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싼산 힐사이드 공원 Sanshan Hillside Park
    중국 남부 주강 삼각주(Pearl River Delta) 지역 중심에 위치한 싼산 힐사이드 공원(Sanshan Hillside Park)(이하 싼산 공원)은 빠르게 성장하는 도심에서 보기 힘든 도시 숲을 보존하고 있다. 대상지는 도심의 저지대 수변 공간 위에 위치한다. 독특한 지형을 활용해 야생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숲 공원을 조성해 공공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역 주민과 자연환경을 연결하는 생태적 오아시스를 만들었다. 모임과 산책 등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원은 도시와 자연에 대한 입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 사회를 하나로 이어주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한다. 개발로부터 지켜낸 숲 주강 삼각주 지역의 급속한 도시 개발로부터 보호된 싼산 공원은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주변 도시에서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오픈스페이스의 유형을 보여준다. 포산(Foshan) 중심부의 서쪽에 위치한 싼산 신도시에 만든 146헥타르 규모의 산악 공원은 숲 생태계보다 운하나 해운로에 초점을 두었던 이 지역에 보기 드문 지형적 랜드마크를 만들어 냈다. 이 공간을 도시 개발을 위해서 활용할 수도 있었으나 지방정부가 그 가치를 인식하고, 보호 구역으로 지정해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부터 지켜냈다. 세 개의 봉우리와 풍성한 숲으로 둘러싸인 싼산 공원은 도시 안에서 자연을 탐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도시의 평탄한 지형과 대비되는 산 정상에서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 공원은 싼산 신도시 중앙 공원으로서 이벤트, 관광과 등산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장소다. 도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높은 고도의 특징을 활용하는 동시에 지형의 중첩으로 인해 생겨난 공간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테마 공간이 된다. 도시화가 진행되며 자연과 교류할 기회가 적어지는 싼산 도심에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풍부한 야생의 자연이 있는 기존의 생태계를 활용했다. 이용자들의 다양한 연령대와 관심사를 고려해 서로 연결된 산책로, 잔디 광장, 자연 놀이 공간 등을 마련했으며, 계절에 따른 축제와 이벤트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도 조성했다. 리질리언스 공원은 세 구역으로 나뉘며 자연 언덕 보호 지역, 산을 둘러싸고 있는 저지대 내 도시 개발 지역, 도시의 빗물 유출수와 기존의 산골짜기에서 흘러나오는 물 모두를 집수하고 정화하는 리질리언스 지역(Resilience Zone)이 있다. 리질리언스 지역을 제외한 두 구역은 대상지의 보존과 활용에 초점을 맞춰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리질리언스 지역은 연못, 빗물정원, 생태수로(bioswale) 등을 활용해 민감한 자연 지역을 보호하면서 산 주변으로 확장되는 생태 벨트를 형성한다.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연 지형에 따라 설계한 리질리언스 에지(Resilience Edge)는 자연과 도시 지역 사이의 취약한 생태계를 안정화하고 산과 주변 도시 개발 구역 모두를 위한 중요한 배수 인프라다. 대규모 굴착을 피하고 인상적인 장소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지형 특성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공원의 새로운 공간에 내구성을 더하고, 산비탈 환경에서 견고함을 유지하도록 만들었다. 녹색인프라 시스템 등급을 고려하고, 중국의 엄격한 빗물 관리 기준인 ‘스펀지 도시’ 지침에 따라 원활한 우배수와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했다. *환경과조경425호(2023년 9월호)수록본 일부 글 SWA Group Landscape Architect SWA Group Local DesignInstituteShenzhen BLY Landscape & Architecture Planning & Design Institute Client Land Urban Construction and Water Conservancy Bureau of Nanhai District Location Foshan, Guangdong Province, China Area 146ha Completion The 1st Phase: 2020. 7. The 2nd Phase: ongoing Photograph Chill Shine SWA Group은 60년 이상 조경, 기획, 도시설계 등 전문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소규모 도시공원, 워터프런트, 도시재생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인간과 경관이 서로 교류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디자인을 선보였다. 장소와 지역적 맥락의 힘을 믿으며 대상지의 본질과 문화를 디자인에 담는다. 대상지의 생태 환경, 전통, 재료를 면밀히 파악하고, 설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인간과 자연, 예술과 생태 사이에서 교집합을 만들고,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건축과 자연이 결합해온 방식에서 많은 영감을 얻는다. 궁극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장소와 머물고 싶은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 SWA Group
  • 익스피디아 본사 수변 공원 Expedia HQ Waterfront Park
    부둣가의 변신 익스피디아 본사(Expedia HQ)는 미국 시애틀 시내에서 북쪽으로 약 1.6km 떨어진 40에이커 규모의 해안 매립지에 위치한다. 캠퍼스는 퓨젓사운드(Puget Sound) 해안, 레이니어 산(Mount Rainier), 그리고 시애틀 도심을 향한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한다. 원래 이곳은 퓨젓사운드를 향해 뻗어 있는 두 개의 부두를 갖춘 바닷가였는데, 1962년부터 1969년까지 7년 동안 흙과 건설 잔해 등을 채워 현재 익스피디아 본사가 위치한 매립지로 거듭났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설계 목표는 5,000명에 달하는 노스웨스턴(Northwestern) 직원들을 위한 혁신적인 업무 공간을 갖춘 캠퍼스를 구상하는 것이었다. 익스피디아가 설계의 지향점으로 요구한 것은 지속가능하고 자연 친화적인 캠퍼스였다. 이러한 목표를 고려해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을 통한 친환경적 경험 기반의 캠퍼스를 만들고자 했다. 공공 인터페이스 캠퍼스를 설계하는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는 공공 보행로와 공공 공간이었다. 엘리엇 베이 트레일Elliott Bay Trail 도로는 캠퍼스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시애틀 시내와 스미스 코브(Smith Cove) 유람선 터미널을 연결한다. 기존 자전거도로와 보행로는 해안과 인접한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발생했고, 직선 형태의 보행로 모퉁이는 보행자에게 다소 위험한 사각지대였다. 엘리엇 베이 트레일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고, 포인트(The Point)라고 불리는 공공 공간을 만들어 날카로운 모서리 형태의 동선을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다듬었다. 또한 자전거도로와 보행로를 분리해 보행 안전성을 꾀하고, 해수면 상승과 홍수를 고려해서 이전의 위치보다 안쪽에 동선을 만들었다. 다양한 자생종이 식재된 굴곡진 형태의 선형 공원은 웨스턴 스미스 코브(Western Smith Cove) 경계를 따라 계속 이어진다. 사회적 책임과 즐거운 근무 환경 캠퍼스 내 5,000명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 극장, 사색 정원, 약 1,200㎡ 규모의 캐스케이드, 체리 과수원, 산책로 등을 조성했다. 야생의 자연을 감상하며 걷고 어디서든 자연스럽게 회의를 하거나 휴식을 취 할 수 있게 다양한 공간을 마련했다. 대상지 곳곳에 놓인 바위와 유목은 기존 생태계에 대한 존중인 동시에 공간에 조형적 아름다움을 더한다. 분리된 보행로와 자전거도로와 연결된 곡선형 테라스에서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기반으로 만든 수많은 경관은 건강하고 즐거운 근무 환경을 조성한다. 나아가 직원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도 이러한 경관을 즐기며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익스피디아는 기업의 사회적 책무 를 다하기 위해 기업의 공간을 지역 주민과 함께할 수 있는 공공의 공간으로 바꿈으로써 조경과 장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글 Surfacedesign Landscape Architect Surfacedesign Design Team James A. Lord, Roderick Wyllie, Michal Kapitulnik,Junyi Li, Matt Bombard, Blythe Price, Tyler Mohr, Heath House Architect ZGF Architects(Main Campus), Aidlin Darling Design(Accessory Building) Contractor GLY, Teufel Landscape(Landscape) Collaborator Stantec(MEP Engineer), RMA(Irrigation),KPFF(Structural and Civil Engineer), CMS(Water Feature), F2 Environmental Design(Soils Consultant), Paladino(Environmental Consultant), Studio SC(Signage) Location Seattle, WA, United States Area The Beach: 2.6ac Campus: 40ac Completion The Beach: 2019 Campus: 2021 Photograph Marion Brenner 서피스디자인(Surfacedesign)은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조경·도시설계사무소로 제임스 로드(James A. Lord), 로드릭 윌리(Roderick Wyllie), 제프 디 지롤라모(Geoff di Girolamo)가 이끌고 있다. 조경, 도시, 건축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협업을 통한 다학제간 디자인을 추구하며, 역동적 경관의 공원, 캠퍼스, 광장, 정원 등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건축과 자연의 연결에 초점을 맞추는 디자인을 통해 시민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경관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지의 고유한 맥락과 상상력이 만들어 내는 잠재력을 강조하고 존중하며, 설계 과정에서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대상지와 이용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세련된 매력과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현대적 경관을 만들어 낸다.
    • Surfacedesign
  • 랭스 프롬나드 재개발 Les Promenades Reims
    18세기 옛 성벽의 해자가 있던 부지에 만들어진 랭스 프롬나드(Reims Promenades)는 유서 깊은 도심과 교외를 연결하고 있다. 점진적으로 형성된 축을 따라 지속적인 추가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이 산책로에는 조각상, 기념물 등이 있다. 철도와 대로, 고속도로 등과 같은 기반 시설에 의해 산책로 일부가 훼손됐지만 밤나무, 단풍나무, 플라타너스로 이루어진 숲 덕분에 오랜 기간 형태를 유지해왔다. 숲의 나무들은 대상지의 주요 자산이지만 재개발 프로젝트의 제약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나무의 유지·관리를 고려한 섬세한 계획이 필요하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대상지의 자산을 개선하고 주민을 위한 활력 가득한 장소로 전환하는 것이다. 도시와의 조화를 위해 통일성과 장소의 시인성을 복원하는 동시에 각 공간을 이루는 장면의 분위기와 용도를 섬세하게 드러내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수많은 기념물과 깊은 역사를 품은 산림 지대에 위치한 이 산책로는 새로운 숲의 설계법을 통해 도시에 심오한 변화를 가져오고 숲이 우거진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제시한다. 구조적 연속성과 산책로의 재결합 산책로의 일관성 복원을 위해 모든 시퀀스가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마스터플랜을 계획했다. 이 축에는 기념물이 위치해 있고 나무 캐노피가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특징을 활용해 산책로에 새로운 시설물을 추가해 유적지와 천연 기념물로 등재된 유산을 볼 수 있는 전시장으로 기능하게 했다. 도시의 시퀀스와 이웃과의 연결 설계는 대상지의 기존 세력선과 수목 네트워크 세력선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선형의 두 자전거도로와 세 개의 대규모 보행자 산책로가 다양한 시퀀스를 연결하고 개방감을 자아낸다. 2차 그리드를 활용해 가장자리를 다용도로 활용하는 동시에 도심과 역세권을 잇는 연결고리로 만들었다. 공지와 산림 경계의 구조화 나무의 밀도와 햇빛이 내리쬐는 위치로 인해 산림은 대상지 가장자리를 둘러싼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행 로에 의해 길 주변으로 일련의 빈 공간이 생겨났다. 이 공터들은 산책로에서 잠시 머무를 수 있는 장소이며 길 찾기를 용이하게 해주는 동시에 조형적 요소로 역할 한다. 빛과 그림자 조각 빛과 그늘, 조명 장치를 활용해 공간의 분위기를 조정 하고 부지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했다. 빛이 부족한 곳 에는 조명을 더하고, 빛이 강한 곳은 빛을 덜어냈다. 나 무와 꽃, 바닥재와 시설물을 통해 조명이 적절한 그림 자를 드리우게 했다. 존중을 통한 수목과 기념물의 가치 향상 프로젝트는 나무라는 유산을 존중하는 데서 시작한다. 보행로, 시설물, 구역 등 대상지 구조는 수목이 만든 틀에 의해 결정됐다. 중심축이 되어주는 기념물들을 부각시키기 위해 새로운 맥락으로 기념물이 읽히게 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도시적 풍경을 이루던 포르테 드 파리(porte de paris )주변 도로를 산책로로 바꾸어 보행자 공공 공간으로 대체시켰다. 포르테 드 마스(porte de mars )광장은 특별한 행사를 주최하는 동시에 대제국 아래 파리의 웅장함을 마지막으로 목격한 고대 관문을 가진 장엄한 앞마당으로 변모시켰다. 물의 존재감 부각 주요 구성 요소 중 물은 평온함에서 장엄함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미스트 유역에서는 수증기가 피어올라 색다른 분위기를 선사하고, 잔디밭 속 폰드의 수면에 비치는 모습은 유쾌한 도시적 분위기를 연출한다. 포르테 드 마스 광장의 대형 분수는 지면에서 솟아오르는 물줄기로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의미와 가치 복원 이 프로젝트는 산책로를 지역과 연계시키면서 도심의 개념을 정립하고 대도시 녹색 네트워크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재개발을 통해 산책로는 도시가 지닌 역사와 기대를 품은 산책과 만남의 장 그리고 축제의 장소로 탈바꿈됐다. 이질적이고 관광객의 방문이 뜸했던 지역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지역의 의미와 가치를 복원했다. 재탄생한 18세기 산책로는 역사적 요소가 어떻게 고유의 특성과 분위기를 잃지 않으면서 현시대의 환경과 기후 문제에 대응하는 한편, 명시적이면서 현대적 장소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례다. 글 Osty et Associés Landscape Architect Osty et Associés Architect Encore Heureux Engineers TPF Ingénierie Fountain Maker OGI Lighting Design Les Éclaireurs Client Reims City Council Location Reims, France Area 12ac Completion 2023 Photograph Martin Argyroglo, Mikaël Mugnier 1983년에 설립된 오스티 앤 어소시스(Osty et Associés)는 재클린 오스티(Jacqueline Osty)와 프로젝트 매니저 로익 보닌(Loci Bonnin), 앙투안 칼릭스(Antoine Cailx), 미카엘 무니에르(Mikael Mugnier)를 필두로 30여 명의 조경가, 건축가, 도시 전문가로 구성된 설계사무소다. 연구와 재개발 프로젝트뿐 아니라 공원, 공공 공간, 워터프런트, 동물원 등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층위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대표작으로는 셍삐에흐 공원(Saint-Pierre Park in Amiens), 마틴 루터 킹 공원(Parc Martin Luther King Park) 등이 있다.
    • Osty et Associés
  • 세인트 캐서린 웨스트 거리와 필립스 광장 Revitalization of Sainte-Catherine West Street and Phillips Square
    몬트리올(Montréal)은 친환경적 도시로의 변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세인트 캐서린 웨스트 거리(Sainte-Catherine West Street) 재설계는 자동차 중심인 몬트리올의 낡은 도로를 상업 중심지의 역사성을 드러내는 보행자 중심 허브로 탈바꿈시켰다. 사차선 도로를 한 차선만 차량이 통행하는 보행자 중심 거리로 변모시키는 재설계 과정을 통해 드 블루 거리(De Bleury Street)부터 맨스필드 거리(Mansfield Street)까지 여섯 블록에 달하는 규모의 자동차와 자전거 이용자, 보행자가 함께 공유하는 산책로가 조성됐다. 이 산책로는 유서 깊은 백화점을 아우르며 주변 지역을 하나로 연결한다. 필립스 광장(Phillips Square)의 규모가 확장되면서 몬트리올에 새로운 친환경 공공 허브가 탄생했다. 새로운 세인트 캐서린 웨스트 거리 세인트 캐서린 웨스트 거리는 동쪽의 카르티에 데 스펙타클(Quartier des Spectacles) 재개발, 서쪽 몇 개 블록에 대한 재개발 계획과 함께 응집력 있고 친환경적인 마을을 만들기 위해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프로젝트는 노상 주차를 없애고 보도를 대폭 넓혀 자동차와 보행자 공간의 비율을 역전시키고 더 많은 보행자를 위한 공간을 창출시켰다. 거리는 이제 분리되어 있던 광장, 기념물, 역사적 건물들을 응집력 있는 도시 경관으로 연결하는 선형 광장 역할을 한다. 거리에 설치된 청동판은 이 지역의 역사 유산인 20세기에 지어진 백화점과 상업용 건물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도시 표지판으로 기능한다. 차량과 보행자가 공유하는 거리는 도보와 자전거 이용을 장려함으로써 이동성을 촉진시키고, 이동 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원하는 곳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안전하고 응집력 있는 환경 만들기 새 도로는 다양한 공간과 용도를 구분하는 모듈식으로 포장한 것이 특징이다. 짙은 회색부터 옅은 회색까지 아우르는 바닥 색은 차량 전용 차로와 안전한 보행자 구역을 확실히 구분한다. 또한 어디까지가 보행 전용 구역인지, 자동차와 자전거 이용자와 공유되는 구역인지를 보행자에게 명확히 알려주며 응집력 있고 통합된 공공 공간과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수목 식재 밀도를 활용해 안전성과 응집력을 더 강화했다. 조용한 지역에는 나무들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활기찬 지역에는 나무 사이에 간격을 두었다. 이런 패턴은 대상지를 하나의 결속력 있는 산책로로 만드는 동시에 부지 전체에 자연스러운 리듬감을 자아낸다. *환경과조경425호(2023년 9월호)수록본 일부 글 Provencher_Roy Design/Architectural/Development Firm Provencher_Roy Landscape Provencher_Roy Civil Engineering CIMA + Structure CIMA + Other Collaborators Ingénieur Fontainier - François Ménard Urban Furniture Michel Dallaire Client Ville de Montréal Location Montréal, Québec, Canada Area 13,000m2 Completion 2022. 5. Photograph Adrien Williams 프로벤처_로이(Provencher_Roy)는 1983년 클로드 프로벤처(Claude Provencher)와 미셸 로이(Michel Roy)가 새로운 건축 비전을 세우기 위해 캐나다 몬트리올에 설립한 건축사무소다. 건축, 도시 디자인, 도시계획, 조경을 하나로 연결하는 접근 방식을 추구한다. 프로젝트의 첫 단계인 철저한 분석과 이해를 중요하게 여긴다. 대상지에 존재하는 물리적·문화적·지리적·역사적·경제적 자원과 유형·무형 유산에서 받은 영감을 토대로 프로젝트에 접근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신들이 기존 도시 구조를 변화시킨다고 믿으며 설계에 임한다.
    • Provencher_Roy
  • 타이난 마켓 Tainan Market
    타이난(Tainan)에 새로운 농산물 도매시장이 들어섰다. 대만에서 가장 아름다운 농산물 시장으로 불리는 이 야외 시장은 타이난의 농산물을 유통하는 중요 허브다. 마켓 건물의 지붕에 올라가면 주변 경관을 감상하고, 이웃과 만나 교류할 수 있어 지역 관광을 촉진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지붕 위에서 과일과 채소를 재배할 수도 있다. 타이난 마켓은 과감한 건축적 실험이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철재 창고 형태로 지어지는 도매 시장을 재해석해 시장과 녹지가 결합된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디자인은 진부한 식품 산업 공간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식품을 경험하는 동시에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냈다. 대상지는 타이난의 동쪽, 도시와 산 사이에 있다. 3번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대중교통이 잘 마련되어 있어 주변 농지와 도시의 상인, 구매자, 방문객 모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다. 타이난 마켓은 일련의 구불구불한 언덕으로 구성된 녹색 지붕을 가진 단순한 개방형 구조의 건물이다. 동쪽 모퉁이에는 다채로운 식물과 꽃이 심긴 테라스가 있다. 지붕에서 시작된 이 테라스는 점점 땅으로 내려와 방문객이 건물 꼭대기에 오르도록 유도한다. 타이난 마켓은 방문자가 이 지역의 특징적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높은 플랫폼 역할을 한다. 한쪽에 관리 사무실과 지역 농산물을 전시할 수 있는 전시 센터가 있는 4층 높이의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의 각층에 마켓의 지붕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있다. *환경과조경425호(2023년 9월호)수록본 일부 글 MVRDV Architect MVRDV Founding Partner in Charge Winy Maas Partner Shi Wenchian Design Team Liao Hui-Hsin, Chen Xiaoting, Liao Chi Yi, Chiara Girolami, Enrico Pintabona, Maria Lopez, Gustavo van Staveren, Emma Rubeillon, Lee Dong Min, Jose Sanmartin, Cai Cheng, Liao Yi Chien Visualisations Antonio Luca Coco, Pavlos Ventouris Strategy and Development Isabel Pagel, Bart Dankers Co-Architect LLJ Architects Contractor Yuh-Tong Construction; Jiuyang Electric And Plumbing Engineering Landscape Architect The Urbanists Collaborative Structural Engineer Columbus Engineering Consultants MEP FRONTIER TECH INSTITUTE Soil and Water Kuo Soil and Water Technicians Green Building Green Building Technology Consultants Client Tainan City Government Agricultural Bureau Location Tainan City, Taiwan Area 12,331m2 Completion 2022 Photograph Shephotoerd MVRDV는 1993년 비니 마스(Winy Maas), 야코프 판레이스(Jacob van Rijs), 나탈리 더프리스(Nathalie de Vries)가 설립한 회사다. 로테르담, 상하이, 파리, 베를린, 뉴욕에 사무소를 두고 전 세계의 건축,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설계 초반부터 이해관계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리서치를 바탕으로 협업을 한다. 이를 통해 더 나은 도시와 경관을 만드는 선진적이고 진솔한 프로젝트를 펼쳐왔다. 현재 로테르담에서 난징과 과야킬의 복합 용도 건물, 아인트호번의 니우 베르헌(Nieuw Bergen), 암스테르담의 웨스터파크 웨스트(Westerpark West)와 더 오스테를링언(De Oosterlingen)의 주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 MVRDV
  • 원더 우드 Wonder Wood
    유틀란트(Jutland) 북쪽, 스쾨르핑 초등학교(Skørping Skole)에 위치한 원더 우드(Wonder Wood)는 전통적인 학교 운동장의 개념을 전복시키는 프로젝트다. 원더 우드는 아이들이 자연과 교감하고 학교 인근의 숲속으로 탐험과 여행을 떠나도록 유도한다. 탐험가가 된 아이들은 원더우드에서 뛰어 놀며 자연과 상호작용하고 자연에 대해 배우게 된다. 스쾨르핑과 개발회사는 좀처럼 움직이려 하지 않는 학생들, 특히 저학년 아이들만큼 뛰어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12~16세의 아이들이 활발한 신체 활동을 즐기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이 운동장을 학생뿐 아니라 스쾨르핑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주말에도 사용되는 장소로 탈바꿈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역 커뮤니티, 학교 교직원과 학생, 다수의 지역 이해관계자가 참여한 협의를 진행해 그들의 관심사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했다. 다섯 가지 원칙 협의 내용과 스쾨르핑에서 아이들을 가르쳐온 교사들의 경험과 관찰 내용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설계 원칙을 세웠다. 첫째, 하나에서 여럿으로. 각 공간의 규모를 축소하고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놀이터를 모든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장소로 만든다. 둘째, 높은 경계선에서 낮은 가장자리로. 운동 경기장에 높은 벽 대신 낮은 울타리나 가장자리를 만든다. 이로써 사람들은 좀 더 쉽게 놀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더 기술적인 운동과 덜 까다로운 운동 모두를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관찰자에서 참여자로. 활동 공간 가까이에 거리 시설물을 배치하거나 활동 공간 자체에 좌석을 배치함으로써 관찰자가 참여자로 개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넷째, 벽에서 구역으로. 숲과 학교 사이에 큰 전환 구역을 조성함으로써 새로운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자유 놀이 구역을 형성한다. 다섯째, 직선에서 순환고리로. 활동으로 가득 찬 루프를 생성한다. 이로써 놀이터는 시작과 끝이 있는 경로가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요소로 채워진 체험적 여정이 된다. *환경과조경424호(2023년 8월호)수록본 일부 글 VEGA landskab Landscape Architect VEGA landskab Client Realdania, LOA, Rebild Municipality Location Skørping, Rebild, Denmark Area 20,000m2 Completion Phase 1: 2013~2016, Phase 2: 2022 Photograph Simon Jeppesen, Leif Tuxen, VEGA landskab 베가 랜스게브(VEGA landskab)는 2009년 앤 갈마르(Anne Galmar)와앤 도르테 베스테르고르(Anne Dorthe Vestergaard)가 설립했으며, 덴마크 코펜하겐과 오르후스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베가는 연결과 커뮤니티에 중점을 두고 모든 사람을 위한 야외 공간을 만든다. 경관이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을 연결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주변 환경과 관계를 맺는 동시에 일 년 내내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믿는다.
    • VEGA landskab
  • 언바운드 The Unbound
    모험적인 도시 탈출 언바운드(The Unbound)는 암스테르담 변두리에 위치한 리조트다. 웰니스 시설로 계획한 자연환경에 둘러싸인 오두막과 외부로부터 격리된 듯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부 공간을 조성했다. 리조트는 경관과 함께하고, 자연을 관찰하고, 음식을 만드는 활동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됐다. 언바운드는 다양한 활동을 즐기고 갑갑한 도시를 탈출할 수 있는 장소인 동시에 자연을 더 가까이 느끼고 보다 청량한 녹색 여가 공간을 만끽하는 곳이다. 광활한 녹지 2007년 암스테르담 시는 하를레메르메이르(Haarlemmermeer) 운하, 할프베흐(Halfweg), 하를레메르베흐(Haarlemmerweg) 도로 사이에 있는 네 개 간척지를 독특하고 다기능적인 도시 농업 및 휴양 지역인 타위넌 판 베스트(Tuinen van West, 서쪽의 정원)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도시 전역에 펼쳐진 이 거대한 녹지는 생태적 가치, 생물 다양성,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하고 암스테르담 주민들을 위한 탄력적인 자연 휴양지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황무지의 변화 타위넌 판 베스트의 정원과 채소 및 과일 밭 사이에 황무지가 있었는데, 이곳을 언바운드로 탈바꿈시켜 지속 가능한 땅으로 만들었다. 언바운드는 야외 활동을 즐기고 도시와 인접한 곳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언바운드는 암스테르담과 같은 도시의 여가 활동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자연환경 미개발 문화 경관을 지닌 대상지를 호수, 습지, 구릉 등 다양한 지형을 만들어 활기찬 자연환경으로 탈바꿈시켰다. 언바운드는 새로 만든 호수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호수를 만들기 위해 땅을 파낸 덕에 많은 양의 흙이 발생했는데, 이 흙으로 오두막 주변에 언덕을 만들었다. 이 언덕은 사람들의 시선을 가려 사적 공간을 선사한다. 정원에는 대상지를 둘러싼 농장들과 어우러지도록 지역 자생종을 심었다. 리조트 안 채소밭은 레스토랑에 신선한 식재료를 제공해준다. 호텔과 연결되는 입구, 사우나 시설이 있는 호수, 마을 광장이 있는 오두막 숲, 야외극장이 있는 웰빙 숲, 운동 공간이 있는 웰니스 숲, 행사장, 놀이터, 채소밭 등 각기 다른 공간이 고유 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나무들을 식재했다. 이 공간들은 다양한 경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 방식은 다양한 유형의 초목이 생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서로 다른 공간을 유기 적으로 연결한다. 자연이 본래 모습으로 번성할 수 있도록 공간을 비워 두기도 했다. 그 덕에 언덕에는 야생화가 무성하게 자 라고, 오두막 사이에는 풍성한 식물 군락이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다양한 토착 식물과 나무를 심어 식물 다양 성을 강화하고 야생 동물, 조류, 곤충이 모일 수 있도록 했다. 틀 커다란 나무는 호수 옆에 위치한 호텔과 이어진 입구 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 오두막 숲과 호텔을 연결하는 다리를 놓은 호수에서는 카누를 타고 수영을 할 수 있다. 호수 위에 사우나가 있어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호수 주변에는 커뮤니티 건물을 중심으로 몇 개의 작은 오두막이 있고 오두막 각각에는 개별 테 라스가 있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정원은 야외극장과 요가 수련장이 있는 웰빙 숲으로 이어진다. 전체 공간을 연결하는 산책로가 행사장으로 이어진다. 행사장은 결혼식과 축제를 개최하기 안성맞춤인 공간 이다. 인접한 놀이터는 흥미로운 놀이 요소가 가득하고 어린이의 모험심을 자극한다. Landscape Architecture Felixx Landscape Architects and Planners Team&Partners Michiel Van Driessche, Marnix Vink, Deborah Lambert, Thijs van der Zouwen, Maria E. Castrillo, Klaudio Ruci, Steengoed, Freelodge, Studio Appelo, Dorens Architects, Flora Nova Client Steengoed Location Amsterdam, The Netherlands Area 4.9ha Completion 2020 Photograph Symmedia, Michel Claus, Felixx Landscape Architects and Planners 펠릭스(Felixx Landscape Architects and Planners)는 2014년 로테르담에 설립된 사무소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더 나은 환경 조성법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지역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 연구, 경관 변화 전략, 마스터플랜, 공공 공간 및 제품 설계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생물 다양성과 자연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프로젝트에 접근한다. 펠릭스는 상상 속 캐릭터에서 따온 이름이다. 평범한 영웅인 펠릭스는 세상을 여행하며 행복한 환경을 만들 기회를 엿보고 있다.
    • Felixx Landscape Architects and Planners
  • 수낙 오션 센트럴 Sunac Ocean Central
    칭다오(Qingdao)의 랜드마크를 만드는 수낙 오션 센트럴(Sunac Ocean Central)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새로운 공공 공간과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중국 칭다오 시 황다오(Huangdao) 구에 위치한 대상지는 해안도로와 맞붙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바다가 펼쳐지는 곳이다. 인근의 캉마 산(Cang Ma Mountain)은 대상지를 둘러싼 일종의 프레임이 되어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하는데, 이러한 풍부한 자연 자원이 대상지의 강점 중 하나다. 지역 주민과 다양한 커뮤니티뿐 아니라 인근의 선형 도시공원, 엑스포 센터, 숙박 시설, 호텔, 컨퍼런스 센터, 사무용 건물이 가깝다는 점을 고려해 설계의 틀을 세웠다. 아름다운 해양 환경에서 영감을 얻어 자연과 공존하는 미래 도시 생활이라는 대담한 비전을 제시하는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었다. 방문자에게 목적지에 도착했다는 강렬한 느낌을 주고 휴먼 스케일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었다. 일련의 중력파는 대상지의 표면을 가로질러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바다는 엄청난 에너지와 힘의 영향을 받아 파도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대상지의 경관을 유동적이고 유연하며 회복탄력적이고 상황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장소로 만들고자 했다. 숨막힐 듯이 아름다운 해안선, 고유의 해양 문화, 바다의 존재 자체를 디자인의 뿌리로 삼아 바다의 힘과 일렁이는 너울의 우아함이 느껴지는 공간을 완성했다. 파도 속에 내재된 운동 에너지를 표현함으로써 자연의 힘과 영원한 존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풍경과 밀접하게 엮인 3차원 지형은 일종의 대지 예술처럼 공원에 들어선 이들이 일련의 여정과 경험에 몰입하게 한다. 구불구불한 지형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탐험할 수 있는 동선을 만들어내고, 커뮤니티 엑스포 센터를 중심으로 역동적 환경을 형성한다. 오션 스웰(ocean swell) 지형은 공원과 엑스포 센터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지점으로 자유로운 형식의 산책 동선, 보행로와 이어져 주변을 둘러싼 구역과 연결된다. 이러한 동선들은 대상지 가장자리로부터 사람들을 끌어들여 독특한 지형이 만들어낸 경험과 공간을 탐색하도록 유도한다. 나무 그늘이 드리워지는 맞춤 제작된좌석을 비롯해 모든 연령대가 휴식하고 뛰어놀고 탐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했다. 지형의 방향과 규모를 이용해 주변 도로의 어수선함과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번잡한 도심에서 벗어나 조용한 휴식과 사회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소를 형성했다. 경관과 어우러지는 지형을 만들기 위해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형의 상승과 하강을 시뮬레이션하며 공간 구성, 건축, 접근성, 경험, 물 관리 방식과 매끄럽게 통합될 수 있도록 조율했다. 곳곳에 설치한 대화형 워터 디스플레이는 동선 사이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드러낸다. 각 워터 디스플레이는 3D 모델링을 통해 만들어졌다. 아주 섬세한 설계와 제어가 필요한 작업이기에 1:1 크기의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공원 전역에 워터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흐르는 물의 움직임과 소리를 통해 생명력과 활기를 더할 수 있었다. 선형 도시공원과 연결되는 주요 지점이자 랜드마크로 서 수낙 오션 센트럴은 해안 워터프런트와 산책로를 연 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게 된다. 3층에 위치한 아트리움에서는 눈앞에 아름다운 두루마리 작품을 펼 쳐놓은 것처럼 주변의 예술적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최상층 옥상 정원에 있는 세 개의 단정한 녹지에는 부다 그래스(buddha grass)를 무성하게 심었다. 이 녹지를 건물 입구와 출구 주변으로 퍼져나가도록 배치해 내부 의 사무실이 적절히 닫힌 공간에 둘러싸이도록 만들었다. 건물 전면에는 백색 식재 공간이 이곳저곳에 산재 해 있으며, 굴곡진 지형과 함께 탁 트인 지평선을 감상 할 수 있다. 자생 식물을 주로 선정해 오르락내리락하 는 녹지의 흐름에 어울리도록 심었다. 빽빽한 나무가 드리우는 그늘은 공간을 구획하는 기준선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공원 전역에서 우수를 집수하고 물을 저류해 자연스럽 게 지하로 스며들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조명은 야간에 지형의 3차원 형태와 존재감을 강조하며 경관 이 구불구불하게 움직이는 듯한 풍경을 연출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야간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Landscape Architect ASPECT Studios Design Director Stephen Buckle Team Chen Sissy, Ren Joe, Chua Pigeons, Zhang Honghui, Chen Ella, Shi Kevin, Wang Zane, Jin Alice Architect(Schematic Design) Hirsch Bedner Associates Interior Design Avalon Collective Interior Design Studio Hotel Intelligence and AV Acoustic System Design ConsultantDsen Engineering Consultants (Beijing) Curtain Wall Design FORCITIS Lighting Design THUPDI Client Sunac Qingdao Location Qingdao, Shandong Province, China Completion 2020 Photograph Wei Li ASPECT 스튜디오(ASPECT Studios)는 조경가, 도시설계가, 전략가, 도시계획가로 구성된 팀으로, 전 세계 곳곳에 새로운 공공 공간을 창조해왔다. 사람들이 공공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 공간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억에 남을 만한 공공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호주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퍼스, 중국 상하이와 광저우, 베트남 호치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 ASPECT Studios
  • 인피니투스 플라자 Infinitus Plaza
    인피니투스 플라자(Infinitus Plaza)(이하 인피니투스)는 인피니투스 차이나의 새로운 글로벌 본사다. 연결성, 창의성, 그리고 기업가 정신을 키울 수 있는 근무 환경을 구축한 신규 본사 건물에는 컨퍼런스와 전시를 위한 학습센터뿐만 아니라 본초학 연구 시설과 안전 평가 연구소를 만들었다. 대상지는 새로운 바이윈 중심 상업 지구(Baiyun Central Business Dietrict)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한다. 폐쇄된 바이윈 공항 부지에 건설된 이 지구는 광저우(Guangzhou) 도심과 페이샹 공원(Feixiang Park) 및 옛 공항 부지 재개발 지역의 커뮤니티를 하나로 연결한다. 인피니트 링 인피니투스는 광저우 지하철 2호선 페이샹 공원역과 지하 통로로 연결되며, 두 개로 나뉜 건물은 브리지를 통해 여러 층에서 서로 연결된다. 부서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8층에 달하는 두 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피니트 링infinite ring 형태로 설계했다. 건물의 중앙 아트리움과 정원 등을 중심으로 한 인피니트 링 형태의 유기적 디자인으로 다양한 실내 및 외부 공간을 조성해 인피니투스 차이나의 기업 문화인 공동체 의식을 더욱 강화하고자 했다. 건물을 연결하는 브리지에 운동 시설, 카페 등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공용 공간을 조성했다. 또한 브리지는 쇼핑과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구역과 각 오피스를 연결한다. *환경과조경422호(2023년 6월호)수록본 일부 글 Zaha Hadid Architects Architect, Landscape Architect Zaha Hadid Architects Local Design Institute GDAD Structure RBS Facade Buro Happold Lighting LIGHTDESIGN, LUMIA, Holy Power Landscape LDI Pubang Signage LDI Basalt Project Manager ARCADIS, BCCI General Contractor Guangdong No.1 Construction Engineering Facade Contractor Jangho MEP Contractor Shijian Landscape Contractor Shenzhen Landscape Signage Contractor ATG BEYOND Interiors Zaha Hadid Architects, Gold Mantis, Sundart Location Guangzhou, China Site Area 45,280m2 Completion 2021 Photograph Liang Xue, Felix Amiss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Zaha Hadid Architects)는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영국 런던에 사무소를 두고 40년간 전 세계 곳곳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21세기 건축을 재정립해왔다. 긍정적 시선으로 미래를 바라보며 연결성과 통합성의 결합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
    • Zaha Hadid Architects
  • 프라란 광장 Prahran Square
    프라란 광장(Prahran Square)은 도심 내 새로운 형태의 널찍하고 독창적인 공공 공간을 제시한다. 리옹 건축사무소(Lyons Architecture)와 ASPECT 스튜디오는 건물로 밀집한 도시에 시민들을 위한 공공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상주차장을 광장 아래로 이동시켰다. 새롭게 만든 지하주차장은 2층 규모로 500대의 차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 광장, 원형 극장, 놀이터, 잔디밭, 주차장, 상점 등을 아우르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탄생시켰다. 여러 공간의 기능을 융합해 주민, 쇼핑객, 관광객을 위한 문화와 여가 공간을 조성했다. 광장의 본질인 공공성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상업과 민간 기업 간의 교류를 촉진시켰다. 리본 형태의 경계 구불구불한 경계부는 광장을 둘러싸는 리본 형태를 띠고 있어 독특한 거리 풍경을 만들고, 주차장 진입부, 계단, 상점, 커뮤니티 공간 등을 감싼다. 경계부는 광장 내부의 경관을 만들고 주변 도로의 차량으로부터 광장을 보호하며, 공공 공간과 주변 상업 시설을 구분하는 일종의 층으로 기능한다. 리본 형태의 경계는 네 면을 감싸고 있는데, 세 면은 내부 광장으로 이어지는 경사로이며 나머지 한 면은 인근 상점과 연결된다. *환경과조경421호(2023년 5월호)수록본 일부 Team Lyons Architecture, Waterforms International, WSP, Artists(Paul Carter, Bruce Ramus) Traditional Owners & Ongoing Custodians of the Land Wurundjeri Woi-Wurrung Country Client City of Stonnington Location Melbourne, Australia Area 10,000m2 Design 2016~2018 Completion 2019 Photograph Peter Bennetts, John Gollings ASPECT 스튜디오(ASPECT Studios)는 조경가, 도시 디자이너, 전략가, 도시계획가로 구성된 팀으로, 전 세계 곳곳에 새로운 공공 공간을 창조해왔다. 사람들이 공공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 공간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억에 남을만한 공공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호주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퍼스, 중국 상하이와 광저우, 베트남 호치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 ASPECT Studios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