 단지 내로 잇는 녹지축이다. 일자산~올림픽파크 포레온~올림픽공원~성내천~한강으로 연결되는 녹지 흐름에서 한 축을 담당하는 공공보행통로가 될 것이다. 녹음이 흘러들어오는 단지 동측에서 연결된 소나무 숲길에 한 폭의 진경산수화 같은 자연을 생생하게 구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석가산과 세 개의 폭포가 흐르는 연못, 그 규모에 어울리는 2층의 티하우스를 조성해 웅장한 분위기의 쾌적한 공간을 만들었다. 지형으로 인해 공공보행통로 내 데크 층에 단차가 발생하는데, 이를 자연스럽게 극복할 수 있도록 곡선형 보행로 주변으로 자연을 닮은 휴게 정원인 슬로프 가든을 조성했다. 물, 돌, 곡선 등 자연의 요소를 단순화해 다양하게 조합한 미술품 ‘바람의 탑’을 중심으로 바람에 흩날리는 초화류를 심고 화산석을 배치해 거친 야생의 분위기를 연출했다. 공공보행통로를 따라 단지 서측으로 이동할수록 짙은 소나무 향을 느낄 수 있다. 소나무로 가득 찬 숲 사이를 굽이굽이 흐르는 유려한 곡선의 산책로를 조성했다. 산책로를 느리게 걸으며 오감으로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산책로 곳곳에 목재 데크와 곡선형 앉음벽 등을 설치했다. 스트림웨이 스트림웨이는 단지 외곽의 둔촌동 습지를 포함한 생태 경관 보전지역의 우수한 자연 요소를 테마로 한 공공보행통로다. 공공보행통로를 따라 다양한 수공간을 배치해 단지의 동서를 자연스럽게 연결했다. 습지를 마주하고 있는 단지 경계에서 시작된 정형적 형태의 폰드 세 곳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폰드와 다양한 수목들 사이에서 풍부한 삶의 감성을 느끼기를 바랐다. 폰드 중심에 위치한 티하우스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즐길 수 있다. 공공보행통로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면 풍성한 단풍나무 숲길을 만날 수 있다. 이 숲길을 따라 배치한 자연형 계류 종점에 2층의 티하우스를 배치했다. 티하우스 지붕에서 떨어지는 물의 모습이 이곳을 단지 내 핫스폿으로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림웨이의 서쪽 끝에는 유려한 곡선의 중첩이 돋보이는 조형 폰드와 공중에 떠 있는 돌(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는 워터 라운지인 투영의 정원을 조성했다. 해가 뜰 무렵에는 떠오르는 햇살이 돌 뒤에서 흩뿌려지는 풍경이 만들어지고, 저녁에는 몽환적인 분위기의 조명이 독특한 경관을 연출해 물의 정원이자 빛의 정원으로 기능하게 된다. 아티스틱 애비뉴 아티스틱 애비뉴는 강동대로와 양재대로가 만나는 사거리에서 단지로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발하는 보행로다. 롯데월드타워와 올림픽공원을 잇는 경관축을 단지로 끌어들이는 중심보행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두 그루의 큰 나무를 형상화한 높이 12m의 미술 작품을 설치해 단지의 시작을 알리는 랜드마크로 삼았다. 송경원(松徑園): 아티스틱 애비뉴가 단지에서 레벨이 가장 낮은 공간이라는 점을 활용해 중후한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했다. 이를 위해 채도가 낮은 마감재를 사용하고, 웅장한 분위기의 소나무를 심고 하부에 야성적이고 거칠게 다듬은 바위를 배치했다. 탁 트인 잔디마당에는 폭포형 수경 시설과 오픈형 티하우스를 설치하고, 고풍스러운 소나무가 식재된 길을 조성했다. 티하우스에는 공동 주택 최초로 AI 기술을 활용한 공간별 실시간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 기술을 적용했다. 보타닉 가든-30여 개의 휴게 정원 레스팅가든: 칠엽수를 단일 수종으로 군식해 집중력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반면 하부에는 다양한 초화류를 식재해 다채로운 경관의 변화를 느끼게 했다. 미스틱가든: 과거 둔촌주공아파트 4단지에 있던 메타세쿼이아 숲길을 재현했다. 더불어 아름다운 암석을 배치하고 미스트 분수를 곳곳에 설치해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휴게 정원을 조성했다. 힐링웨이가든: 외곽 산책로의 시작점에 있는 힐링웨이가든을 둔촌습지와 연계해 약 100m 길이의 자연형 생태연못으로 조성했다. 단풍나무 가로수길, 야생 초화가 거칠게 자란 암석원을 따라 산책과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외곽 경계의 단차를 활용해 단지 외부의 자연을 시각적으로 끌어들여 숲속을 산책하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했다. 성읍원(城邑園): 팽나무 숲 사이로 데크 길을 의도적으로 구불구불하게 놓아 바쁜 일상 속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공간을 조성했다. 무심히 놓은 이끼석과 현무암 괴석이 곳곳에 핀 야생화, 팽나무와 어우러져 제주의 작은 마을에서 느낄 수 있는 여유로움을 자아낸다. 돌 틈 사이에 설치한 미스트는 숲속의 신비로운 경관을 연출하는데, 동틀 녘 나지막한 현무암 돌담에 앉아 있으면 안개 낀 제주의 고즈넉한 아침 분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휴휴원(休休園): 휴휴원에는 색조Hue(휴)와 쉼休(쉴휴)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이곳에서 청량한 물소리,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다채로운 색감을 보여주는 식재, 그 중심을 지키는 바위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물위에 떠 있는 바위산을 뜻하는 부소담악(浮沼潭岳)에서 착안해 70m의 계류와 연못, 그 위에 네 개의 석가산이 떠있는 듯한 모습을 연출했다. 1m 정도의 레벨차를 활용해 계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었다. 계류의 시작, 중간, 끝부분에 연못과 함께 조성한 휴게 공간에서 한국의 돌과 물이 만든 풍경 속에서 쉬고 또 쉬어갈 수 있다. 아뜰리에 가든: 몬드리안의 격자 추상 작품을 모티브로 설계했다. 산책길에 높낮이를 만들어 공간에 깊이감을 더하고 고풍스러운 고벽돌 플랜터로 분위기를 고취시켰다. 키 큰 소나무 숲을 조성해 숲속에 조성된 정원 같은 풍경을 연출했다. 정원을 방문할 때뿐 아니라 주동에서 내려다볼 때도 격자 추상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정원을 완성했다. 사유원: 차분한 색상과 통일된 설계 언어를 통해 충분한 사유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하고, 마운딩과 수목을 더해 경관의 입체적 변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진회색 길 주변으로 짙은 녹색의 초화류와 관목을 밀식해 자연스러운 시선의 이동을 유도하고, 다간형의 배롱나무를 흩뿌리는 방식으로 식재해 자연스럽게 입체감을 형성했다. 이용자의 시선은 중첩되는 마운드의 선형을 따라가게 되는데, 특히 높은 마운드 로 둘러싸인 공간에 테이블 의자를 배치해 온전히 개인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했다. 밝은 색의 휴게 시설과 갈대 조명, 가을이면 붉게 물드는 초화류의 모습은 조화로우면서도 아름다운 색채의 대비를 만들어낼 것이다. 예원과 더불어 2024 K-디자인 어워드에서 위너로 선정됐다. 안녕? 올림픽파크 포레온! 사라진 둔촌주공아파트를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시작된 ‘안녕, 둔촌주공아파트’(2013~) 프로젝트를 이끈 주역은 이곳을 고향이라고 생각하는 주민들이었다. 도시에서 ‘고향’이라는 단어가 아파트를 지칭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이곳에서 평생을 보낸 원주민에게는 너무 당연한 일일 것이다. 단지 내 기록관을 세워 40여 년간 쌓은 기억을 전시하고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장소에 대한 주민들의 애착을 읽을 수 있다. 조경설계도 이에 발맞춰 기존 단지 외부 공간에 있던 의미 있는 시설을 보존해 다시 설치하거나 재해석해 새로 조성하는 노력을 더했다. 새롭게 변신한 공동주택 단지에서 살아가며 장소 애착을 갖게 될 또 다른 아파트 키드가 이 지면에 소개하지 못한 다른 조경 공간에서도 추억을 만들어가기를 바란다. 글 그룹한어소시에이트, 시공사 컨소시엄 사진 유청오 기본설계 서인조경 조경 특화설계 그룹한어소시에이트 시공 현대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조경 시공 유일종합조경, 다원, 미담, HDC랩스, 동영조경, 아세아종합건설 휴게 시설 아르디온, 원앤티에스, 드림월드, 플레이잼 놀이 시설 스페이스톡, 아르디온, 플레이잼, 원앤티에스, 드림월드 석가산 미담, 수림원, 아세아종합건설 위치 서울시 강동구 둔촌1동 170-1 일대 규모 12,032세대 대지 면적 462,793.3m2 조경 면적 170,691.72m2 준공 2024. 11.
    • 그룹한어소시에이트
  • LH 파주가든
    지난 9월 26일, 파주 운정중앙공원에서 LH 파주가든(이하 파주가든)이 공개됐다. 파주가든은 세종과 평택, 인천에서 열렸던 기존 LH가든쇼의 명맥을 잇는 공공 정원 프로젝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부터 일상과 정원이 함께하는 공원 조성을 위해 추진 중인 ‘LH 도시정원프로젝트’의 첫 번째 프로젝트다. 이번 파주가든에서는 초청정원, 작가정원, 학생 및 주민참여정원 등 총 21개 정원이 조성됐다. 초청작가로는 김단비(숲을위한주식회사), 박종완(플레이스랩기술사사무소), 유충헌(스케이프360), 이상수(스튜디오이공일 조경기술사사무소)가 초대됐다. 작가정원에는 김초롱(세종정원연구소), 박성준(엠엠엠 디자인 스튜디오), 윤채영(숲을위한주식회사), 이정연(서브디비전), 이현승(사이트닷), 이호우(담), 박희수(디엘피 조경기술사사무소)의 작품이 선정됐다. 작가정원 공모는 올해 1월 23일부터 2월 23일까지 진행됐으며, 주제는 ‘도시의 색, 숨, 삶’이었다. 공공 정원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정원을 통해 도시에 ‘색’을 입히고, ‘숨’을 불어넣어, 주민들의 ‘삶’의 일부로 지속가능한 공공 정원 디자인을 제출했다. 아울러 인접한 정원을 고려한 내부 동선 계획, 구조적 안정성, 유지·관리를 위한 작업로와 관람객 동선 디자인 등이 요구됐다. 현장 심사와 품질 유지·관리 심사를 통해 추후 수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박동선 LH 국토도시본부장은 “파주가든의 대상지가 교하지구와 운정지구 시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최적의 입지인 만큼 심혈을 기울여 조성했다”라며 “앞으로도 도시가 곧 정원이 되고 정원을 통해 도시의 브랜드가 구현되는 다채로운 도시 정원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진행 김모아, 금민수, 이수민 디자인 팽선민 ----------- 주 최 LH 위 치 경기도 파주시 파주운정3지구 수변공원1호(운정중앙공원) 주 제 도시의 색, 숨, 삶 규 모 초청작가정원 4개소(200m2/개소당) 작가정원 7개소(150m2/개소당) 주민참여정원 5개소(10m2/개소당) 학생참여정원 5개소(10m2/개소당) ------------ 초청정원 부서진 시간, 피어난 용치_김단비 운중산책@운정_박종완 어반 네이처(urba_N_ature)_유충헌 망중유한(忙中有閑), 삶의 여백 그리고 한가로움_이상수 ------------ 작가정원 푸른 빛으로 함께 흘러가는 것_김초롱 네이처 시네마(Nature Cinema)_이현승 도간루: 닿은 순간_윤채영 일월운정(⽇⽉雲庭), 해와 달, 구름이 쉬어가는 정원_박성준 클라우드_이정연 끌림: 더 컬러 오브 파주(The Color of Paju)_박희수 빅(Big) 282_이호우
  • [LH 파주가든] 부서진 시간, 피어난 용치 초청정원
    파주는 세계 유일 분단국의 접경 도시다. 이곳에 들어서는 공공 정원은 파주의 역동성과 평화로움을 상징하는 실증이다. 파주 곳곳에 남은 분단국의 잔해를 재해석해 보여줌으로써 불안정속의 안정, 아픔과 애환 속 희망을 전달하고 기억하고자 한다. 파주의 유일함에 대한 소회, 개활지에 촘촘히 설치된 전쟁의 상흔을 정원에 담았다. 파주시의 도시 화석으로 자리 잡은 ‘용치’는 땅을 뚫고 자라난 생명력을 느끼게 하며, 부서진 시간을 보상하듯 새살을 피어 댄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김단비
  • [LH 파주가든] 운중산책@운정 초청정원
    구름 운(雲), 우물 정(井). 구름 우물을 뜻하는 파주 운정의 지명에서 모티브를 얻어 구름 속을 걷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정원을 계획했다. 정원 속 다채로운 식물과 구름 패턴의 시설물은 주제를 강조한다. 흰색 철재 구조물의 정원 셸터로 구름을 형상화했다. 천장에 매단 아크릴 코팅 한지는 바람의 영향을 받는 구름의 특성을 재현할 뿐 아니라 내리쬐는 햇빛을 적당히 투과해 독특한 효과를 낸다. 중앙의 운중화단에는 계절의 변화를 고려해 다채로운 색과 높낮이를 가진 식물을 심었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박종완
  • [LH 파주가든] 어반 네이처 초청정원
    사각형(square)은 도시 빌딩의 대표적 형태이자 영어로 광장이란 뜻을 가진다. ‘도시’를 상징하는 콘크리트와 금속 소재의 사각형 공간 11개를 연결했다. 높이가 다른 각 공간이 모여 만든 풍경은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연상시킨다. 내부 동선은 도시 속 시민들의 흐름을 뜻하며, 도시, 자연, 사람을 연결한다. 식물과 구조물 사이에 놓인 중앙부의 수공간을 통해 자연과 대비되는 차가운 도시의 느낌을 연출하고자 했다. 풍성한 주변 식재를 통해 자연과 도시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모습을 연출했다. 구조물 사이에서 곧게 뻗어 올라오는 메타세쿼이아, 공간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활엽수 등을 통해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입체적 경험을 선사한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유충헌
  • [LH 파주가든] 망중유한, 삶의 여백 그리고 한가로움 초청정원
    망중유한(忙中有閑), 바쁜 가운데 잠시 틈을 낸다는 고사성어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정원으로 구현했다. 공간을 둘러싼 외벽으로 위요감을 더했다. 중앙의 거대한 사각 구조물은 식물을 품는 플랜터이자, 방문객들이 식물을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는 테이블이다. 이리저리 옮길 수 있는 의자를 배치해 다양한 각도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게 했다. 나무 사이로 비치는 부드러운 햇살과 바람, 그늘 아래 꽃잎, 흔들리는 이파리와 작은 돌들, 느리게 흐르는 시간과 차분함 속에 작은 것의 소중함과 삶의 아름다움을 깨닫는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이상수
  • [LH 파주가든] 푸른 빛으로 함께 흘러가는 것 작가정원
    바다는 우리에게 무한한 영감과 안정감을 준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파도는 물결과 같은 우리 삶의 흐름을 닮았다. 바다의 푸른빛은 다양한 생명과 색채를 담고 있다. 이러한 바다의 본질을 정원에 담아 도시에서 푸른 빛의 바다를 만나게 한다. 고요한 흐름의 ‘광장’, 푸른 흐름의 ‘정원’, 물결 흐름의 ‘동선’, 세 구역으로 정원을 구성했다. 콘크리트 분지는 고요한 흐름의 광장 안에서 바다의 고요함과 강인함을 상징하는 단단한 물성의 공간으로, 해저에 있는 평평한 분지와 같은 곳이며 사람들이 잠시 멈추는 장소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김초롱
  • [LH 파주가든] 네이처 시네마 작가정원
    공공 정원은 개인에게 정원을 사유하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다수가 함께 이용하지만 혼자 조용히 몰입하고 관람할 수 있는 영화관처럼 깊이 빠져들고 사유할 수 있는 정원, 네이처 시네마를 조성하고자 한다. 영화관처럼 정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레벨을 0.9m 낮추고 돌담에 둘러싸인 공간을 조성했다. 계단형 진입로를 통해 정원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고, 칸막이가 있는 퍼걸러에 앉아 정원을 오롯이 감상할 수 있게 했다. 대관목 위주로 식재해 그린 스크린을 만들고 정원에 입체감을 더했다. 수반에 모여든 작은 새의 지저귐까지 더해진 정원 풍경을 즐길 수 있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이현승
  • [LH 파주가든] 도간루: 닿은 순간 작가정원
    도시 속 공공 정원은 사람과 자연, 모두가 닿을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누군가와 함께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회에서 도간루는 모두가 닿을 첫 순간이 되어 줄 것이다. 정자는 과거 선비들의 개인적 사유 공간으로 이용됐지만, 누각은 공공으로 향유하는 공간이었다. 공공 정원이라는 대상지의 특성을 강조하고자 누각 형태를 본떠 휴식 공간을 만들었다. 누각을 2단으로 쌓는 대신 중심부 지면의 레벨을 낮추고 데크의 높이를 높여 누각의 중첩 개념을 유지했다. 진입구 레벨은 누각과 같게 해 접근을 용이하게 했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윤채영
  • [LH 파주가든] 일월운정, 해와 달, 구름이 쉬어가는 정원 작가정원
    일월운정(日月雲庭)은 해와 달, 그리고 구름이 쉬어가는 곳을 의미한다. 바위의 물갈기 마감으로 해와 달이 비치는 곳을, 안개 분수와 생태 웅덩이로 구름이 머무르는 곳을 표현했다. 정원의 네 면에는 서로 다른 행태를 유발하는 휴식 공간을 조성했다. 입체적 공간 구현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식물의 모습을 담아냈다. 정원은 단순히 자연을 관찰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넘어, 공동체의 활력을 불어넣고 사람들이 서로 알아가며 소통하는 공간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용객의 시선이 꽃과 식물들을 넘어 서로에게 닿고 대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환경과조경439호(2024년 11월호)수록본 일부
    • 박성준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