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영산강 유역 농촌경관의 이용과 보전
    경관은 그 속성상 변화가 당연한 것이지만 문제는 자연생태적인 과정에 의해서 생내적 극상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한 변화일 경우이다. 때때로 영산강은 100mm/h 이상의 비가 올 경우 쉽게 수목되는 지역이다. 이로 인해 자연생태계 뿐만 아니라 인명과 재산의 피해도 크게 입는 지역이지만 더 심각한 것은 개발로 인한 공해라고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그 공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계획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본인이 연구한 바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예방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오랜 역사를 두고 생태적 변화를 하며 한국의 전형적 농촌경관으로 이어져 내려온 영산강 일대가 이제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또 다른 경관으로 탈바꿈하려 하고 있다. 그동안 축적된 경제적, 기술적, 정책적 배려로 영산강 일대 농촌경관이 아름답고 살기좋은 문화경관으로 변하기를 바라는 것은 비단 이 지역 주민만의 염원은 아닐 것이다. ※ 키워드: 영산강 유역, 농촌경관, 문화경관, cultural landscape ※ 페이지: p144~147
  • 원야
    2. 원림터의 조성 무릇 원림터를 조성함에 있어서는 청당(廳堂)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중요한 일로 여긴다. 청당의 선정에는 다른 어떤 일보다도 경관의 취사선택(取景)을 앞세우는데 남향으로 하면 오묘한 조화가 있다. 담장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내부공간(마당)이 넓도록 만들어야 하며, 공지(空地)가 많이 존재하도록 한다. 관사(館舍)의 터를 먼저 선정하여 짓고난 다음 다른 곳에 정자와 대(臺)를 짓는다. 3. 옥우 원림의 서옥(書屋)의 경우에는 한 칸의 방이든 반 칸의 방이든 가릴 것 없이 계절에 따른 경물(景物)의 변화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가장 정교한 집이다. 집의 방향은 적의(適意)하게 할 것이며, 공사를 할 때에는 주인과 의견을 합치시켜야 한다. 청당(廳堂)은 대개가 비슷하게 지어 지지만 대사(臺謝)에 근접시켜서 짓는 청당은 별다른 풍치(風致)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청당의 앞면에는 창권(敞卷)을 덧붙이고, 뒷면에는 헌(軒)을 넓게 만든다. 그리고 지붕에는 반드시 중연을 설치하고 결구에는 반드시 초가(草架)를 사용하도록 한다. ※ 키워드: 원야, 청당, 누각, 문루, 서방, 낭방, 정사, 가산, 옥우, 문루, 당, 재, 실, 방, 관, 누,대, 각, 정 ※ 페이지 : p128~132
  • 조경용수목
    매실나무는 수고 6m, 직경 60Cm 정도까지 자라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수피는 회흑색으로 종열하며 소지는 녹색이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긴 점첨두원저(漸尖頭圓底)로서 길이 4~10Cm 정도이고 가장자린에는 잔 예치가 있다. 참느릅나무는 수고 15m, 직경 70C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줄기는 비교적 직립하고 수피는 회갈색 또는 홍갈색이며 작은 조각으로 약간 벗겨지고 가지에는 털이 있다. ※ 키워드 : 매실나무, 참느릅나무 ※ 페이지 : p98~103
  • 마이크로 컴퓨터 교육, 미래, 전망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가까운 미래에 있어서 컴퓨터의 발전이 조경분야에 가져올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수 있겠다. 첫째는 기존의 단순한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지식을 기초로 하는 엑스퍼트 시스템(KBES : knowledge Based Expert System)이라고 불리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며, 둘째는 더욱 현실감, 공간감을 가지며, 삼차원 또는 사차원으로 설계를 하고 결과를 볼 수 있게 하는 그래픽 기능의 발달이 그것이다. ※ 키워드 : 컴퓨터가 조경에 미치는 영향, 그래픽,※ 페이지 : p93~97
  • 한국의 유토피아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유토피아적 발상의 근원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해 1500년대 이후에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5개의 유토피아(남조선, 오복동, 율도국, 무인공도, 비지지지)의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천사상, 길지사상, 무릉도원사상, 미륵정토사상 등이 검토되었고 이어도 전설도 성격상 관념적이기 때문에 유토피아 자체로서보다는 발상의 차원에서 거론하였다. ※ 키워드 : 유토피아, 남조선, 오복동, 율도국, 무인공도, 비지지지, 천사상, 길지사상, 무릉도원사상, 미륵정토사상 ※ 페이지 : p74~79
  • 실내조경프로젝트 ; 용산 미8군 Dragon Hill Lodge
    본 호텔은 용산 미8군 영내에 위치하여 주한미군과 주한 외국인을 주 이용대상으로 하는 외국인 전용 호텔이다. 로비공간에 대한 자연환경의 도입이 건물 내부공간에 충실하게 반영되고 있고 내부동선과 기능이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되었다. 실내의 내벽과 post마감이 외부마감과 동일한 질감으로 도입되고 창의 배치가 많이 계획되어 로비공간이 외부자연환경을 최대로 받아들여 식물의 생육관계 등 실내조경계획의 유리한 조건이 많았다. 본 Dragon Hill Lodge은 아트리움은 형태상으로 볼 때 건물 후면부착형으로 지하1층, 1층로비, 2층로비, 3개층을 수용하여 로비공산을 자연광에 의한 실내조명조절로 로비공간을 전체적으로 반외부적, 반내부적 공간으로 구성한다. ※ 키워드 : Dragon Hill Lodge, 실내조경, 로비, 아트리움 ※ 페이지 : p104~109
  •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조경수는 기상적인 피해와 환경적 피해를 받기 쉬우며, 실제로 그러한 피해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수종에 따른 제 조건을 무시하고 조경수로서의 가치와 모양을 중시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조경수는 대경목을 이식하기 때문에 뿌리절단에 의한 수세 쇠약으로 각종 피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조경수의 기상적 피해는 크게 저온에 의한 피해, 고온에 의한 피해, 피소에 의한 피해, 풍해에 의한 피해, 설해에 의한 피해, 수해에 의한 피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조경수의 보호관리에 있어 환경에 대한 피해 즉 지역의 기후풍토, 식재지의 환경조건, 지역적 공해피해 등을 무시한 조경은 상당히 어려운 점이 많다. ※ 키워드 : 조경수, 조경수 피해, 환경적 피해, 기상적 피해 ※ 페이지 : p116~121
  • 독일연방공화국의 환경정책 ; 예방적 환경보호정책
    예방적 환경보호정책에 대한 독일연방공화국 연방정부의 대표적인 정책 프로그램은 1986년의 “예방환경을 위한 주요지침”이라 볼 수 있으며, 이 지침에서 정부는 다음과 같이 발표하고 있다. “예방환경은 구체적인 환경위험으로부터 환경을 수호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처리를 포괄한다. 즉 위험수호의 전지에서 현재의 환경과 예견되는 미래의 환경에 대한 위험의 감소 또는 감면을 위해 종사되는 모든 취급 특히 자연적 생활기반의 보호와 발전에 소용되는 모든 취급을 말한다. 책임있는 환경정책은 환경에 대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적으로 다룬다. 환경피해에 대한 예방은 연방정부에 있어서 자연적 생활기반을 보호·개발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를 통하여 미래세대의 계발을 위한 자유공간을 보존하기 위하여 인간다운 생활형태의 선견적 환경형태를 의미한다.” ※ 키워드 : 독일, 독일의 환경정책, 예방환경, 예방적 환경보호※ 페이지 : p69~73
  • 그림으로 본 옥호정
    옥호정은 조선왕조 제23대 왕인 순조(順租)의 자인이 되는 김조순(1765~1831)의 집이다. 이 옥호정도는 조선시대 사대부 민가의 높은 격조를 보여주는 구성과 기법을 가지고 있다. 옥호산방의 이 민가조원은 그리 화려하지도 않고 거북스럽지도 않게 초가와 와가를 알맞게 배치하고 자연에 도화되어 문아(文雅)하고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우리는 여기서 처음으로 죽정을 볼 수 있으며 초누(草樓)같은 건물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인들만의 후원을 가진 특이한 배치도 본다. 지당이란 연을 심는것으로만 알고 있으나 여기서는 하늘에 뜬 구름의 영상을 보고자 했으며 그는 첩운정(疊雲亭)이란 정자 이름에서도 엿볼 수 있다. ※ 키워드 : 옥호정, 옥호산방, 초누, 첩운정, 죽정 ※ 페이지 : p110~115
  • 원야
    무릇 원림을 조성할 경우에는 촌락이나 도시근교를 가릴 것 없이 지역이 외진 곳을 훌륭한 장소로 여기니 개림의 경우에는 더부룩하게 자란 쑥 등의 잡초를 제거하고 경물은 주변환경에 따라 드러나게 하는 것이니 재간의 경우에는 난초와 어수리 등의 향초를 함께 가꾼다. 길을 따라서 솔, 대, 매화의 세 유익한 벗을 심어 천추에 전할만한 기반을 만든다. 담벼락은 담쟁이 넝쿨 사이로 보일락 말락 숨어있게 만들고, 집과 지붕은 나뭇가지 끝에 굼실굼실 넘놀게 만든다. 산위의 누에 기대어 먼곳을 조망하면 사방의 풍경이 모두 눈에 가득차고, 대나무 밭사이로 그윽한 분위기를 찾아가면 그 풍경에 마음이 한껏 취한다. 난간과 기둥은 높아 훤하게 솟아 있고, 창과 문은 크고 많이 있어 일천 이랑의 넘실대는 물빛을 받아들이게 하고, 사시사철 변화하는 흐드러진 풍광을 거두어 들이게 만든다. ※ 키워드 : 고전, 조경서 ※ 페이지 : 129 -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