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서영 서울대학교 통신원 (ksmiley@naver.com)

[서울대학교 = 강서영 통신원] 서울대학교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이 BK21 사업을 통해 향후 7년간 스마트그린시티를 선도할 조경 인력 양성에 주력한다.
서울대학교는 올해 1학기부터 스마트시티 인재 양성을 위한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을 신설했다.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은 ▲그린인프라 ▲혁신인프라 ▲스마트인프라 3개의 축으로 구성되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공과대학 ▲공학전문대학원 ▲법학대학 ▲환경대학원 ▲국제대학원 교수진 27명이 참여한다.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 전공에서는 ▲이동근(경관생태학, 기후변화적응, 도시열섬, 3차원공간정보) ▲류영렬(공원녹지계획, 환경원격탐사, 생태빅데이터, 도시생태학) ▲윤희연(조경/도시계획, 인간 행동/공간 연구, 경제성 평가) ▲강준석(조경공학, 재해저감 도시/인프라 설계, 생태모방공학) 교수가 ‘그린인프라 혁신’을 담당한다. 현재 스마트그린시티와 관련된 국가 대형 R&D 과제들을 함께 진행 중이다.
세부융합전공 주임을 맡고 있는 류영렬 교수는 “그동안의 스마트시티 연구는 교통, 자동차, 자율주행과 같은 비생물적인 분야에 집중돼 왔다. 조경학에서는 생물적인 요소들도 스마트시티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며 스마트시티와 조경학 분야의 연관성을 설명했다.
이어 “자율주행 자동차에 달려 있는 라이다(LiDAR)를 이용해서 가로수 관리를 할 수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면 보행공간 열환경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를 큐브셋 등 인공위성과 엮어서 도시 전체 규모로 확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태계 건강성이 취약한 부분이 탐지되면 조경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온 여러 생태계 회복탄력성 기술들을 적용해 복원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유지 및 관리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들이 인간의 건강, 심리에 미치는 영향, 사회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정책적 함의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 그린인프라의 진단, 처방, 관리 전 과정이 스마트그린시티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생태조경학전공에서 기존에 개설된 ▲도시생태학 ▲공공 옥외공간의 조달과 가치분석 ▲기후변화 생태계 취약성 및 적응계획 ▲지속가능환경 계획설계기법연구 등 4과목은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 과목에 그대로 적용됐다.
또한 ‘그린인프라와 스마트시티’ 과목을 신설해 그동안 스마트시티에서 간과한 그린인프라의 여러 요소들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9월 서울대 ‘BK Four 스마트시티 글로벌 융합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이 BK21 4단계 사업에 선정된 것도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이 주관한 성과다.
BK21은 우수 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강화 및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연구비 등을 지원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이다. 1999년부터 지난 8월까지 3단계에 걸쳐 사업이 추진됐으며, 9월부터 4단계 사업에 돌입했다.
류 교수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 BK21플러스 그린인프라 창조인재양성 사업팀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는 전국 조경학 역사에서 최초의 BK사업이었다. 이번에 선정된 BK사업을 통해 향후 7년은 스마트그린시티를 선도할 조경 인력 양성에 주력할 계획”이라며 “장학금 및 해외 학회 참가지원비를 비롯한 학생 혜택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학교 ‘스마트시티 글로벌융합전공’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학전공 석사과정이나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박사과정으로 입학한 후 한 학기를 수강해야 한다. 졸업 시 각각 조경학 석사(스마트시티 융합전공), 공학 박사(스마트시티 융합전공) 학위가 수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