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이미지 스케이프] 버드 아이 뷰
    창가? 복도?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나요. 고속버스나 기차, 비행기를 탈 때 한 번쯤은 고민합니다. 꼭 짜장면이냐 짬뽕이냐 같은 선택. 가방을 짐칸에 올리거나 화장실 가기엔 복도 쪽이 더 편하긴 한데, 저는 창밖 풍경을 보는 걸 좋아해서 주로 창가를 선택합니다. 날이 좋으면 좋은 대로, 흐리면 흐린 대로, 비가 오면 비 오는 대로 다 보는 맛이 있거든요. 운이 좋은 날에는 멋진 일몰이나 무지개도 볼 수 있습니다. 드론으로 찍은 거예요? 요즘 경관자원조사 드론 사진을 SNS에 계속 올렸더니 이번 사진에도 이런 댓글이 달렸더군요. 이 글을 읽는 분 중에도 드론 사진이라 생각한 분이 있을 겁니다. 좀 허무하긴 하지만 이번 사진은 비행기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그러니까 좀 큰 새(?)의 눈으로 본 풍경인 셈입니다. 아마 드론으로는 이런 높이에서까지 찍기 어려울 거예요....(중략)... *환경과조경377호(2019년9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에디토리얼] 맥하그의 유산
    1969년은 현대 조경사의 분수령이다. 분야의 혁신과 영역의 확장을 이끈 새로운 조경 전도사이안 맥하그Ian L. McHarg(1920~2011)가『디자인 위드 네이처(Design with Nature)』를 출간한 1969년을 기점으로 조경 이론과 실천은 변화의 함수를 그려나가기 시작한다. 출간 50주년을 맞은 2019년, 미국 조경학계는『디자인 위드 네이처』를 재조명하고 맥하그가 현대 조경에 남긴 유산을 재평가하는 작업으로 분주하다. 책의 산실인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맥하그 센터(The McHarg Center)가 설립되어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전시회를 기획했다. 지난 6월에는 대규모 컨퍼런스가 열렸고, 오는 10월에는 그의 거대한 그늘 속에서 성장과 탈주를 거듭해 온 이론가와 조경가들이 모여 함께 집필한 책, 『디자인 위드 네이처 나우(Design with Nature Now)』가 우리 앞에 놓일 예정이다. 학과 도서실 책장 한구석에서『디자인 위드 네이처』 초판본을 꺼내 다시 펼쳐본다. 50년이 흐른 지금, 이 책이 제시한 철학과 방법론은 이제 선택지가 아닌 당위이고 변수가 아닌 상수다. 자연환경의 여러 요소와 시스템을 면밀히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중첩해 적지를 찾아내는 방법은 오늘날의 계획에서는 당연한 절차지만 1960년대에는 가히 혁명적인 것이었다. 자연과 싸워 자연을 이겨내는 역사를 일구어 온 인간이 비로소 그 결과에 대해 반성하고 미래의 어두운 그림자를 알아채기 시작한 1960년대 말, 맥하그의 생태 계획은 환경 문제에 대한 자각과 새로운 인식을 낳은 시대정신과 맥과 결을 같이 하는, 당시로서는 최첨단의 발상이었던 셈이다. 맥하그를 기점으로 조경은 변신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그 동력은 생태학이라는 이름의 과학이었다. 맥하그는 생태학의 힘을 빌려 조경과 조경 교육을 과학화했다. 뿐만 아니라 조경이 단지 왕후장상이나 자본가의 정원 뒤치다꺼리를 넘어 환경 문제의 해소에 기여함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행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험했다. 조경 전문업의 영토를 확장하고 조경만의 전문 기술로 광역 계획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모더니즘 시대에 정체된 조경의 탈출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맥하그식 생태 계획은 조경에서 포스트모던한 사고의 등장을 알리는 징후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맥하그의 접근 방법이 환경결정론, 즉 또 다른 형태의 인간-자연 이원론이라는 부정적 평가는 이미 그의 전성기에도 팽배했다. 도구주의적 자연관을 극복하고자 한 시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인간 문화의 역동적 접점을 소홀히 여겼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맥하그의 유산은 조경의 과학-예술 이분법을 심화시킨 혐의를 피하기 어렵다. 폭넓은 생태학의 가능성을 경직된 과학 일변도로 몰아감으로써 생태학에 담긴 상상력이나 창조성과 같은 측면을 위축시켰다는 것이다. 조경의 과학화는 디자인의 침체를 낳았고, 조사, 분석, 설계의 일방향 프로세스는 형태의 디자인과 결코 교점을 갖기 어려웠다. 『디자인 위드 네이처』는 조경의 지향과 방법론을 바꾼 이론이자 동시에 사회적 영향력을 탑재한 실천이었다. 맥하그의 유산은 오늘의 토론을 초대한다. 현대 조경을 화장술의 굴레로부터 해방시킨 진보의 토양인가, 현대 조경의 진행 방향을 뒤흔든 이단인가. 평가는 엇갈리지만, 적어도『디자인 위드 네이처』가 현대 조경 이론사의 서막을 열었다는 점만큼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도시의 시스템을 경관으로 매개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배경에도,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회복탄력적(resilient)설계의 이면에도 맥하그가 자리하고 있다. ‘1969년 이후의 조경이론’이라는 제목으로 10년 넘게 이어가고 있는 대학원 세미나에서 한 박사과정 학생이 제출한 글의 마지막 문단을 옮긴다. “변화하는 동시대 조경에 맥하그는 언제나 새로운 문제를 던진다. 우리에게 맥하그는 거대한 그림자다. 숲에 드리워진 어두운 그림자가 아닌, 한 발짝씩 앞서 걸어가는 족적처럼 안심을 주는 그림자다. 강렬한 햇빛에 반사되어 쳐다보기도 힘든 정오의 땅 위에, 옅은 그림자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길을 제시하지 않는가. 한 발자국 걸어 나갈 방향을 잡아준다는 점에서 맥하그의 생태적 조경관은 오래된 이정표와 같다. 이 이정표의 올바른 사용법은 우리가 계속 고민할 문제일 것이다”(신명진). 이번 호에는 뢰번 가톨릭 대학, 런던 대학, 글레스고 대학, 텍사스 대학 등 최근의 캠퍼스 프로젝트를 모아 싣는다. 대학 캠퍼스와 도시 공간의 함수 관계가 흥미롭다.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식재 설계
    식재 설계, 도면으로 말하기 살아 있는 생물인 수목이 가지는 특징, 삼차원 사물의 이차원적 표현, 식물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감성, 취향의 차이 등으로 인해 명확한 규격이 없는 데다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까지 하는 식물을 확정된 도면으로 말하기란 매우 어렵다. 기본적으로 표현되는 식재 위치와 규격, 물량 정보 외에 설계 의도를 노트나 삽도를 통해 짤막하게라도 언급하면, 시공자는 비교적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고 설계자도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번 연재에서는 식재 설계에 관한 방법론보다 식재 설계 내용을 시공자에게 도면으로 말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김기천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 전략디자인본부를 이끌고 있다. 조경 이론과 담론이 왕성하던 2000년대 초부터 여러 설계 이슈에 그룹한의 고민들을 담아내며 다양한 유형의 공공 오픈스페이스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다양화하며 설계가의 고민을 공간에 구현하는 접근 방식에 관심이 많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국제 설계공모, 시흥 배곧생명공원, 영천 렛츠런파크, 양평 현대 연수원 블룸비스타 등이 있다.
  • [그리는, 조경] 하늘에서 내려다보기
    한눈에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는 관광지의 인기 장소다. 지상을 거닐다 같은 장소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묘한 감정에 휩싸인다. 아등바등 치열히 살아가던 삶이 미니어처가 되어버린 광경을 보고 누군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느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마침내 이곳을 모두 보았다는 성취감에 뿌듯할지도 모른다. 후자의 감정은 높은 곳에서 장소를 내려다보는 행위가 지닌 우월감과 뒤섞여 있다. 전망의 특권, 그것은 장소에 대한 소유와 지배의 감각과도 연결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점, 즉 공중 뷰(aerial view)는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다. 전망 좋은 음식점이나 아파트 등의 실제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상 지도 서비스 같은 시각 이미지를 통해서도 우리는 새의 시점, 즉 조감(bird’s eye view)의 주체가 된다(그림 1). 이 시점은 움직이기도 한다. 자연과 도시를 항공 촬영한 다큐멘터리, 게임, 영화, 각종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플라이스루(flythrough)는 세상을 내려다보면서 항해하는(navigating)희열을 제공한다. 조경 설계와 계획에서도 공중 뷰가 자주 이용된다. 항공 사진과 위성 사진을 이용해 대상지와 주변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보이지 않는 여러 경관 데이터를 지도로 만들어(mapping)대상지와 관련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도 한다. 도시 스펙터클로서 공중 뷰 항공 사진은 도시와 자연 경관에 대한 스펙터클(spectacle)을 제공하고, 그리하여 경관 설계와 계획에도 자주 활용되어 왔다. 최초의 항공 사진은 1858년 프랑스 사진가이자 열기구 조종사였던 가스파르 펠릭스 투르나숑(Gaspard-Felix Tournachon)(1820~1910, 일명 나다르Nadar)이 열기구에 탑승해 파리 시가지를 촬영한 것이다. 십 년 후 나다르가 포착한 파리의 공중 뷰는 오스만(Haussmann)의 파리 도시 개조 프로젝트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그림 2). 개선문을 중심으로 시원하게 뻗은 방사선의 대로, 하수관, 공원, 토목 구조물을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스트럭처의 질서와 이들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1 같은 시대 도시의 공중 뷰는 손으로도 그려졌다. 공중 뷰는 높은 곳에서 바라본 시점이므로 작은 공간보다 대규모 도시를 바라보고 시각화하는 데 적절했다. 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더 넓은 장소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카메라 발명 이전에도 이미 인간은 하늘에 올라 도시를 내려다보았다. 18세기 후반 인간은 열기구를 타고 하늘에 올라 도시를 조감했다(그림 3). 도시가 발전하면서 도시 조감도도 많이 생산되었다. 공중 뷰는 도시를 시각화하고 대중에게 소비되는, 말하자면 도시를 향유하는 방법 중 하나였다.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1.Charles Waldheim, Landscape as Urb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배정한·심지수 역,『경관이 만드는 도시: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실천』,도서출판 한숲, 2018, p.175.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 [공간의 탄생, 1968~2018] 2000년대 공간의 탄생, 지방의 도시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개발 전후 지방을 살려라 지난 연재에서 한국 도시화 50년의 두 번째 공간 사례로 근교의 도시화에 대해 1기 신도시와 200만 호 건설 계획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연재에서는 세 번째 사례로 2000년대 지방의 도시화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지방과 지방의 도시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지방地方, province은 구체적으로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을 뜻한다.1 다시 말해 지방은 서울, 수도권 또는 중앙 등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서울 이외, 수도권 이외 또는 중앙 이외의 지역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지방이라는 개념이 우리에게는 상당히 익숙하지만, 미국 같이 주별 또는 지역별 자치권이 분명한 연방 국가에서는 낯선 편이어서 이를 설명하거나 번역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방의 도시화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도시화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지방의 도시화는 역설적으로 서울과 서울 이외 지역의 도시화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2000년대에 이르면서 중앙 정부는 더 이상 서울과 지방의 도시화 격차를 묵과할 수 없게 되었다. “말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는 옛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중심의 절대적 공간 패권은 1962년 이후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나타나게 되었다.2 이와 같은 서울의 과밀 및 국토 불균형 문제는 1970년대 초반부터 국가의 중요한 공간 정책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는데, 1971년 7월 도시계획법 상에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일부 지역에 지정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greenbelt)이 그것이다. 급기야 1977년에 이르러서 박정희 정부는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백지계획’을 추진했으나,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사실상 용도 폐기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행정수도의 흐름은 서울, 과천에 이은 제3청사로서 대전정부청사의 1993년 착공과 1998년 입주로 이어졌다. 마침내 행정수도의 본격적인 건설 흐름은 2002년 12월 19일에 치러진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중요한 정치적 의제로 작동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는 2002년 9월 30일 대중앙선거대책본부 출범식에서 낡은 권위주의 정치 청산, 부정부패의 특권주의 근절, 서민 생활 안정 및 지속적인 경제 발전에 이어 네 번째 핵심 공약으로 충청권에 행정수도 건설 및 청와대와 중앙부처의 이전 등을 천명했다. “국민들은 저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권위주의 정치와 특권주의의 청산, 서민 생활의 안정과 지속적인 경제 발전, 그리고 남북 평화 체제 구축을 통한 희망찬 새 시대를 열어 달라는 것입니다. 저는 분명히 약속합니다. … 넷째, 한계에 부딪힌 수도권 집중 억제와 낙후된 지역 경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충청권에 행정수도를 건설, 청와대와 중앙 부처를 옮겨가겠습니다. 수도권 집중과 비대화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국가적 결단이 필요합니다. 고속철의 건설과 정보화 기술의 발전, 청주국제공항 등은 행정수도 건설의 여건을 성숙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청와대 일원과 북악산 일대를 서울 시민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서울 강북 지역의 발전에 새 전기를 마련하겠습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지방혁신도시의 시작과 경과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지방혁신도시의 시작은 주지한 바와 같이 수도권 과밀과 이로 인한 국토 불균형의 문제에 있었다. 이에 노무현 정부는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지방 분권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고자 했으며, 실제로 노무현 정부의 초기 신행정수도 구상에는 청와대를 비롯한 중앙 부처의 선제적 이동과 사실상 천도 수준의 행정수도 건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노무현 정부는 신행정수도의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 그리고 야당 등의 예상되는 저항에 대한 돌파구로서 일반법에 우선 적용되는 여러 특별법을 제정·공포했다. 이로 인해 ‘국가균형발전 특별법’(2004),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 ‘지방분권특별법’의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2007)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07)도 제정·공포됐다.4 하지만 이같은 특별법은 오히려 헌법소원의 제기를 통해 정국을 혼돈으로 몰아넣었으며, 정권 유지마저 위태롭게 만든 법적·정치적 공방을 여러 차례 불러일으켰다. 2004년 10월 21일 ‘신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은 관습 헌법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헌법재판소로부터 위헌 확인 결정되었으며, 2005년 3월 2일에는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신행정수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추진되게 되었다. 2005년 6월 15일 ‘행정중심복합도시법’에 대한 새로운 헌법소원이 다시 제기되었으나 각하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2008~2013) 출범 이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자족 기능 보완을 명분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무력화하는 수정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유력한 대권 후보였던 정운찬 국무총리와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상당했으며, 국회 본회 의의 표결 대결로 이어졌으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원안 고수가 결정되었다.5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지방”, 표준국어대사전, 2019년 7월 10일 접속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4c96df44eca4b29905888450e47be18). 2. 김충호,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현황, 쏠림 현상”, 『환경과조경』 2019년 2월호, p.108~115. 3. 저자 미상, “노무현 후보 선대위 출범식 연설문 전문”, 「오마이뉴스」 2002년 9월 30일. 4. 노무현 정부의 특별법은 여러 정치적 논쟁과 행정적 집행 과정을 거치며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이를테면 ‘신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은 헌법소원 제기 이후에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2005)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방분권특별법’(2007)은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2008)으로, 그리고 다시 ‘지방분권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2013)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07)은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2018)으로 변경되었다. 5. 지영호, “수도 이전 논쟁의 역사, 노무현에서 이명박·박근혜까지”, 「the 300」 2016년 7월 8일.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 [이미지 스케이프] 풍경학개론
    서연:들을래? “이젠 버틸 순 없다고 휑한 웃음으로 내 어깨에 기대어 눈을 감았지만….” 승민:근데 이거 누구 노래야? 서연:너 전람회 몰라?기억의 습작.노래 좋지? 승민:어. 개포동이 넓게 내려다보이는 옥상.서연과 승민은 이어폰을 나누어 끼고 전람회의‘기억의 습작’을 같이 듣습니다.애틋한 첫사랑의 추억은 영화관 전체를 감싸는 김동률의 풍부한 저음의 보컬과 맞물려 영화의 성공과 함께 첫사랑 신드롬을 만들었습니다.물론 저도 아주 재미있게 봤습니다.영화 덕분에 건축학과 인기도 조금 더 올라갔고,어린 서연 역을 맡은 수지는‘국민 첫사랑’이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죠.그리고 무엇보다 큰 인기를 얻은 또 한 곳이 있는데,바로 서연과 승민을 다시 연결시켜 준 제주도 서연의 집입니다.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에디토리얼] 지금 여기의 조경설계사무소들
    창간 37주년을 맞는 이달의 특집은 ‘2019 대한민국 조경설계사무소 리포트’다. 기획 의도는 단순 명료하다. 지금 이 땅에서 조경설계 일을 하고 있는 사무소들의 현황 데이터를 모아보자는 것. 남기준 편집장이 꽤 오래전부터 다듬어 온 구상의 일부다.특집에 참여한 88개 사무소로부터 모은 설계사무소 이름, 대표자 이름, 설립 연도, 구성원 수,사무소의 지향과 특성을 표현하는 한 줄의 문구, 설계 비전과 운영 철학, 주요 설계 영역과 유형, 대표 작업, 지난해 수행한 프로젝트 수 등을 있는 그대로 싣기로 했다. 이번 특집이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모든 정보를 포괄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제도권 조경의 현재를 드러내는 생생한 단면도 역할은 할 수 있을 것이다. 특집을 준비하며 마주한 가장 큰 난맥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경설계사무소’의 정의와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조경설계사무소는 법적 정의나 제도적 지위를 가진 용어가 아니다. 기술사사무소, 엔지니어링 활동 주체, 일반 사업자 등 다양한 형식의 법인이나 개인이 조경설계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편집진은 조경설계사무소의 기준을 엄밀하게 규정하기보다는 스스로 조경설계사무소라고 판단하는 모든 회사를 이번 특집의 범위에 넣기로 했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의 조경설계사무소는 모두 몇 개일까. 정확하게 집계할 방법이 없었다. 김모아, 윤정훈 기자가 ‘무작정’ 긁어모은 여러 자료를 끼워 맞추면 대략 200개 내외로 추계할 수 있었지만,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환경과조경 홈페이지와 몇몇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번 기획을 알려 이메일로 답을 받았고, 관련 협회와 단체들의 협조를 받아 이메일 홍보를 병행했다. 그 결과로 특집에 동승한 사무소가 아쉬우나마 88개. 대략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의 데이터를 모았다고 편집진은 판단하고 있다. 본문에는 별도의 분석이나 해설을 싣지 않기로 했다. 가나다순으로 수록한 각 설계사무소의 정보를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현주소를 충분히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는 특집 본문에 숫자로 표현된 몇 가지 간명한 사실을 짚어보기로 한다(88개 회사 중 조경설계 외에 도시계획과 토목을 병행하는 종합엔지니어링 업체 3개의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평균 구성원 수는 8.25명이다. 5인 이하 업체가 30개고, 6인에서 10인 사이가 35개 업체로 제일 많다(약 41%). 11명에서 20명 사이는 15개, 21명에서 30명 사이는 4개다. 31인 이상 업체는 단 하나로, 직원 수 50명인 그룹한 어소시에이트다. 설립 연도의 평균은 2008년이다. 2010년 이후에 탄생한 사무소가 41개로 제일 많다(약 48%). 그다음으로 사무소 개업이 많았던 때는 2000년대로, 31개 설계사무소가 이 시기에 닻을 올렸다. 1990년대는 11개, 1980년대는 2개다. 조경설계서안이 1987년 1월에, 신화컨설팅이 1989년 12월에 설립됐다. 지난해에 수행한 프로젝트 수의 평균은 약 27개다. 지금부터 10여 년 전에 문을 연 조경설계사무소가 많고, 열 명 남짓한 인원이 한해에 서른 개 정도의 설계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설계 프로젝트 유형은 전통적인 공공 발주의 공원·녹지와 도시 공공 공간, 민간 건설사의 공동 주택 조경 등이 여전히 다수지만, 최근에는 민간의 정원과 상업 공간이 늘어나고 있고 도시재생, 전시, 문화 기획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는 거친 진단도 가능할 것 같다. 설계사무소들의 이름에 담긴 의미나 사연을 짐작해보는 것도 흥미롭지만, 이미 예전의 이 지면에서 살펴본 기억이 난다(“이름 짓기”, 『환경과조경』 2016년 11월호 에디토리얼).
  • 환경제국주의 사보타주 Environmental Imperialism Sabotage
    지난 수십 년간 종말론에서나 있을 법한 인구 이동 및 공동체 소속을 둘러싸고 반복되어 온 전 세계적 갈등은, 환경제국주의(environmental imperialism)의 한 학파에서 나온 19세기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지역 구조의 부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인도 출신 연구자 라마찬드라 구하(Ramachandra Guha)는 환경제국주의라는 용어를 설명한 바 있다.1 그의 해석은 공간 혹은 영역에 대한 인간의 영향력이 특정 모형으로만 이해하기에 너무 복잡한 나머지 20세기 말과 21세기의 지역 계획가가 무시하기 일쑤였던 문화적·심리학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환경제국주의는 한 커뮤니티가 이국의 땅에 미치는 영향력 중 많은 부분은, 해당 지역에 이미 존재했으나 존중받지 못한 맥락과 다르거나 심지어 완전히 반대선상에 놓인 문화적 관례 및 자연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임을 상기시킨다. 따라서 자연과 분리불가결한 관계를 지닌 혼성 커뮤니티와 화해를 시도해온 수십 년(어떤 제국의 경우에는 수백 년)의 노력은 헛된 것이다. 생물권 다양성을 존중하는 조경 계획가가 신자유주의 악으로부터 세계를 구할 수 있다는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받는 시대에, 우리가 지닌 제국주의적 본성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설계가의 행동은 프로젝트에 문화보다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이는 곧 자연과의 매우 특별한 존재론적 관계를 반영하는 특정한 삶의 방식 ̄즉, 교육받고 특권을 지닌 결정권자의 생정치(biopolitics)2 ̄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공학적 프로토콜의 옹호를 받고 있는 국제적 환경주의 흐름은 새로운 접근 방식이 떨쳐내야 하는 골칫거리다. 인식론적 무정부주의3를 통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섬세하지만 존중할 만한 다른 지역적인 가치로 글로벌 문화를 논의할 수 있다. 이탈리아 미래파Futurist의 파시즘적 논리를 펼치게 했던 기념비주의와 포괄주의가 백여 년에 걸쳐 생물권의 풍부함을 비약적이고 무식하게 손본 결과, 지구Gaia의 일상과 상상을 초월하는 다양성이 결국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고국에 흩어져 위험천만한 거주지를 구성하고 있는 우리 현실을 환경적으로 구축하는 것. 이것이 오늘날 자연적·사회적 환경을 길들이는 대신 동행하기를 지향하는 전문가들이 실험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대 환경 관리에서 쉽게 발견되는 환경 미학을 바탕으로,4 동시대의 예술 작업을 구성하는 연구와 실천적 프로젝트의 중심에서 생태철학적 현상을 잡아내는 것은 이미 보편화되었다. 풍부하고 혼합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삶 공간의 무형성을 이해하는 능력은, 뒤에서 보게 될 감각민족지학연구소(Sensory Ethnography Lab)의 사진가 필립 우다드(Philippe Oudard)와 건축가 조민석의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중략)... *환경과조경375호(2019년7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Ramachandra Guha and David Amold, eds., Nature, Culture, Imperialism: Essays on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South Asia ,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 Michel Foucault,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8-1979,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8. 3. Paul Feyerabend, Against Method: Outline of an Anarchistic Theory of Knowledge, London: Verso, 1975. 4. Alban Mannisi, “Environmental Observatory: Sensory Landscape Permaculture”, Kansai Engineering Symposium Proceeding , Nagoya, 2018. 알반 마니시(Alban Mannisi)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스트다. 그는 건조 환경을 구축하고 연구하는 플랫폼 SCAPETHICAL(www.scapethical.org)의 설립자이자 이사이며, 호주 멜버른 공과대학(RMIT)의 건축·도시설계학부 부교수다. 역사와 하이브리드 컬처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심을 두고 프랑스, 한국, 싱가포르, 영국, 태국, 일본, 호주에서 탐구해 왔다.
    • 알반 마니시(Alban Mannisi)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생태 계류
    단지 계획과 관련된 도면을 제외하고 재료와 형태, 디테일에 공들여 디자인하는 시설 중 하나는 수경 시설이 아닐까 싶다. 공간의 배경이 되든 중심이 되든, 수경 시설은 대상지의 조건 혹은 설계 콘셉트에 따라 비교적 구체적으로 형태와 구상을 표현할 수 있고 존재 자체로도 이목을 강하게 끄는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한남 더 힐’은 그룹한과 오오토리 컨설턴트(OHTORI Consultants)의 요지 사사키(Yoji Sasaki)가 협업한 고급 주거 단지 프로젝트다. 오오토리가 기본설계를, 그룹한이 실시설계를 진행했다. 공사용 도면을 작성하면서 세부 공간의 생소한 디테일이나 잘못 표현된 부분에 대한 샵드로잉을 그려 협의했고, 이를 통해 설계안을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했다. 제시한 도면은 단지 중심에 위치한 생태 계류 상세도로, 평지와 경사지에서 생태 계류와 산책로를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여러 디테일 전략을 담고 있다. 계류와 산책로의 결합, 녹지와의 경계 처리, 물의 흐름에 따른 세굴 방지, 계류 시작점 처리 등을 중점적으로 고려해 작성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75호(2019년7월호)수록본 일부 김기천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 전략디자인본부를 이끌고 있다. 조경 이론과 담론이 왕성하던 2000년대 초부터 여러 설계 이슈에 그룹한의 고민들을 담아내며 다양한 유형의 공공 오픈스페이스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다양화하며 설계가의 고민을 공간에 구현하는 접근 방식에 관심이 많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국제 설계공모, 시흥 배곧생명공원, 영천 렛츠런파크, 양평 현대 연수원 블룸비스타 등이 있다.
  • [그리는, 조경] 손과 컴퓨터
    아날로그의 손맛과 디지털의 마우스 터치 중 어느 것이 우월한가에 대한 질문은 컴퓨터 드로잉이 시작되던 무렵부터 조경가, 연구자, 교육자의 토론에 자주 등장했다. 이제 손과 컴퓨터가 다투면서 공존하던 시기를 훌쩍 넘겨 컴퓨터 드로잉의 시대가 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어 컴퓨터 모니터를 벗어나 VR가상 현실과 AR증강 현실을 이용해 새로운 형식의 경관을 디자인하는 지금, ‘손 vs 컴퓨터’ 구도는 ‘디지털 vs 또 다른 디지털’ 구도로 대체되었다. 근래에 초기 아이디어 구상 단계 이후에도 손으로 공들여 드로잉하는 디자이너를 본 적이 없다. 이제 손 드로잉 사례를 논문에 인용하려면 애써 찾아내야 한다. 게다가 아날로그의 손맛을 흉내 내는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 일명 디지로그(digilog)제품이 쏟아지는 현재의 디지털 생태계에서 손과 컴퓨터의 대결 구도는 해묵은 이분법적 프레임으로 여겨질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손과 컴퓨터를 드로잉 도구로 다시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조경가가 그간 손과 컴퓨터의 기능과 역할을 어떻게 생각했고, 이를 조경 설계에 어떻게 활용해왔는지 되짚어 볼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손 vs 컴퓨터? 컴퓨터 드로잉은 20세기 중반 이후, 비교적 근래에 나타났기 때문에 조경 드로잉의 긴 역사에서 컴퓨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다. 컴퓨터가 조경 드로잉 도구로 부상하자마자 조경가들은 전통적인 드로잉 도구였던 손과 새로운 기계를 비교하기 시작했다. 손과 컴퓨터를 대결 구도로 놓고 둘 중 어떤 것이 조경 설계에서 우월한지를 다퉜다. 손이 컴퓨터보다 뛰어나다는 주장은 사람의 뇌와 손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컴퓨터 마우스를 거치지 않고 바로 종이 위에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설계가의 머릿속에 있는 디자인 아이디어가 손실되지 않는다는 논리다. 이러한 점에서 손이 컴퓨터보다 경관의 형태, 재료, 구조에 대한 감수성을 시각화하는 데 뛰어나다고 주장한다(그림 1).1 손 드로잉을 경관에 대한 설계가의 감수성이 집적된 산물로 보는 견해는 컴퓨터가 조경 설계에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던 1980년대 중반에도 제기되었다.2 그 저변에는 손은 설계가의 창의성을 펼쳐내는 상상성의 도구이며 컴퓨터는 창의성을 저해하는 도구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손 우월론에 맞서 컴퓨터 드로잉이 조경 설계에서 더 뛰어나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있어 왔다. 컴퓨터는 손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수정과 복제가 쉽기에, 이러한 기계적 효율성은 컴퓨터 우월론의 주요 논거로 활용됐다. 1980년대부터 컴퓨터 드로잉의 절차가 손 드로잉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는 조경가도 있었다. 연필과 마우스라는 다른 도구를 쓰지만, 식재를 반복해 그리거나 지우고 스케일을 조정하는 과정은 손과 컴퓨터 드로잉 모두에 해당한다.3 이러한 점에서 컴퓨터 드로잉은 빠르고 효율적이며 많은 선택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덕분에 오히려 창조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4 컴퓨터 드로잉이 손을 거의 대체하는 요즘, 컴퓨터가 창조적 도구라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커졌다.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필터와 효과를 이용하면 경관의 분위기, 미묘함, 모호함, 역동적 프로세스 등을 자유롭게 시각화할 수 있다(그림 2).5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이 많아져 손 드로잉으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표현이 가능하고 연필에 필적하는 사용감을 주는 전자 기기가 출시되는 지금, 손이 컴퓨터보다 경관에 대한 설계가의 감수성을 시각화하는 데 우월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중략)... *환경과조경375호(2019년7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손을 옹호하는 대표적 조경 이론가인 마크 트라이브는 컴퓨터 드로잉에서는 “설계 아이디어, 특질, 예상되는 경험, 수용자의 능력이 손실”될 우려가 있고, “기계 매체(컴퓨터)가 인간을 장소와 거리 두게 하는 반면, (손) 드로잉은 특정 장소에 시간, 집중력, 이목을 집중하게” 돕는다고 주장했다. Marc Treib, “Introduction”, inDrawing/Thinking: Confronting an Electronic Age, Marc Treib, ed., London: Routledge, 2008, p.10; Marc Treib, “Introduction”, in Representing Landscape Architecture , Marc Treib, ed., London: Taylor & Francis, 2008, p.19. 뛰어난 손 드로잉을 남긴 조경가 로리 올린은 “뇌는 손에 곧바로 반응하여 (공간의) 구성, 균형감, 움직임, 예기치 않은 감정이 생성되므로 다음 선을 어디에 그려야 할지 떠오르지만, … 키보드나 마우스로는 공간의 감수성, 즉 공간의 형태, 재료, 구조, 중량감을 발전시킬 수 없다”고 주장했다. Laurie Olin, “More than Wriggling Your Wrist (or Your Mouse): Thinking, Seeing, and Drawing”, in Drawing/Thinking: Confronting an Electronic Age, pp.85, 97. 2. 조경가 워렌 버드와 수잔 넬슨은 “카메라나 컴퓨터는 우리의 인식과 이해를 무한하게 확장하지만 대상에 가까이 갈 필요가 없어져 감각을 통한 앎의 즐거움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손) 드로잉이 개인의 표현을 드러내고 지속하는 언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Warren T. Byrd, Jr. and Susan S. Nelson, “On Drawing”, Landscape Architecture 75(4), 1985, p.54. 3. 아서 컬락은 “모든 캐드 드로잉은 근본적으로 손으로 그려지며, 복잡한 심벌을 그리고, 복사, 편집, 스케일, 비율을 변경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손 드로잉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Arthur J. Kulak, “Prospect: The Case for CADD”, Landscape Architecture 75(4), 1985, p.144. 4. Bruce G. Sarky, “Confessions of a Computer Convert”, Landscape Architecture 78(5), 1988, p.74. 5. Roberto Rovira, “The Site Plan is Dead: Long Live the Site Plan”, in Representing Landscape: Digital , Nadia Amoroso, ed., London: Routledge, 2015, p.99.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