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쉬후이 활주로 공원 Xuhui Runway Park
    ‘쉬후이 활주로 공원(Xuhui Runway Park)’은 상하이의 역사에 생명을 불어넣는 혁신적 도심 재생 프로젝트다. 쉬후이 구에 위치한 8.24헥타르 규모의 대상지는 1949년까지 약 80년간 상하이의 유일한 민간 공항으로 운영된 룽화 공항(Longhua Airport)의 활주로였다. 대상지의 역사를 반영하고자 활주로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에 착안해 공원과 거리를 하나로 묶는 통합 시스템을 구성했다. 이를 통해 차량, 자전거, 보행자를 위한 다채로운 선형 공간이 탄생했다. 모든 공간이 선적인 형태를 띠지만,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하고 여러 가지 소재와 지형, 프로그램을 사용해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활주로는 현대인들을 위한 공원으로 다시 태어나 여가 생활을 위한 공간과 주변을 둘러싼 도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피난처를 제공하게 됐다...(중략) *환경과조경391호(2020년 11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Sasaki Client Shanghai Xuhui Waterfront Development InvestmentConstruction Location Xuhui, Shanghai, China Area 8.24ha Completion 2019 Photographs Insaw Photography 사사키(Sasaki)는 전 세계의 대규모 국제 사무소, 문화 지구 계획, 고등 교육을 위한 캠퍼스, 소규모 사무 공간 등을 설계해왔다. 다양한 스케일의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문제점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넓은 스펙트럼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대상지의 문화적 맥락을 수용하는 전략을 세우기 위해 노력한다.
    • Sasaki
  • 상하이 조선소 강변 공원 Shanghai Shipyard Riverside Greenland
    황푸 강(Huangpu River)은 타이 호(Tai Lake)에서 발원해 양쯔 강으로 흘러드는 133킬로미터의 지류다. 상하이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고 바다와 가까워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공장과 부두, 야적장, 창고가 들어섰으며 조선업 등 대규모 산업 시설의 적지로 손꼽혔다. ‘상하이 조선소 강변 공원(Shanghai Shipyard Riverside Greenland)’은 황푸 강 연안을 따라 기획 중인 45킬로미터에 달하는 그린벨트 프로젝트의 일환이자, 조선소가 건립된 1862년으로 거슬러 올라 유구한 해양 산업 역사의 맥을 잇는다. 대상지는 황푸 강 동쪽 지역인 푸둥(Pudong)의 중심지에 있던 조선소다. 쓸모를 잃은 조선소 부지를 11킬로미터에 달하는 강변 공원으로 재탄생시켰다. 강변에 잔디밭, 원형극장, 습지, 초지,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를 테라스식으로 배치했는데, 이는 공공 공간일 뿐 아니라 강의 범람에 대응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공원은 황푸 강변을 따라 역동적인 도시 활동이 펼쳐지게 하려는 커다란 비전의 일부분이다. 최근 상하이 시는 황푸 강 동쪽 연안을 따라 길이 21킬로미터에 달하는 대규모 재건축 사업을 시작해 상하이의 경관을 강변까지 확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또한 주변 지역과 강을 연결하는 생동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이로써 강변 공원과 선형 보행로로 채워진 일련의 공공 공간이 조성되어, 이전에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던 강과 땅의 경계에 활기를 채우고 있다. 황푸 강과 도심을 잇는 새로운 연결고리가 사람들의 삶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고 상하이의 상징적인 스카이라인에 독특한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다....(중략) *환경과조경391호(2020년 11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DLC(Design Land Collaborative) Architect OMA(Exhibition Centre), Kengo Kuma(Music Hall) Client Shanghai East Bund Investment Location Huangpu River Edge, Shanghai, China Length 11km Completion 2019 Photographs DLC DLC는 걷기 좋은 도시를 꿈꾼다. 고속도로보다 산책로를 더 중요히 여기고, 어떤 도시에서든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문화 및 사회 편의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도시에서 긍정적인 감각을 느끼게 하는 장소를 만들고, 사람 간의 교류와 레크리에이션, 커뮤니티 형성에 도움이 되는 설계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DLC
  • 탐마삿 대학교 옥상 농장 Thammasat University Urban Rooftop Farm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및 물 부족은 인류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방콕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은 한때 풍부한 식량 자원을 생산하는 농업 사회였으나,무분별한 도시화로 인해 생산 환경은 훼손되고 지역의 식량 자급력이 떨어지게 되었다. 2050년이 되면 계 인구의80%가 도시에 살게 된다.잘 사용되지 않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생산지로 활용해 식량 안보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방콕 북부에서 약 30km 떨어진 탐마삿 대학교 랑싯 캠퍼스(Thammasat University Rangsit Campus)에 대규모의 유기농 옥상 농장을 조성했다. 기후 문제에 대한 해법과 태국의 역사, 문화, 경관, 토지를 아우르고자 했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체계, 재생 에너지, 효율적 물 관리 시스템, 공공 공간이 결합된 옥상 농장은 캠퍼스에 순환 시스템을 형성하고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인다. ...(중략) Landscape Architect LANDPROCESS Architectural Design Arsomsilp Institute of the Arts Interior Design Dimensional Interpretation Structural Engineering Degree System MEP Engineering TPM Consultants Graphic Designer Be Our Friend Construction Management CM49 Client Thammasat University Location Thammasat University Rangsit Campus, Pathum ThaniProvince, Bangkok, Thailand Area Total Area: 60,000m2 Green Roof: 22,000m2 Completion 2019 Photographs Dsignsomething, Jinnawat Borihankijanan,LANDPROCESS, Panoramic Studio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랜드프로세스(LANDPROCESS)는 꼿차꼰 보아콤(Kotchakorn Voraakhom)이 2011년 설립한 방콕의 조경설계사무소다. 땅과 사람의 조화를 꾀해 미래의 불확실한 기후에 대응하며, 옥상 녹화, 도시 숲, 습지, 공원과 같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경관을 보존하고 확장하고자 한다. 대상지와 그곳의 환경, 사람들과 대화하는 과정의 힘을 믿으며 현지 문화와 역사, 땅의 맥락을 존중하는 설계를 한다.
    • LANDPROCESS
  • 쭐랄롱꼰 대학교 백주년 공원 Chulalongkorn University Centenary Park
    해수면 상승, 폭풍 해일, 예기치 못한 폭우 등 급변하는 기후 환경으로 인해 세계 전역의 저지대 도시들이 수해에 대비하고 있다. 방콕은 차오프라야(Chao Phraya)강의 범람원에 조성된 도시로 물과 상호 작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하지만 폭발적인 개발 추세는 땅 본연의 지질학적 특성을 무시하고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키는 많은 물길과 농지를 없앴다. 도시 확장에 따른 과도한 지하수 사용과 고층 건물로 인한 하중 증가는 지반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해수면이 점차 상승하며 방콕은 매년 2센티미터씩 가라앉고 있다. 이대로라면 2030년에는 도시 전체를 비롯한 많은 주변 지역이 침수될 것이다. 게다가 방콕의 1인당 공공 녹지 면적은 3제곱미터로 매우 낮은 편이다. 방콕 중심부에 위치한 대상지는 쭐랄롱꼰 대학교(Chulalongkorn University)소유의 상업용 부지였다. 2012년 대학은 창립 백주년을 맞아 지역 사회를 위한 공원을 조성하는 설계공모를 열었다. 기후 변화로 인해 도시에 극심한 가뭄과 강우가 일어나는 가운데 100년 후의 방콕이 무엇을 직면하게 될지를 고민했다. 새로운 공원은 단순히 아름답거나 여가를 위한 목적으로만 조성되어선 안 된다. 다가오는 기후 변화와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더 많은 녹지와 회복탄력성 높은 조경 공간이 필요하다. ...(중략)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LANDPROCESS Architectural Design N7A architects Structural Engineering Civil And Structural Engineers MEP Engineering EEC Engineering Network Main Contractor Syntec Construction Construction Manager Consulting & Management 49 Softscape Contractor Cordia Graphic Designer G49 Client Chulalongkorn University Location Bangkok, Thailand Area Park: 44,800m2 Road: 1.57km Completion 2017 Photographs LANDPROCESS, VARP Studio, Panoramic Studio, Property Management of Chulalongkorn University, Suratchana Pakavaleetorn 랜드프로세스(LANDPROCESS)는 꼿차꼰 보아콤(Kotchakorn Voraakhom)이 2011년 설립한 방콕의 조경설계사무소다. 땅과 사람의 조화를 꾀해 미래의 불확실한 기후에 대응하며, 옥상 녹화, 도시 숲, 습지, 공원과 같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경관을 보존하고 확장하고자 한다. 대상지와 그곳의 환경, 사람들과 대화하는 과정의 힘을 믿으며 현지 문화와 역사, 땅의 맥락을 존중하는 설계를 한다.
    • LANDPROCESS
  • 토론토 대학 DFALD 캠퍼스 University of Toronto DFALD
    도시에 미치는 영향과 새로운 연결 캐나다 토론토(Toronto)는 격자무늬의 도로가 특징적인 계획도시다. 토론토 도심에 자리한 원 스파디나 크레센트(One Spadina Crescent)는 토론토 대학의 건축, 조경 및 디자인을 가르치는 존 H. 대니얼스 학부(John H. Daniels Faculty of Architecture, Landscape and Design)(DFALD)가 있는 건물이다. 토론토 대학 세인트 조지 캠퍼스(St. George Campus)의 중요 관문이며, 흔치 않게 원형 부지에 놓여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대상지 인근의 녹스 대학(Knox College)과의 관계를 고려했는데, 녹스 대학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임에도 불구하고 주차장과 출입이 불가능한 잔디밭으로 인해 주변과 단절되어 교통섬 같은 장소가 되어버린 상태다. 따라서 대상지를 넘어 그 주변 지역을 물리적, 시각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특정 구역이 섬처럼 고립되는 현상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토론토 도심에 스파디나 남북축을 따라 새로운 활기를 부여하고자 했다. 서쪽의 학부 건물과 인근 지역, 동쪽의 대학 캠퍼스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진입 광장, 보행자 연결로, 산책로를 계획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PUBLIC WORK Concept: Marc Ryan, Adam Nicklin, Lauren Abrahams, Gerardo Paez, Chester Rennie, Stephanie Braconnier, Seven Xiru Chen Detail Design & Delivery: Marc Ryan, Adam Nicklin, Ben WattMeyer, Guangyu Zhao, Lauren Abrahams, Virginia Fernandez Lead Consultant NADAAA Architect of Record Adamson Associates Heritage ERA Civil Engineering A.M Candaras Associates Structural Engineering Entuitive Electrical Engineering Mulvey & Banani Client University of Toronto Location Toronto, Ontario, Canada Area 2ac Completion 2019 Photographs Michael Muraz, Nic Lehoux, PUBLIC WORK 퍼블릭 워크(PUBLIC WORK)는 현대 도시의 지적 진화에 초점을 맞춘 도시 및 조경 설계 스튜디오다.공공 공간 활성화,도시와 생태계의 기능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도시에 새로운 경험의 층을 마련해 공공을 위한 혁신적인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UBLIC WORK
  • 벤트웨이 The Bentway
    도시 과밀 현상이 계속되며, 활용할 수 있는 빈 땅을 찾기 힘들어졌다. 공공 공간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 때다. 주어진 조건 내에서 새로운 방식의 작업을 통해 극적인 효과를 끌어내야 한다. 가디너 고속도로(Gardiner Expressway)는 20세기 교통 정책으로 탄생한 분열의 상징물이다. 이를 재해석해 토론토의 문화와 정신을 드러내는 공공 공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디자인과 프로그램을 융합해 창의적 형태이면서도 공공의 경험을 담을 수 있는 플랫폼을 고가 하부에 계획했다. 독특한 공간 환경, 미기후, 문화, 역사, 지역 사회를 고려해 대상지의 새로운 용도를 탐색하는 것은 물론, 다른 도시와 차별화되면서 진화해나가는 프로그램을 계획했다. 도시 전역의 지역 커뮤니티와 잠재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계 진행 과정과 프로그램 계획을 공유했으며, 새로 설립된 벤트웨이 컨서번시(The Bentway Conservancy)가 프로그램 운영을 맡아 이어가고 있다. 벤트웨이)The Bentway_는 일곱 개의 동네를 하나로 묶고, 포트 요크(Fort York)국립 역사 유적지 등 주요 지역 명소로의 접근성을 확장한다. 또한 점차 증가하는 토론토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고속도로를 받치고 있는 콘크리트 기둥인 벤트(bent)에서 콘셉트를 도출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Lead Deign PUBLIC WORK(Marc Ryan, Adam Nicklin, LaurenAbrahams, Virginia Fernandez Rincon, Chester Rennie, BenWatt-Meyer, Melissa Tovar, Clint Langevin, Laura Ettedgui,Golnaz Jamshidi) Urban Design Greenberg Consultants Structural Blackwell Lighting Tillett Lighting Design Associates Electrical DPM Energy Civil and Mechanical WSP Signage and Wayfinding Bespoke Cultural CollectiveArchitect, Strachan Gate Building Gensler Skating Building Kearns Mancini Architects Fountain Design DEW Client Waterfront Toronto Location Toronto, Ontario, Canada Area Public Space: 10ac Trail: 1.75km Completion 2018 Photographs Droneography Aerial Imaging, Nic Lehoux, PUBLC WORK, Sean Galbraith, The Bentway Conservancy 퍼블릭 워크(PUBLIC WORK)는 현대 도시의 지적 진화에 초점을 맞춘 도시 및 조경 설계 스튜디오다. 공공 공간 활성화, 도시와 생태계의 기능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 도시에 새로운 경험의 층을 마련해 공공을 위한 혁신적인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UBLIC WORK
  • 카라타 헬스 캠퍼스 Karratha Health Campus
    카라타 헬스 캠퍼스(Karratha Health Campus)는 서호주에서 최대 규모의 투자를 받아 조성된 의료 기반 시설이다. 이 새로운 의료 시설이 호주의 오지로 일컬어지는 북서부 지역의 의료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병원 환경을 개선하고, 환자와 그 가족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카라타의 녹지축을 도심으로 확장하는 등 캠퍼스 전역의 경관과 공공 보건 시설을 설계했다. 풍부한 식물과 관개 시설 덕분에 필버라(Pilbara)의 혹독한 기후 조건 속에서도 새로운 도시의 풍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병원 직원, 카라타 시 정부, 호주 원주민인 네갈루마(Ngarluma)와 협업해 지역 공동체 모두가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공 공간을 조성했다. 카라타에 지속가능한 경관을 설계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날씨를 비롯한 여러 여건이 극단적인데, 높은 기온과 습도, 간헐적인 국지성 강우, 심지어 사이클론까지 고려해야 했다.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식물을 자라게 하는 법 반건조 기후대에 속하는 필버라의 공공 공간에는 풍성한 식물과 그늘이 꼭 필요하지만, 관개에 필요한 물을 손쉽게 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카라타의 지하수에는 염분이 섞여 있고, 강수량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상지의 사전 개발 단계는 거대한 모래밭에서 이루어졌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엔지니어와 협업해 혁신적인 관개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병원의 에어컨 설비에서 발생한 응축액, 역삼투압 시스템에서 비롯된 역류수를 지하 수조에 저장해 재활용한다. 일 년 중 가장 더운 달 매일 30킬로리터에 달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데, 뒷마당의 수영장을 가득 채울 수 있는 양이다. 관개 시스템을 통해 병원의 경관을 유지하고, 건물 안팎으로는 온화한 미기후가 형성되어 녹지 공간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고 있다. ...(중략)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Hassell Owner Western Australian Government | Department of Health& WA Country Health Service Architecture Hassell Structural, Civil Pritchard Francis Mechanical, Electrical, Hydraulics, Security & ESDWood & Grieve Engineers Compliance Philip Chun Irrigation LD Total Public Art Consultant FORM Landscape Contractor Multiplex/Frogmat Artists Simon Gilby, Leanne Bray, Ian Dowling, Cliff Samson, KyleHughes-Odgers Client Multiplex Location Karratha, Australia Area 1.3ha Completion 2018 Photographs Douglas Mark Black, Robert Frith 하셀(Hassell)은 아시아,호주,미국,영국에 사무실을 둔 국제적 설계사무소다.전략적 통찰과 창조적 디자인을 결합해 대상지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가치를 드러내는 공간을 만든다.전 세계의 연구,산업,디자인 분야 전문가와 협업하며 지역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데 힘쓰고 있다.
    • Hassell
  • 세 번째 열차의 정원 The Third Train
    프랑스 최북단에 위치한‘오드프랑스(Haut-de-France)’는 제1차 세계대전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적 지역이다.영국·프랑스 연합군과 독일이 벌인 솜(Somme)전투의 격전지로,이때 발생한 사상자가 백만 명에 달했다. 1918년11월11일,연합군과 독일군은 레통드(Rethondes)마을 콩피에뉴(Compiegne)숲속의 열차에서 만나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그로부터100년이 지난2018년, 프랑스와 독일 정부는 종전 100주년을 기념해 오드프랑스의 다양한 역사적 장소에 여러 개의 추모 정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조경가 마르 블루메(Marc Blume), 건축가 프란체스카 리기에리(Francesca Liggieri)와 함께 콩피에뉴 숲에 만들 평화의 정원을 설계했다. 주차장과 휴전 기념터(Clairiere de l'Armistice)를 연결하는 길 양옆을 상징적인 보행 공간으로 조성해, 방문객들이 역사적 장소에 닿기 전 인상적인 경험을 하기를 바랐다. ...(중략) *환경과조경389호(2020년 9월호)수록본 일부 Team Marc Blume, Gilles Brusset, Francesca Liggieri Client Association Arts & jardins | Hauts-de-France, Les jardinsde la paix Location Compiegne, France Area 500m2 Cost 50,000€ Completion 2019 Photographs Pierre-Yves Brunaud 질 브뤼셋(Gilles Brusset)은 공공 공간의 예술화를 지향한다.물리적 공간은 하나의 거대한 조형물이며,대상지는 미완의 예술 작품으로 여긴다.파리벨빌 건축학교와 베르사유 국립건축학교를 졸업했으며 시설물,조경,건축,도시계획 등 폭넓은 분야에서 차별화된 공간을 구현하고 있다.주요 작품으로는 아이티 프랑스 대사관 앞의 에트알레 드 테르(Etoile De Terre, 2018),프랑스 클리시의 빈터에 설치된 트랑슈 드빌(Tranches De Ville, 2013)등이 있다.
    • Gilles Brusset
  • 퍼시픽 플라자 Pacific Plaza
    ‘퍼시픽 플라자(Pacific Plaza)’는 댈러스 중심 상업 지구에 조성된 공원이다. 댈러스 시는 민간 단체 ‘댈러스 도심 공원(Parks for Downtown Dallas)’과 협력하여 2013 다운타운 파크 마스터플랜의 일환으로 도심에 공원을 마련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공공의 지원과 민간 단체가 마련한 기부금으로 네 개의 공원이 조성되는데, 첫 번째로 퍼시픽 플라자가 완공됐다. 설계에는 안전하고 수준 높은 외부 공간에 대한 지역민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됐다. 대상지는 과거 철도 용지였고 이후 주차장으로 이용되어 왔다. 사방이 고층 건물로 둘러싸인 광장에 명상적 분위기와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인근의 오크 나무 군락을 활용했다. 대상지 동쪽 길 건너편에 작은 공원이 있었는데, 중간의 차로를 없애고 수목은 그대로 둔 채 공원을 재조성했다. 이 애스턴 그로브 파크(Aston Grove Park)는 광장 진입부로 역할하며 방문객에게 충분한 그늘을 제공하고, 오래된 나무가 주는 장엄한 느낌을 선사한다. 인접한 차도와의 분리를 위해 주변보다 지대를 높여 광장을 조성했다. 중앙에는 콘서트부터 축구 경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1에이커 크기의 잔디밭을 마련했다. 북쪽의 노스 하우드 가(North Harwood Street)와 면한 가로수 산책로에는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높이고 안전한 보행을 가능케 했다....(중략) *환경과조경386호(2020년6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SWA(Chuck McDaniel, Andy Harcar,Amanda Kronk, Yuan Ren, Rob Rider, Todd Strawn) Pavilion Architect HKS Line Studio Engineers Brockette/Davis/Drake, Kimley-Horn Lighting Design Scott Oldner Client Parks for Downtown Dallas Location Dallas, Texas, USA Area 3.74ac Completion 2019 Photographs Bill Tatham SWA는 댈러스, 휴스턴, 로스앤젤레스, 뉴욕, 샌프란시스코, 상하이 등 세계 각지에 일곱 개의 오피스를 두고 있는 조경 및 도시설계사무소다. 공공의 오픈스페이스는 대도시를 구성하는 기반 시설의 필수적 요소이며 공원, 거리, 광장과 같은 공간이 도시에 활력을 더하고 평등성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믿는다. 도시공원부터 대학교 캠퍼스, 상업 단지, 리조트, 지구 단위 계획에 이르는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SWA
  • 프륌 광장 Hahnplazt Prüm
    독일 서부의 작은 도시 프륌(Prum)의 중심에는 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이자 지역의 랜드마크인 세인트 살바토르 바실리카 성당(St. Salvator Basilica)(이하 바실리카 성당)이 있다. 성당 전면의 광장은 3.5m 높이의 옹벽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있었다. 이곳에 적당한 규모, 명확한 구조의 공공 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그 결과 모든 방향으로 열려 있으며 바실리카 성당을 향한 경의를 느낄 수 있는 마을 광장이 탄생했다. 이 생동감 넘치는 공공 공간은 매력적이고 유용하며 풍부한 경험을 선사한다. 광장 서쪽의 원형 교차로에서 만나는 두 개의 주요 도로도 새롭게 정비했다. 인접한 측면 도로를 광장과 같은 재료로 포장해 하나의 공간처럼 느껴지게 했다. 무연탄색 현무암은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재료로, 다양한 형태들을 연속적인 하나의 경관으로 느끼게 한다. 장소의 기능과 구조에 따라 포장에 사용되는 기법과 석재 블록의 크기를 달리했는데, 이를 통해 보행자에게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었다. 즉 공공성이 한층 강화된 셈이다....(중략) *환경과조경386호(2020년6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Planorama Client City of Prum Location Hahnplatz, Prum, Rheinland-Pfalz, Germany Design 2013~2019 Completion 2019 Photographs Nikolai Benner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조경설계사무소 플라노라마(Planorama)는 2006년 마이크 뵈머(Maik Bohmer)가 설립했으며, 개인 정원부터 도시의 프롬나드, 광장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대상지의 다양하고 복잡한 조건과 사용자에 따라 설계의 윤곽이 달라진다고 생각하며, 주민은 물론 방문객의 특성까지 고려한 세심한 분석을 토대로 설계를 진행해 왔다.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설계 해법을 지향하며, 수준 높은 디자인의 오픈스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 Planorama
<<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