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국

뉴스 상세검색
뉴스 상세검색 닫기
카테고리
기간
~
검색어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국토부는 「공공건축 디자인 개선방안」 후속조치 중 하나로 디자인 단계별 업무절차를 구체화한 「공공부문 건축디자인 업무기준」 전부개정안을 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행되는 「공공부문 건축디자인 업무기준」의 주요 개정내용으로는 먼저, 현재 공공기관에서 설계비 2억 원 이상인 공공건축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지역의 특성이나 주민 요구사항이 반영된 사업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에서 ‘사업계획 사전검토’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앞으로는 2억 원 미만의 사업도 사전검토를 받도록 했다. 또한, 설계공모 우선적용 대상이 아닐지라도 최저가격 입찰자 선정방식을 지양하고 설계공모 등 디자인 경쟁을 통해 설계자를 선정하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였다. 지역단위 개발사업에 건축물이 포함되었을 경우, 전체 사업의 계획 및 설계에서 개별 건축물의 설계를 별도로 발주하도록 하였다. 여기에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총괄‧공공건축가의 업무를 지원해주는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지역단위 개발사업 및 생활SOC 사업(설계비 1억 원 이상) 등에는 공공건축가를 반드시 참여시키도록 하였다. 국토교통부는 향후 ‘범부처협의체’를 통해 이번 「공공부문 건축디자인 업무기준」의 이행을 각 부처별 사업시행지침에 의무화하여 실질적인 공공건축 디자인 향상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국토부는 인구유출, 소득수준 등이 낮아 지원이 필요한 낙후지역 70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으로 23개 시·군 26개 사업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선정된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 중에는 공원, 정원, 가로 조성과 같은 조경사업이 상당수 포함돼 있었다. 국토부는 선정된 사업에 대해 사업별로 지방비 매칭 없이 최대 약 20억 원 정도를 국비로 지원하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컨설팅도 적극 제공할 계획이다. 지역수요 맞춤지원 사업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토대로 지역이 주도적으로 설계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과거 지자체의 지역개발사업은 도로 등 기반시설 확충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인구감소 등 사회구조적 변화와 삶의 질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반영하여 지역자산을 활용한 일자리 사업과 생활 SOC를 통해 주민 삶에 기여하는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금년 공모에서도 신안군 ‘천사섬 어울림 공간조성사업’, 고창군 ‘골목정원 조성사업’, 문경시 ‘돌리네 습지 조성사업’, 서천군 ‘폐광 활용 체험파크 조성’ 등과 같이 지역의 자연문화자산을 창의적 아이디어와 결합한 조경사업이 많이 포함되었다. 신광호 국토부 지역정책과장은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고 균형발전을 위한 사다리를 만들기 위해 지역 주도로 지역특화자산을 활용하는 방식의 지역사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e-환경과조경은 회원 전용 콘텐츠로 조달청 나라장터에 게시된 입찰정보 가운데 조경관련 사업을 간추린 '조경주간입찰'을 매주 제공한다. 기술사사무소(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용역 2019년 서울둘레길 주변 트리하우스 설치 실시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8,820,000 2019/07/02 16:55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은평구 용역 신사동 편백마을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기반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제한경쟁 103,356,000 2019/07/01 17:47 (2019/07/09 10:00) 경기도 용역 2020 제8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용역 일반경쟁 50,000,000 2019/07/01 13:53 (2019/07/09 12:00) 엔지니어링사업(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용역 2019년 서울둘레길 주변 트리하우스 설치 실시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8,820,000 2019/07/02 16:55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은평구 용역 신사동 편백마을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기반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제한경쟁 103,356,000 2019/07/01 17:47 (2019/07/09 10:00) 경기도 용역 2020 제8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용역 일반경쟁 50,000,000 2019/07/01 13:53 (2019/07/09 12:00) 조경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담양지사 공사 2019년 고가뫼마을 창조적마을만들기사업 토목조경공사 지역제한 18,159,000 2019/07/02 16:20 (2019/07/09 10:00)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사 우장근린공원 등 시공원 노후시설물 정비공사(긴급) 지역제한 468,422,000 2019/07/02 16:12 (2019/07/08 10:00) 대구광역시 동구 공사 초례산 경관 개선사업 지역제한 362,866,000 2019/07/02 16:06 (2019/07/08 12:00) 전라북도 진안군 공사 노채마을단위 종합개발사업(노채오래뜰) 조성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02,460,000 2019/07/02 16:04 (2019/07/08 15: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명일근린공원(상일동산) 정비공사 지역제한 549,330,000 2019/07/02 14:49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공사 서대문문화체육회관 키즈플레이존 조성공사 제한경쟁 437,349,000 2019/07/02 14:25 (2019/07/15 14:00)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사 서울숲 수변(중앙)호수 수질개선 사업 지역제한 276,134,000 2019/07/02 13:07 (2019/07/10 12:00)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곡성지사 공사 목사동면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토목건축조경공사 제한경쟁 3,024,718,000 2019/07/02 09:55 (2019/07/16 10:00) 충청북도 단양군 공사 느림보 생태탐방길 조성사업(온달관광지~본동교 구간) 지역제한 296,900,000 2019/07/02 09:33 (2019/07/10 12:00) 경상남도 함양군 공사 농월정 조경휴게지 조성공사 수의(소액) 197,520,000 2019/07/02 09:00 (2019/07/08 12:00)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사 개나리근린공원 수경시설 정비사업 제한경쟁 261,940,000 2019/07/01 17:56 (2019/07/09 14:30)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사 방잇골어린이공원 전선지중화 복구사업 제한경쟁 68,940,000 2019/07/01 17:51 (2019/07/09 14:00) 서울특별시 양천구 공사 매봉산 유아숲체험원 조성사업 제한경쟁 160,490,000 2019/07/01 16:55 (2019/07/09 10:00) 제주특별자치도 공사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구역 시범사업 공사 제한경쟁 924,143,000 2019/07/01 16:01 (2019/07/09 10:00)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청양지사 공사 청양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조경공사 제한경쟁 582,910,000 2019/07/01 15:57 (2019/07/10 10:00)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사 2019년 에코스쿨 조성사업(이수중 외 1개소) 제한경쟁 197,099,210 2019/07/01 15:00 (2019/07/09 10:00)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사 시민의숲 노후시설 정비공사 지역제한 410,038,000 2019/07/01 14:45 (2019/07/09 12: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능골근린공원 에너지마루 조성사업 제한경쟁 365,200,000 2019/07/01 14:24 (2019/07/09 10: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꿈나래,무궁화 어린이공원 정비사업 지역제한 113,300,000 2019/07/01 13:29 (2019/07/08 10:00) 인천광역시 공사 소래습지생태공원 자연마당 조성공사 제한경쟁 1,929,617,000 2019/06/30 11:14 (2019/07/09 14:00) 전라북도 남원시 공사 남원 전통가 조성사업 지역제한 2,086,920,000 2019/06/28 15:53 (2019/07/12 14:00)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사 석촌호수 산책로 노후포장 정비사업 제한경쟁 899,100,000 2019/06/27 18:35 (2019/07/05 10:00) 서울특별시 성동구 공사 대현산 빗물관리시설 확충사업 수의(소액) 125,510,000 2019/06/27 15:07 (2019/07/03 10:00) 서울특별시 성동구 공사 달맞이근린공원 경관개선사업 지역제한 301,655,000 2019/06/27 14:28 (2019/07/05 10:00)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 공사 박석공원 편익시설 확충사업 지역제한 788,744,000 2019/06/27 10:32 (2019/07/05 10:00) 한국농어촌공사 경남지역본부 진주.산청지사 공사 생초면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토목건축공사 지역제한 2,493,029,000 2019/06/27 09:56 (2019/07/09 11:00)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사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2지구) 조경공사 지역제한 7,456,111,000 2019/06/26 15:26 (2019/07/03 14:00) 조경식재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기도 김포시 공사 2019년 신도시 수목관리 연간단가공사(장기,운양지구) 수의(소액) 100,000,000 2019/07/02 17:21 (2019/07/08 10:00) 경기도 김포시 공사 2019년 신도시 수목관리 연간단가공사(구래,마산지구) 수의(소액) 100,000,000 2019/07/02 17:18 (2019/07/08 10:00) 충청남도 천안시 도시건설사업소 공사 백석54호 어린이공원 및 봉서산생태학습장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7,700,000 2019/07/02 15:48 (2019/07/08 10:00) 경상남도 거제시 공사 2019년 가로수벽 전정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단일응찰 허용) 25,720,200 2019/07/02 14:55 (2019/07/08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34호선 문경 산양 반곡 ~ 문경 문경 각서리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40,000,000 2019/07/02 14:22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28호선 예천 예천 지내 ~ 예천 지보 마전리 외 1개소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46,000,000 2019/07/02 14:21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28호선 영주 장수 두전 ~ 예천 예천 청복리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38,700,000 2019/07/02 14:19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5호선 안동 서후 이송천 ~ 영주 문정동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45,800,000 2019/07/02 14:18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5호선 영주 문정동 ~ 영주 풍기 수철리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37,100,000 2019/07/02 14:16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5호선 안동 남후 무릉 ~ 의성 의성 원당리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40,100,000 2019/07/02 14:15 (2019/07/10 10:00)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3호선 상주 사벌 원흥 ~ 문경 호계 견탄리 예초작업용역 제한(총액) 41,900,000 2019/07/02 14:13 (2019/07/10 10:00) 경상북도 고령군 공사 낙동강 친수공간 예초사업(1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6,200,000 2019/07/02 14:09 (2019/07/08 10:00) 서울대학교 부속시설 학생생활관 관악학생생활관 용역 관악학생생활관 예초 및 제초작업 용역 제한(총액) 9,722,000 2019/07/02 13:15 (2019/07/10 14:00) 세종특별자치시 용역 2019년 지방하천 예초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5,792,000 2019/07/02 13:12 (2019/07/09 10: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근린공원 유지관리사업(2차) 제한경쟁 109,445,000 2019/07/02 09:50 (2019/07/09 10:00) 충청남도 당진시 공사 가로등 꽃화분 설치 및 관리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3,152,000 2019/07/01 21:51 (2019/07/05 10:00) 전라남도 영암군 공사 생활체육대축전 대비 가로화분 조성사업 수의(소액) 36,178,000 2019/07/01 19:08 (2019/07/05 10:00) 충청북도 충주시 공사 중앙탑면 소나무 가로수 전지전정 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4,000,000 2019/07/01 19:03 (2019/07/05 10:00)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사 올림픽로 가로녹지(중앙분리녹지대) 정비사업 제한경쟁 725,852,000 2019/07/01 18:02 (2019/07/09 15:00) 전라북도 순창군 공사 강천산종합관광안내소 개보수공사(조경)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7,800,000 2019/07/01 17:34 (2019/07/05 10:00) 충청북도 제천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솔방죽 생태녹색길 유지관리사업(단가)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10,000,000 2019/07/01 16:43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공원녹지 유지관리사업(구도심지역-2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720,000 2019/07/01 15:57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공원녹지 유지관리사업(신시가지지역-2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68,000 2019/07/01 15:49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삼천 수계 하천 풀베기 및 지장수목제거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00,000 2019/07/01 15:32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전주천 수계 하천 풀베기 및 지장수목제거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00,000 2019/07/01 15:26 (2019/07/05 10:00) 경기도 수원시 공사 광교호수공원 수목 생육환경개선 및 녹지정비공사(단가계약) 수의계약(단가) 25,872,000 2019/07/01 15:21 (2019/07/05 14:00)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사 시민의숲 노후시설 정비공사 지역제한 410,038,000 2019/07/01 14:45 (2019/07/09 12:00) 군포시시설관리공단 공사 공영차고지 제초 및 수목 전정작업 소액수의 견적제출 공고 수의(소액) 18,997,000 2019/07/01 13:45 (2019/07/10 12: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노인복지관 옥상녹화사업 수의(소액) 39,026,840 2019/07/01 12:57 (2019/07/05 10: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보건복지센터 옥상녹화사업 수의(소액) 64,661,000 2019/07/01 12:50 (2019/07/05 10: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자투리공간 쉼터 조성공사(덕계동) 수의(소액) 68,942,000 2019/07/01 12:47 (2019/07/05 10:00) 인천광역시 남동구 공사 버즘나무 가로수 테마전지 공사 수의(소액) 72,050,000 2019/07/01 11:53 (2019/07/05 10:00)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공사 문의면 주요 도로변 제초작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0,000,000 2019/07/01 11:44 (2019/07/05 10:00) 서울특별시 양천구 공사 2019년 빗물정원 조성사업 제한경쟁 157,740,000 2019/07/01 11:16 (2019/07/09 10:00)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공사 2019년진해구국도2호선서부지역(여좌동~웅천동)외1개소도로변풀베기사업-수의견적제출안내공고 수의(소액) 84,720,000 2019/07/01 10:36 (2019/07/08 10:00)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공사 2019년진해구국도2호선동부지역(웅동1동~웅동2동)외5개소도로변풀베기사업-수의견적제출공고 수의(소액) 65,280,000 2019/07/01 10:30 (2019/07/08 10:0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공사 수봉공원 무장애나눔길 조성공사 지역제한 80,584,000 2019/07/01 09:55 (2019/07/05 15:00) 남양주도시공사 공사 2019년 별내 국궁장 조경유지관리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4,967,000 2019/06/28 21:20 (2019/07/04 10:00) 전라남도 목포시 공사 북항로 외 4개로 가로수 수형정비 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5,247,000 2019/06/28 18:23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청원구 녹지관리사업(경관녹지)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1,571,000 2019/06/28 17:52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서원구 녹지관리사업(분평지구)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8,664,000 2019/06/28 17:45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서원구 띠녹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210,000 2019/06/28 17:39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흥덕구 띠녹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04,443,000 2019/06/28 17:33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상당구 녹지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1,125,000 2019/06/28 17:27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상당구 띠녹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6,613,000 2019/06/28 17:22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청원구 띠녹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4,157,000 2019/06/28 17:12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청원구 녹지관리사업(완충녹지)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8,994,000 2019/06/28 17:05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청원구 로원, 교통섬, 중앙분리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06,690,000 2019/06/28 16:57 (2019/07/04 10:00) 경기도 하남시 공사 2019년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제거공사 수의견적 제출안내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973,000 2019/06/28 09:00 (2019/07/04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상당구 도시숲 정비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2,510,000 2019/06/27 17:57 (2019/07/0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흥덕구 로원 관리사업(흥덕2)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74,410,000 2019/06/27 17:46 (2019/07/0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흥덕구 로원 관리사업(흥덕1)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2,870,000 2019/06/27 17:40 (2019/07/0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서원구 로원, 교통섬, 중앙분리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6,650,000 2019/06/27 17:33 (2019/07/0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흥덕구 교통섬, 중앙분리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0,420,000 2019/06/27 17:22 (2019/07/0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2019년 하반기 상당구 로원, 교통섬, 중앙분리대 관리사업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2,840,000 2019/06/27 17:17 (2019/07/03 10:00) 서울특별시 성동구 공사 달맞이근린공원 경관개선사업 지역제한 301,655,000 2019/06/27 14:28 (2019/07/05 10:00) 서울특별시 강북구 공사 2019년 미양초등학교 에코스쿨 조성공사 지역제한 114,377,000 2019/06/27 14:00 (2019/07/05 15:00) 충청남도 논산시 부창동 공사 강산6통 공원 경관 개선사업 수의(소액) 38,149,000 2019/06/27 10:48 (2019/07/04 14:00) 인천광역시 서구 공사 청라국제도시 하천변 생태길 조성사업 지역제한 433,125,000 2019/06/27 09:32 (2019/07/04 10:00) (사)생명의숲국민운동 공사 애오개역 쉼터 리모델링 공사 제한경쟁 100,000,000 2019/06/26 14:54 (2019/07/08 14:00) 강원대학교 공사 동물생명과학대학 외부 휴게공간 조성 및 기타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5,414,000 2019/06/26 14:31 (2019/07/04 10: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2019년 호반순환로 명품가로숲 조성사업 지역제한 238,668,000 2019/06/26 11:49 (2019/07/04 10:00)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공사 어린이공원 노후 놀이터 정비사업 제한경쟁 112,136,000 2019/07/02 17:39 (2019/07/08 10:00) 울산광역시 동구 공사 어린이공원 시설물 정비공사 수의(소액) 74,030,000 2019/07/02 17:38 (2019/07/08 14:00) 경기도 김포시 공사 2019년 하반기 공원시설물 유지관리사업 연간단가(운양,장기권역) 수의(소액) 100,000,000 2019/07/02 17:26 (2019/07/08 10:00) 경기도 김포시 공사 2019년 하반기 공원시설물 유지관리사업 연간단가(구래,마산권역) 수의(소액) 100,000,000 2019/07/02 17:24 (2019/07/08 10:00) 경기도 연천군 공사 세계캠핑체험존(역사문화촌) 음악분수 보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5,025,000 2019/07/02 17:24 (2019/07/08 10:00) 전라북도 진안군 공사 활인동 인도교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1,162,000 2019/07/02 17:17 (2019/07/08 15:00) 경기도 연천군 공사 전곡초등학교 인조잔디 교체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3,023,000 2019/07/02 17:06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사 우장근린공원 등 시공원 노후시설물 정비공사(긴급) 지역제한 468,422,000 2019/07/02 16:12 (2019/07/08 10:00) 충청남도 천안시 도시건설사업소 공사 백석54호 어린이공원 및 봉서산생태학습장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7,700,000 2019/07/02 15:48 (2019/07/08 10:00)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공사 문화공원 야외공연장 설치공사 수의(소액) 40,040,000 2019/07/02 15:39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사 백동어린이놀이터 외 1개소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7,600,000 2019/07/02 15:16 (2019/07/08 14:00) 경기도 용인시 공사 2019년 용인자연휴양림 에코어드벤처 정비공사 수의(소액) 94,539,000 2019/07/02 14:36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동작교육청 서울행림초등학교 공사 행림초 어린이놀이시설 추가설치 및 기타공사 소액수의 견적제출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3,460,000 2019/07/02 11:48 (2019/07/09 10:00) 경기도 화성시 지역개발사업소 공사 창의생태놀이터(전곡어린이공원) 조성사업 수의견적 제출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5,564,000 2019/07/02 09:51 (2019/07/08 14:00)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공사 강서체육공원 하키보조경기장 인조잔디 교체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440,000 2019/07/02 09:28 (2019/07/08 10:00) 경상남도마산교육청 성지여자중학교 공사 성지여자중학교 야외휴게공간(스탠드) 보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1,877,000 2019/07/01 15:15 (2019/07/05 10:00) 충청남도 보령시 공사 2019년 폭염대책 쿨링포그 설치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7,100,000 2019/07/01 15:10 (2019/07/05 10:00) 인천광역시 중구 용역 2019년도 운남근린공원 생태물놀이장 관리용역 수의(총액)소액수의 39,875,000 2019/07/01 13:51 (2019/07/05 10: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노인복지관 옥상녹화사업 수의(소액) 39,026,840 2019/07/01 12:57 (2019/07/05 10: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보건복지센터 옥상녹화사업 수의(소액) 64,661,000 2019/07/01 12:50 (2019/07/05 10:00) 경상북도 경주시 공사 축구장 관람석 쿨링포그 설치 공사 지역제한 190,280,000 2019/07/01 09:57 (2019/07/08 15:00) 경기도 성남시 공사 마을정원만들기 사업 지역제한 222,869,000 2019/07/01 09:31 (2019/07/09 10:00) 경상남도 창원시 공사 소액수의 견적서제출 안내 공고 - 용추계곡 등산로 정비공사 수의(소액) 69,800,000 2019/07/01 08:10 (2019/07/05 10:00) 울산광역시강남교육청 학성중학교 물품 학성중학교 인조잔디 제조 구매 설치 입찰 공고 제한(총액)규격가격동시 505,540,000 2019/06/28 15:36 (2019/07/10 16:00) 대구광역시 동구 공사 혁신도시 대림동 바닥분수 설치공사 지역제한 206,624,000 2019/06/28 13:36 (2019/07/04 12:00)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포항교육지원청 용역 포항원동초등학교 인조잔디 철거 및 재활용처리용역 소액수의 견적제출 공고 수의(총액)소액수의 20,671,000 2019/06/28 11:27 (2019/07/04 10:00) 대구광역시동부교육청 계성초등학교 공사 계성초등학교 인조잔디 철거공사 입찰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3,453,000 2019/06/28 10:51 (2019/07/03 10:00) 경기도 광주시 공사 쿨링포그 설치공사 수의(소액) 47,039,000 2019/06/27 23:30 (2019/07/04 10:00) 광주광역시 광산구 공사 첨단2동 사계절 꽃피는 오솔길 조성공사 지역제한 68,227,000 2019/06/27 19:42 (2019/07/03 14:00) 서울특별시교육청 청원고등학교 공사 청원고등학교 운동장 개선 사업 지역제한 131,129,000 2019/06/27 15:38 (2019/07/08 10:00) 서울특별시 강북구 공사 2019년 삼양초등학교 에코스쿨 조성공사 수의(소액) 100,690,000 2019/06/27 13:48 (2019/07/03 15:00) 경기도 광명시 공사 가학산 숲길 등산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244,940,000 2019/06/27 12:46 (2019/07/03 16:00) 경기도 안산시 공사 수변공원 폭염저감시설(쿨링포그)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996,000 2019/06/27 12:34 (2019/07/03 10:00) 전라남도 보성군 공사 회천면 군학항 선착장 및 쉼터 보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4,749,000 2019/06/27 10:23 (2019/07/03 10:00) 전라남도 보성군 공사 회천면 명교해수욕장 진입로 보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726,000 2019/06/27 09:51 (2019/07/03 10:00)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공사 소액수의 견적서 제출안내 공고- 용추계곡 데크로드 전면보수 공사 수의(소액) 97,580,000 2019/06/27 09:21 (2019/07/03 10:0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공사 2019 한남리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적길 조성사업 입찰공고 지역제한 192,852,000 2019/06/26 18:09 (2019/07/03 15:0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공사 올레7코스 열린 관광환경 조성공사 제한경쟁 159,580,000 2019/06/26 18:03 (2019/07/04 12:00) 사회복지법인중리어린이집 공사 어린이 놀이터 시설물 설치공사 수의(소액) 34,164,900 2019/06/26 17:43 (2019/07/03 10:00)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사 봉천우성 외 2개단지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 교체공사 지역제한 214,940,000 2019/06/26 16:24 (2019/07/08 14:00) 경기도안성교육청 방초초등학교 공사 방초초 어린이놀이터경계 고무기둥 설치 및 배수로 신설 견적 제출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8,630,000 2019/06/26 15:58 (2019/07/03 10:00) 대구광역시 북구 물품 구민운동장 현대화사업 인조잔디 구매 설치 일반(총액) 754,810,000 2019/06/26 14:02 (2019/07/04 10:00) 울산광역시강남교육청 학성중학교 용역 학성중 인조잔디 분리회수 및 재활용처리 용역 입찰 공고 제한(총액) 107,246,000 2019/06/26 10:43 (2019/07/04 12:00) 경기도 화성시 지역개발사업소 공사 2019년 동탄2신도시 청계중앙공원 내 물놀이장 수경시설물 보완공사 제한경쟁 140,837,000 2019/06/26 10:19 (2019/07/04 14:00) 자연환경보전사업대행자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인천광역시 공사 소래습지생태공원 자연마당 조성공사 제한경쟁 1,929,617,000 2019/06/30 11:14 (2019/07/09 14:00) 산림사업법인(도시림등조성)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충청북도 충주시 공사 중앙탑면 소나무 가로수 전지전정 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4,000,000 2019/07/01 19:03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공원녹지 유지관리사업(구도심지역-2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720,000 2019/07/01 15:57 (2019/07/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공사 2019년 공원녹지 유지관리사업(신시가지지역-2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68,000 2019/07/01 15:49 (2019/07/05 10:0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공사 수봉공원 무장애나눔길 조성공사 지역제한 80,584,000 2019/07/01 09:55 (2019/07/05 15:00) (사)생명의숲국민운동 공사 애오개역 쉼터 리모델링 공사 제한경쟁 100,000,000 2019/06/26 14:54 (2019/07/08 14:00) 전문문화재수리업(조경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상북도 영주시 공사 영주 이산서원 조경공사 수의(소액) 44,169,000 2019/07/02 17:37 (2019/07/08 10:00) 충청남도 태안군 공사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외래식물 제거 및 편의시설 보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889,000 2019/07/02 16:33 (2019/07/05 10:00)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개최한 '국제융합디자인캠프'에서 차태욱 Supermass Studio 대표의 지도로 제안된 'Play in the City’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Play in the City’는 강남역 사거리와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휴식을 취하고 상호작용하며 즐거운 시간을 가질수 있는 놀이 공간 조성 프로젝트이다. 주요 놀이기구로는 ▲주변 환경을 아우르는 수직·수평적 요소를 갖춘 거대한 해먹 숲 ▲바닥에 베게모양으로 부착되어 있어 사람들이 그 안에서 눕고 뛰어놀 수 있도록 조성한 도시형 베개(Urban Pillow)▲정자세가 아닌 기울일 수 있는 벤치로 비오는 날 빗소리를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회전의자(Spintops)가 있다. 이번 캠프는 전 세계 22개국, 47개 대학, 14개의 기업·기관에서 총 103명의 학생들과 디자인전문가가 모여 13개 팀이 구성됐다. 세계적 추세인 도시의 대형화와 밀집화에 따른 문제점을 다루기 위해 ‘포용을 향한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대주제로 이동성, 보안과 안전, 연결성, 생산성이라는 4가지 분야 도시화 문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학생들은 6월 24일부터 28일까지 5일 동안 각 팀에 배정된 전문가(튜터)의 도움을 받으며 리서치를 통한 조사·분석, 문제 정의, 콘셉트 도출,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솔루션 시각화, 시제품 제작의 과정을 거치며 창의적인 결과물들을 제시했다. 우수상에는 ▲최근 급부상 중인 공유형 이동수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주차와 동시에 충전도 가능한 ‘개인용 공공 교통수단’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물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기 위한 ‘스마트아푸아링크(Smart AFFUA Link)’ ▲식물을 키우며 세대 간의 단절된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대기오염도 저감시킬 수 있는 ’닿다(Dot Dot)’ ▲ 도시 과밀화로 협소해진 주거공간을 창의적으로 디자인하여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1평방미터의 삶’이다. 이번 캠프에 참석한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학생들의 신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디자인에 놀라워하며, 동 캠프가 계속 발전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현대건설이 인기 애니메이션 '바다 탐험대 오토넛' 캐릭터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결합한 어린이놀이터를 힐스테이트에 적용한다. 현대건설은 지난 28일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에서 얼리버드픽쳐스와 '바다 탐험대 옥토넛' 캐릭터 어린이놀이터 출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바다 탐험대 옥토넛’ 애니메이션은 바닷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용감한 8명의 바다 영웅으로 구성된 이야기로, 2010년 영국 BBC를 시작으로 미국의 디즈니 채널 및 중국의 CCTV 등 전 세계에서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 시즌 1 런칭 이후 현재 시즌 4까지 이르렀으며, 극장판, 완구류, 어학 도서류, 아쿠아리움 및 뮤지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맷으로 제작되어 유아·아동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날 업무협약에는 현대건설의 윤영준 전무(주택사업본부장), 이인기 상무(디자인마케팅실장), 박준호 부장(건축조경팀)이, 얼리버드픽쳐스의 김대창 대표, 박기원 실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얼리버드픽쳐스는 옥토넛 원작사인 영국 Vampire Squid Productions의 국내 캐릭터 저작권을 독점 대행하고 있다. MOU를 기점으로 현대건설과 얼리버드픽쳐스는 ‘바다 탐험대 옥토넛’ 캐릭터 어린이놀이터 출시를 위한 디자인, 홍보 및 마케팅 지원에 상호 협력할 방침이다. 현대건설은 ‘바다 탐험대 옥토넛’ 캐릭터를 올해 하반기 분양 예정인 힐스테이트 현장의 어린이 놀이터부터 적용한다. 이 어린이놀이터는 바다 탐험을 모티브로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미스트 분사, 물놀이 공간 등과 함께 옥토넛 만의 개성을 강조한다. 미세먼지와 여름철 폭염 등을 피할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시설을 갖춘다. 일부는 물놀이 공간과 어울려 아이들이 마치 애니메이션 속의 캐릭터들과 함께 뛰어노는 듯 한 색다른 스토리텔링을 경험할 수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옥토넛은 귀여운 동물 탐험대 캐릭터뿐만 아니라 늪지대, 빙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에피소드가 진행되었고, 해저 기지와 탐험선, 해저 수트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비들이 많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디자인의 상품을 개발하고 특히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특화된 놀이터를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건설은 서울문화재단과 함께 ‘문화가 있는 놀이터’, 교통안전 놀이터 등 다양한 주제로 스토리가 있는 놀이공간을 조성해 왔고, 차별화된 조경 상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건설의 놀이시설물은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수상을 비롯해, 최근에는 4년 연속 우수디자인(Good Design) 선정 및 2019 Asia Design Prize Winner 수상 등을 통해 조경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 처음부터 미쳐있던 것은 아니었다. 차츰 친해졌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어느 날 다가왔고 매력을 느꼈으며 내게 부족한 것을 채워주는 것이 좋았다. 한 걸음 다가가면 알쏭달쏭한 질문을 다시 던져주고 그것을 풀기 위해 온 신경을 써서 해결하다 보니 정이 들었다. 때론 깊게 빠져들었다. 집에 가는 길에 가로등에도 생각나 집에 들었다 다시 나와 한참을 만났다. 빛이라는 것이 그렇게 신비하고 재밌을 수가 없다. 결국 남은 것은 알 수 없는 결과였지만 그것도 매력 있었다. 그리고 한참을 지나 -그때는 아날로그라 바로 답해주지 않았다- 답해주는 것이 좋았다. 정이 들듯 논리정연한 것이 아닌 무엇이었다.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왔다. 지금도 잘 알지 못하는 우리 사이, 하지만 정으로만 만나지는 않는다. 디지털시대, 답을 바로바로 해준다는 점이 변했다. 내가 질문하는 속도가 못 따라갈 정도로 말이다. 시간 속에 사진은 오랜 연인이 되었다. 가끔 어떻게 해야 좋은 사진을 찍느냐는 질문을 받는다. 연애 상담처럼 느껴진다. 길고 길게 답을 늘어놓든지 짤막한 해결책이든지 듣고 싶은 대로 말해 주는 것이 상책이다. 몇 가지 생각 나는 나만의 방식을 늘어놓아 본다. ‘돈을 많이 쓰면 됩디다’ 물량 공세만큼 쉬운 것은 없다. 상대방을 현혹하는 직접적이고 단순한 방식으로, 원하는 사진이 생기면 원하는 장비를 사면 된다. 그래도 안 되면 시중에 수많은 액세서리가 준비되어 있다. 그래도 안되면 명품 카메라나 렌즈로 스스로 미혹되는 것이 상책. 장비는 남는다. 떠나간 것들이 있을지언정 물건은 남지 않는가. 먼지가 쌓이는 것만 주의하시라. 약간의(?) 헛헛함은 덤. ‘많이 찍어보세요’ 수없이 대화한다. 될때까지 들이대는 것이다. 그래도 안된다면 -열번 찍어도 안될 수 있으니- 남는 시련은 감수해야 한다. 떠나가도 사진은 남는다. 애정 공세 끝에 몇장의 사진도 남는다. 자기만족의 가장 쉬운 방식. 짝사랑은 그렇게 시작하고 끝나기 마련. 물론 성공하면 좋다. 짝사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쉽지 않아 문제라면 문제이지만. 한 가지 주제가 어렵다. ‘책을 찾아봅시다’ 이론에 빠삭한 분석가가 되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부작용이 있는데 아는 만큼 결과도 미리 짐작하여 실행에 옮기기가 쉽지 않은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이럴 때는 아는 것이 병이다. 이성으로만 해결되지 않을 때가 있다. ‘내’게 맞는 감성은 책에 쓰여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 이러저러해서 안돼’라며 염세주의자로만 변하지 말자. ‘소개라도 받아보세요’ 정확한 목표설정은 방법을 강구하게 한다. 공모전이 대표적인 방법. 상대방을 아는 방법을 배우기 좋다. 역시 단점이 있는데 하다 보면 자기 자신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 ‘주변에서 찾아보세요’ 익숙한 것을 담아내는 것은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하나씩 일기처럼 기록하고 비틀어 주제를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다만 익숙하니 쉽게 질릴 수 있으니 이것도 주의. 이렇게 늘어놓으니 사진은 관계를 만들어가는 과정과 닮아있다. 쉽게 만들어지고 상실감을 주기도 하고 때로는 진득하게 오래갈 때도 있다. 처음으로 돌아가 생각해본다. 첫 카메라를 손에 쥐고 기뻤던 순간. 그 카메라를 손에 쥐고 잠들었던 풋풋한 기억들이 살아난다. 어설펐던 그시절, 대상에게 내 생각만 강요하던 시기는 어느덧 지나고 대상이 들려주는 것에도 집중하려 한다. 오랜 연인과 이야기 하듯 말이다. 아 그리고, 연재에 실리는 인물 사진을 찍어준 이계후 선생님께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유청오 조경사진가
    • 유청오
    • 2019-06-30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사상 첫 5급 조경직 국가공무원 선발을 두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국토부 5급 시설조경직의 경우 11개 선발단위 중에서 가장 높은 8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인사혁신처는 최근 '2019년도 국가공무원 5·7급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 원서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올해는 국토부와 환경부에서 사상 처음으로 5급 시설사무관 직급의 시설조경직 선발 계획을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먼저 5급 시설조경직 1명을 선발하는 국토부의 경우, 응시자가 81명이 몰려 5급 11개 직렬별 선발단위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5급 시설조경직 1명을 뽑는 환경부에도 54명이 응시해 네 번째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5급 시설조경직은 기관의 시설·환경·조경 등 관련 분야 제도를 연구‧개선하고, 각급 기관의 업무계획 수립과 시행을 담당한다. 특히 정책기획, 집행·관리, 평가 및 법령의 제·개정 업무를 맡음으로써 조경분야의 제도 개선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7급 조경직 국가공무원은 총 5명을 채용한다. 국토부 2명, 환경부 1명, 행안부 1명, 산림청 1명이다. 먼저 7급 2명을 뽑는 국토부 시설조경직에는 총 70명이 응시해 3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1명을 채용하는 환경부 시설조경직에는 26명이 응시했다. 산림청 산림복지국, 수목원조성사업단 또는 지방산림청, 국유림관리소에서 근무하게될 7급 산림조경직(1명 선발)은 5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정부청사관리본부에 배정돼 ▲조경설계 및 조성 ▲실내조경 식물 유지 관리 ▲조경수 및 초화류 등 조경 식물 유지관리 등의 사업을 담당할 행안부 7급 산림조경직(1명 선발)에는 53명이 몰렸다. 한편 이번 민간경력채용의 필기시험은 7월 20일 시행된다. 필기시험은 업무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판단력·사고력 등을 평가하는 ‘공직적격성평가’로 진행된다.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상황판단영역’ 등 3개 과목에서 각 25문항씩 출제되며, 시험시간은 1시간이다. 문제유형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종 합격자는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거쳐 12월 27일 발표된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내달 9일부터 산림복원 면적이 660㎡를 초과하는 산림복원지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제도가 의무화된다. 8월부터는 1000만 원 이상의 자본금이 있어야 등록이 가능했던 산림복지전문업 요건이 삭제된다. 산림청은 ‘2019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주요 산림제도’를 27일 발표했다. 먼저, 산림치유업·숲해설업·유아숲교육업·숲길등산지도업·종합산림복지업 등 산림복지전문업 등록을 위한 자본금 요건이 삭제된다. 기존에는 산림복지전문업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산림복지전문업의 종류에 따라 1000만 원 이상 또는 3000만 원 이상의 자본금을 확보해야 했으나, 올해 8월부터는 등록 시 필요한 자본금 요건이 삭제된다. 또한 소나무재선충병 반출금지구역이 아닌 지역에서 생산된 소나무류의 이동 시 필요한 소나무류의 생산 확인 방법이 일원화된다. 기존에는 산림청장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으로부터 생산 확인용 검인을 받거나 생산 확인표를 발급받아야했다. 7월 16일부터는 검인제도를 폐지하고 생산확인표 발급으로 일원화하여 행정절차가 간소화된다. 소나무류 반출금지구역 내 소규모 산지 전용의 경우 제출해야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계획서 및 완료서 작성 주체의 자격 기준이 완화된다. 기존에는 반출금지구역이 포함된 산지를 전용하려는 자는 산지전용 시 산림기술사, 엔지니어링사업자, 산림조합중앙회가 작성한 재선충병 방제계획서와 완료서를 제출해야 했다. 하지만 7월 16일부터는 소나무류가 50본 미만이거나 면적이 660㎡ 미만인 경우에는 산림기술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술초급 이상의 산림경영기술자도 작성할 수 있도록 작성주체가 완화된다. 마지막으로 산림복원지 사후 모니터링제도가 의무화된다. 7월 9일부터 산림청장 및 지방자치단체 장은 산림복원 면적이 660㎡를 초과하는 대상지에 대해 사업 종료 후 10년 이상 의무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 환경 변화, 생물다양성의 증감 여부, 복원 목표 달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산림복원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보완사업도 해야 한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조달청은 26일 기술형입찰로 집행하는 대형공사의 설계심의를 담당하는 제9기 설계심의분과위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술자문위 설계심의분과 조경 내부위원으로 나경민 서울시 여의도공원 관리사무소장(前 나옥임)이, 외부위원으로 명현 전북대 교수, 김신원 경희대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청은 9개 전문분야에 내부위원 27명, 외부위원 24명 등 총 51명으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먼저 선정기준에 있어서 내부위원 선정 시 타 부처(중앙·지방) 공무원을 우선 선정하고, 조달청 직원 참여를 최소화해 조달청 퇴직자의 건설업체 재취업 유인을 차단했다. 외부위원 선정 시에는 대학교수의 비중을 줄이고 공공·연구기관과 시민단체 추천 전문가를 확대하고자 했다. 또한 학연, 지연 등에 따른 편향심의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 출신학교의 균형을 고려하고, 동일공종 내 같은 기관에 소속된 위원의 중복선정을 배제했다. 개별사업 설계심의에서는 충분한 위원 명단(Pool)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심의위원을 적극 활용(최대 50%) 하기로 했다. 이번에 선정한 9개 분야 외 다른 전문분야의 평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특수분야 심의위원을 ‘한시적으로(원포인트) 위촉’해 사업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설계심의가 이루어지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새로 구성된 제9기 설계심의분과위원회는 7월에 설계심의가 예정된 ‘농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 건립사업(640억 원)’을 시작으로 올해 4건 사업(약 2500억 원)의 설계심의를 수행할 예정이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약은 약사에게, 진료는 의사에게’라는 말처럼 조경감리는 조경감리원에게 맡기는 것이 상식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민간 공동주택에서 조경감리를 하는 사람의 93%가 토목, 건축분야의 비전문가다. 법과 제도를 논하기 앞서 상식적으로도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난 3월 한국건설기술인협회가 첫 직선제로 실시한 선거에서 제9대 조경기술인회 회장으로 박원제 그린방제 원장이 당선됐다. 그의 대표 공약은 1500 세대 이상의 주택건설공사에만 배치돼 왔던 조경감리 배치기준을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3년 전부터 국회와 국토교통부, 조경단체를 찾아다니며, 불합리한 조경 감리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해왔지만 조경회사 명함을 들고 정부와 국회에 목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비록 조경감리 사업과는 무관한 조경인의 한 사람이지만,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 잘못된 조경감리제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생각에 조경기술인회 회장으로 출마를 결심하게 됐다.” 한국건설기술인협회 조경기술인회는 3만 7000여 명의 조경기술자(여성기술인 34%)가 등록돼 있는 조경기술자 직능단체로, 조경기술인의 복지와 권익을 높이는 사업을 하고 있다. 당선 소감을 묻자 그는 “이번에 조경기술인회 회장으로 당선된 것은 조경감리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회원들의 바람이 컸기 때문”이라며 자신을 낮췄다. 3년 임기동안 그가 추진할 역점사업 역시 조경감리제도의 정상화다. 조경감리제도 논란의 핵심은 관련 법제의 모순에서 출발한다. 현재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조경감리를 규정하는 제도는 ‘건설기술진흥법’과 ‘주택법’이다. 박원제 회장은 “‘건설기술진흥법’은 국토부 건설정책국 기술정책과 소관업무이고, ‘주택법’은 주택도시실 주택건설공급과 업무로 법령의 집행에 있어서 국토부 내부에서도 상호 상충되는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먼저 공공부문을 다루는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제55조)’은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공사비 200억 원 이상)에 감리원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고, 실제로 조경기술자가 상주감리원으로 배치되고 있어 논란이 없다. 문제는 민간부문 공동주택을 규정한 ‘주택법’이다. 주택법(시행령 제47조)도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건설공사에 분야별 감리원을 상주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법률이 아닌 국토부 고시인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지정기준’은 조경감리원만 1500세대 이상의 공사에 배치토록 하는 예외 조항을 삽입해 문제가 되고 있다.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지정기준’ 4조는 300세대 이상의 감리자 자격에 ‘일반 또는 건설사업관리로 등록한 건설기술용역업자’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8조 2항 별표의 부표에 ‘1500세대 이상인 경우에는 조경공사기간 동안 조경분야 자격을 가진 건설사업관리기술자를 배치해야 한다’는 예외 조항을 만들었다. 박 회장은 이를 “조경에 대한 규제”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건축, 토목은 물론, 전기, 정보통신, 소방설비 등 조경을 제외한 전 공종이 300세대 이상에 감리원을 배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경감리만 차별 대우를 받고 있다. 이는 상위 법률과도 배치되는 사안”이라며 “조경기술인을 차별하는 국토부의 횡포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 감리제도는 부실공사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주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이다. 하지만 박 원장에 따르면 국토부는 감리제도 취지와 배치되는 불합리한 조항을 고시에 삽입해 조경감리에 무리하게 적용시키고 있다. 조경전문가가 아닌 조경감리원을 정부가 양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비상식적 국토부 규정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국민”이라며 조경감리제도를 바로 잡아야 할 당위성을 설명했다. “이제 실내 공간에서는 공동주택의 차별화를 찾아보기 어렵다. 아파트의 외부 공간인 조경에 의해 아파트의 가격이 결정되고 있으며, 녹지복지 패러다임의 대두, 미세먼지 저감, 녹지량 확충에 의해 주민의 삶의 질과 품격이 좌지우지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조경은 식물에 대한 이해를 넘어, 공간계획, 수경시설, 체육시설, 휴게시설 등을 아우르는 전문가의 영역인데, 비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상식적인지 묻고 싶다.” 최근 공동주택들도 지하주차장을 확대하면서 지상 조경면적을 늘려가는 추세이고, 세대수와 상관없이 입주민의 요구에 의해 테마정원, 조형물, 수경시설, 모험놀이터, 산책로 등을 설치하며 품질향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경분야 전문자격을 가진 기술자의 감리 수행 필요성도 높아졌다. 하지만 조경감리원이 상주하는 현장은 전체 현장의 7.4%에 불과하다. 지난해 통계에 따르면 감리용역 발주건수는 283건으로 이중 1500세대 이상은 21건에 그친다. 전체 92.6%를 차지하는 1500세대 미만의 공사의 조경감리가 비전문가 손에 의해 다뤄지고 있다. 이에 한국조경협회는 지난해 조경감리제도 개선을 위한 청원운동을 실시하였고, 700여명의 청원서를 국토부 주택건설공급과에 지난해 말 제출했다. 최근 한국조경학회, 조경지원센터에서도 조경감리 제도개선에 본격적으로 두 팔을 걷어붙였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주택건설공급과는 묵묵부답이다. “토목의 영역을 빼앗겠다는 것이 아니라, 조경감리 업무를 조경전문가에게 맡기자는 것이다. 법 개정처럼 어려운 것도 아니다. 국토부 의지로 바꿀 수 있는 ‘고시’를 고치자는 것이다. 700여 명의 청원서까지 제출했는데, 왜 국토부는 침묵만 하고 있을까?” 사실 박원제 회장이 하고 있는 일은 조경시공, 조경관리 업무로 조경감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런 그가 지난 3년 동안 조경감리제도 개선에 사활을 건 이유가 궁금해졌다. “전국 54개 대학 조경관련학과에서 1000명의 전공자가 배출되고 있지만, 전공에 맞춰 취업을 하는 졸업생은 일부이다. 어떻게 보면 국가적으로 인적 자원낭비라 볼 수 있다. 조경분야의 미래인 우리 후배들의 앞날을 위해 잘못된 제도를 바로 잡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리고 이들이 조경감리라는 분야에서도 활동할 수 있는 터를 닦아주고 싶었다.” 그는 특히 조경감리제도 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다. “조경감리제도가 개선되면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정부의 정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청년 취업난 해소, 여성 일자리 창출(여성기술자 비율 33%), 경력단절 기술자들의 재취업 기회제공 등 일자리 창출에 부응할 수 있다.” 특히 그는 조경감리 배치기준을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면, 1000명 이상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그는 조경분야의 관심과 참여를 강조했다. “작금의 조경감리에 대한 규정은 학회와 협회, 발주처, 설계, 시공, 관리 분야 등에 종사하는 모든 조경인이 주목해야 할 문제다. 국토부에 조경업무를 총괄하는 부서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발생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잘못 끼워진 단추에 많은 조경인들은 별로 관심이 없는 것 같다. 조경 안에서도 다양한 전문분야가 있지만, 하나의 중요한 선택이 필요하다면 상호 통합하여 대응하고 같은 목소리를 내야 한다. 조경감리제도 개선은 결국 조경기술인의 위상과 일자리와 관계되는 부분이다. 조경의 자리는 조경기술인 스스로가 지켜가야 한다.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는 당연히 요구해야 하는 것이 상식아닌가?”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e-환경과조경은 회원 전용 콘텐츠로 조달청 나라장터에 게시된 입찰정보 가운데 조경관련 사업을 간추린 '조경주간입찰'을 매주 제공한다. 기술사사무소(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기도 용역 2019년 수리산도립공원 탐방로 정비공사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56,910,000 2019/06/25 17:14 (2019/07/03 10:00)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용역 장재도 권역단위 거점개발사업 경관계획수립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38,060,000 2019/06/25 14:20 (2019/07/09 15:00) 부산시설공단 용역 시민공원 NH농협 숲(가칭) 조성공사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207,100,000 2019/06/25 13:30 (2019/07/02 15:00) 서울특별시 도봉구 용역 쌍문동 다목적체육센터 건립 도시계획시설(체육시설) 결정 및 도시계획시설(공원) 변경 용역 제한경쟁 31,548,000 2019/06/25 11:26 (2019/07/03 10:00) 충청남도 예산군 용역 2019년 예당일반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실시설계 용역 제한경쟁 68,069,000 2019/06/24 17:15 (2019/07/01 16:00) 전라북도 무주군 용역 설천 하두마을 산책로 조성공사 실시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6,719,000 2019/06/20 21:15 (2019/06/26 10:00)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용역 남면 기초생활거점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137,962,000 2019/06/19 15:11 (2019/07/03 15:00) 인천광역시 용역 장기미집행공원 조성 및 관리운영 구상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199,980,000 2019/06/19 11:17 (2019/07/10 15:00) 엔지니어링사업(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기도 용역 2019년 수리산도립공원 탐방로 정비공사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56,910,000 2019/06/25 17:14 (2019/07/03 10:00)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용역 장재도 권역단위 거점개발사업 경관계획수립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38,060,000 2019/06/25 14:20 (2019/07/09 15:00) 부산시설공단 용역 시민공원 NH농협 숲(가칭) 조성공사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207,100,000 2019/06/25 13:30 (2019/07/02 15:00) 서울특별시 도봉구 용역 쌍문동 다목적체육센터 건립 도시계획시설(체육시설) 결정 및 도시계획시설(공원) 변경 용역 제한경쟁 31,548,000 2019/06/25 11:26 (2019/07/03 10:00) 충청남도 예산군 용역 2019년 예당일반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실시설계 용역 제한경쟁 68,069,000 2019/06/24 17:15 (2019/07/01 16:00) 경상북도 문경시 용역 향기꽃식물원 조성을 위한 농어촌관광휴양단지 지정 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4,960,000 2019/06/24 15:27 (2019/06/28 10:00) 전라북도 무주군 용역 설천 하두마을 산책로 조성공사 실시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6,719,000 2019/06/20 21:15 (2019/06/26 10:00)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용역 남면 기초생활거점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137,962,000 2019/06/19 15:11 (2019/07/03 15:00) 인천광역시 용역 장기미집행공원 조성 및 관리운영 구상 용역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199,980,000 2019/06/19 11:17 (2019/07/10 15:00) 조경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사 서리풀공원 산책로 정비사업 제한경쟁 311,651,000 2019/06/25 16:39 (2019/07/03 10:00)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사 2019년 에코스쿨 조성사업(서원초 외 2개소) 제한경쟁 289,425,000 2019/06/25 14:20 (2019/07/03 10:00) 강원도 홍천군 공사 2019년 마을공동체 정원조성공사 수의(소액) 175,000,000 2019/06/25 13:18 (2019/07/02 14:0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공사 서호천 배다리교 아래 산책로 정비공사 수의(소액) 123,530,000 2019/06/25 09:01 (2019/06/28 10:00) 서울특별시 금천구 공사 2019년 에코스쿨 조성사업(시흥초)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21,110,000 2019/06/24 19:35 (2019/06/28 10:00) 서울특별시 금천구 공사 2019년 에코스쿨 조성사업(가산초)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18,580,000 2019/06/24 19:19 (2019/06/28 10:00) (재)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공사 재단사옥 5층 휴게공간 구축공사 제한경쟁 136,053,000 2019/06/24 18:57 (2019/07/05 10:00) 경기도 고양시 공사 대화동 쌈지공원 조성사업 수의(소액) 85,059,000 2019/06/24 18:52 (2019/06/28 10:00) 강원도 원주시 평생교육원 공사 반곡도서관 건립 미리내공원 조성 공사 지역제한 824,282,000 2019/06/24 18:06 (2019/07/01 10:00)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사 2019 녹지활용계약 쉼터 정비사업 제한경쟁 67,720,000 2019/06/24 18:04 (2019/07/02 14:30) 울산광역시 울주군 공사 덕신소공원 정비공사 지역제한 283,499,000 2019/06/24 17:51 (2019/07/02 10:00)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사 통의동 마을마당 조성사업(조경) 지역제한 298,958,000 2019/06/24 15:00 (2019/07/02 10:00) 경상북도 칠곡군 공사 공평화락 초롱권역 종합정비사업(공평어울림숲) 지역제한 278,000,000 2019/06/24 14:51 (2019/07/02 10:00) 서울특별시 양천구 공사 매봉산 유아숲체험원 조성사업 수의(소액) 160,490,000 2019/06/24 14:36 (2019/06/28 10:00) 서울특별시 양천구 공사 2019년 물순환 생태계류 조성사업 수의(소액) 112,420,000 2019/06/24 13:30 (2019/07/02 10: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긴급)나루어린이공원 노후시설 보수,보강공사 지역제한 147,400,000 2019/06/24 11:35 (2019/07/01 10: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긴급)2019년 어린이공원 시설개선공사 지역제한 157,300,000 2019/06/24 11:30 (2019/07/01 10:00)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 세종대전금산지사 공사 고복저수지 생태공원 조성사업(2-7단계) 수변공원 조경공사 지역제한 1,076,003,000 2019/06/24 10:21 (2019/07/05 12:00) 전라북도 익산시 공사 KTX 익산역 주변지구 완충녹지 조성사업 지역제한 349,696,000 2019/06/24 09:12 (2019/07/02 14:00) 전라북도 남원시 공사 두곡마을 창조적마을 만들기사업 수의(소액) 167,673,000 2019/06/22 15:51 (2019/06/28 14:00) 전라북도 남원시 공사 2019년 허브밸리 경관조성사업 수의(소액) 180,120,000 2019/06/22 15:45 (2019/06/28 14:00) 경상남도 남해군 공사 보물섬 레일파크 상부시설 조성공사 지역제한 345,197,000 2019/06/21 21:47 (2019/06/27 14:00) 경상북도 고령군 공사 소가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지역제한 4,207,000,000 2019/06/21 17:13 (2019/07/12 10:00) 울산광역시 남구 공사 정다운공원 생태놀이터 조성사업 수의(소액) 132,720,000 2019/06/21 17:05 (2019/06/27 10:00) 서울특별시 중랑구 공사 장미거리 연장 추진사업(2단계, 겸재교~장평교) 제한경쟁 309,079,000 2019/06/21 16:49 (2019/07/02 10:00) 경상남도 창녕군 공사 남산공원 및 둘레길 조성사업 지역제한 1,761,910,000 2019/06/21 15:45 (2019/06/27 12:00) 경상북도 청도군 공사 청도읍성 동측 녹지 조경사업 지역제한 323,346,000 2019/06/21 11:46 (2019/07/01 10:00) 경상남도 하동군 공사 동해량 다목적광장 부지조성사업 수의(소액) 151,690,000 2019/06/20 21:34 (2019/06/26 10:00) 경상남도 창녕군 공사 남지체육공원 축구장외1개소 정비공사 지역제한 305,970,000 2019/06/20 17:48 (2019/06/26 12:00) 경상남도 창녕군 공사 유어 파크골프장 및 그라운드골프장 조성공사 지역제한 710,794,000 2019/06/20 17:45 (2019/06/26 12:00) 국립공원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다도해해상 문화유산지구 정비공사 제한경쟁 273,295,900 2019/06/20 13:59 (2019/06/26 15:00)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 원호산림공원 조성공사 지역제한 1,464,860,000 2019/06/20 11:15 (2019/07/08 14:00) 충청북도 단양군 공사 느림보 생태탐방길 조성사업(온달관광지~본동교 구간) 지역제한 296,900,000 2019/06/20 08:55 (2019/06/26 12:00) 경상북도 포항시 공사 환호공원 재정비사업 제한경쟁 355,034,000 2019/06/19 19:24 (2019/06/27 10:00) 서울특별시 은평구 공사 은평뉴타운 가로정원 조성사업 제한경쟁 105,868,000 2019/06/19 18:37 (2019/06/27 14: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청주시립요양병원 부대시설 확충공사 입찰 공고 지역제한 602,855,000 2019/06/19 17:48 (2019/06/27 10:00)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사 청솔어린이공원 외 3개소 시설개선 공사 제한경쟁 205,029,000 2019/06/19 16:39 (2019/06/27 14:00) 중원노인종합복지관 공사 중원노인종합복지관 복지관 건물 내 녹지공원 조성공사 수액수의(견적) 입찰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단일응찰 허용) 40,000,000 2019/06/19 16:27 (2019/06/26 14:00) 재단법인 한국도자재단 공사 곤지암 도자공원 환경개선공사 제한경쟁 349,464,000 2019/06/19 15:50 (2019/06/26 16: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공사 2019년 노후 마을마당 보수정비사업 수의(소액) 60,470,000 2019/06/19 15:27 (2019/06/26 14:00)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 별빛공원 정비공사 지역제한 284,370,000 2019/06/19 13:41 (2019/06/28 14:00) 전라남도 해남군 공사 공룡화석지 꽃길 터널 설치공사 수의(소액) 54,970,000 2019/06/19 13:38 (2019/06/26 10:00) 조경식재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특별시 공사 한강공원 체육시설주변 수벽조성사업 지역제한 107,129,000 2019/06/25 16:58 (2019/07/03 15:00) 대구광역시 달성군 공사 국가산업단지 내 도시공원 유지관리 공사 지역제한 187,946,000 2019/06/25 16:25 (2019/07/01 15:00) 세종특별자치시 시설관리사업소 공사 세종호수공원 수목 관수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1,437,000 2019/06/25 16:21 (2019/06/28 16:30) 울산광역시교육청 신정고등학교 공사 신정고 상징탑 건립공사 소액수의 견적서 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84,700,000 2019/06/25 13:49 (2019/07/02 10:00) 경기도 광주시 공사 경안천 생태탐방로 풀깎기 및 수목제거사업(단가) 수의(소액)(단가) 11,188,200 2019/06/24 22:06 (2019/06/28 10:00) 전라남도 해남군 공사 2019년 숲속의 전남 만들기 삼산천 힐링 하천숲 조성사업 수의(소액) 97,000,000 2019/06/24 14:41 (2019/07/01 10:00)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공사 SJA Jeju 국제학교 (초등학교) 실외놀이터 조성사업 입찰 공고 제한경쟁 101,323,000 2019/06/24 13:54 (2019/07/02 15:00)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사 2019년 공공건물 옥상녹화, 텃밭 조성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77,000,000 2019/06/24 13:15 (2019/06/28 10:00) 서울특별시 성북구 공사 2019년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74,833,000 2019/06/24 11:01 (2019/06/28 14:00)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해운대교육지원청 공사 반여중 등 2교(강동초) 외부환경개선공사 지역제한 111,580,000 2019/06/24 10:33 (2019/07/02 10:00) 경상남도 남해군 공사 남해대교 레인보우전망대 공원 정비사업(주계약자) 지역제한 897,860,000 2019/06/24 09:44 (2019/06/27 14:00) 경기도 양평군 용역 2019년 생태계교란식물 제거 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222,000 2019/06/24 08:14 (2019/06/27 10:00) 경기도 수원시 공사 2019년 광교호수공원 꽃빛단지 조성공사 수의(소액) 66,173,000 2019/06/22 14:52 (2019/06/27 14: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순천신대지구 주민참여 도시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324,168,000 2019/06/21 18:54 (2019/06/27 12:00) 경상북도 포항시 공사 도심도로변 띠녹지 조성사업 시행 수의견적 제출안내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9,800,000 2019/06/21 18:51 (2019/06/27 10:00) 울산광역시 남구 공사 2019년 선암호수공원 수목 유지관리 사업 수의(소액) 51,623,000 2019/06/21 17:25 (2019/06/27 10:00) 대구광역시 달성군 공사 생태계교란식물(가시박) 제거사업 수의(소액) 24,866,900 2019/06/21 15:53 (2019/06/27 15:00) 경상남도 창원시 용역 다호리 고분군 예초사업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1,987,000 2019/06/21 13:53 (2019/06/27 10:00) 경기도 남양주시 공사 2019 한강시민공원 도농지구, 수석지구 녹지정비 사업 수의(소액) 29,227,000 2019/06/21 10:25 (2019/06/27 10:00) 경기도 남양주시 공사 2019 한강시민공원 삼패지구 녹지정비 사업 수의(소액) 30,379,000 2019/06/21 10:01 (2019/06/27 10:00) 강원도 화천군 공사 2019년도 복지시설 나눔숲 조성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3,543,000 2019/06/21 09:17 (2019/06/26 14:00) 강원도 평창군 공사 2019년 국토공원화사업(남부권역) 방림면(클래식공원) 수의계약(기타) 25,155,000 2019/06/20 19:49 (2019/06/26 10: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역전어린이공원 리모델링공사 수의(소액) 58,208,000 2019/06/20 18:33 (2019/06/26 12:00) 경기도 김포시 공사 김포한강 야생조류생태공원 생태도시숲 조성공사 지역제한 628,747,810 2019/06/20 17:44 (2019/06/28 10:00) 전라북도 군산시 공사 만경강 신지지구 예초 등 정비공사 수의(소액) 109,637,000 2019/06/20 17:39 (2019/06/26 12:00) 광주광역시 서구 공사 2019년 녹지공간 생활환경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148,140,000 2019/06/20 17:25 (2019/06/26 10:00) 경기도 화성시 용역 국가하천 시설물 풀베기 연간단가 용역 수의(단가)소액수의 (26,400,000) 2019/06/20 17:06 (2019/06/26 10:00) 전라북도 부안군 공사 내소사 진입로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4,790,000 2019/06/20 15:08 (2019/06/26 10:00)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용역 2019년 효자공원 공설공동묘지 예초작업 제한(총액) 90,167,000 2019/06/19 16:58 (2019/06/27 10:00) 중원노인종합복지관 공사 중원노인종합복지관 복지관 건물 내 녹지공원 조성공사 수액수의(견적) 입찰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단일응찰 허용) 40,000,000 2019/06/19 16:27 (2019/06/26 14: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홍예공원 유지관리사업(2) 제한경쟁 98,740,000 2019/06/19 13:48 (2019/06/26 15: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애향공원 유지관리사업(2차) 제한경쟁 62,820,000 2019/06/19 13:35 (2019/06/26 15: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연결녹지 유지관리사업(2) 제한경쟁 59,722,000 2019/06/19 13:27 (2019/06/26 14: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완충녹지 유지관리사업(2차) 제한경쟁 88,014,000 2019/06/19 13:22 (2019/06/26 14:00) 충청남도 당진시 당진2동 공사 시가지 가로등 및 교량 꽃묘 식재·관리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8,723,000 2019/06/19 12:24 (2019/06/26 14:00) 충청남도 당진시 당진1동 공사 당진1동 시가지 꽃화분 설치 및 관리사업 수의(소액) 70,990,000 2019/06/19 11:46 (2019/06/26 14:00) 충청남도 예산군 내포문화사업소 공사 2019년 내포신도시 목리천 유지관리사업 제한경쟁 50,000,000 2019/06/19 09:50 (2019/06/26 10:00)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사 수서6단지 어린이놀이터 환경개선공사 제한경쟁 147,998,000 2019/06/25 16:57 (2019/07/08 14:00) 경기도 광명시 공사 광명동굴 관람객 휴게공간 인공폭포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1,332,000 2019/06/25 16:50 (2019/07/01 17:00) 강원도 동해시 물품 무릉3지구 선도사업 스카이글라이더 제작 및 구매설치 수의(총액)수의 5,876,000,000 2019/06/25 16:28 (2019/07/02 15:00)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사 가양8단지 외 1개단지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 교체공사 지역제한 111,034,000 2019/06/25 15:04 (2019/07/08 14:00) 울산광역시교육청 신정고등학교 공사 신정고 상징탑 건립공사 소액수의 견적서 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84,700,000 2019/06/25 13:49 (2019/07/02 10:00) 경기도 용인시 공사 2019년 서부 어린이공원 소공원 시설물 유지보수 연간단가공사(2차) 수의(소액) 80,000,000 2019/06/25 13:13 (2019/07/01 10:00) 서울특별시 관악구 공사 2019. 대학동 유아숲체험원 조성공사 제한경쟁 157,893,000 2019/06/25 10:56 (2019/07/03 10:00) 서울특별시 관악구 공사 2019. 당곡 유아숲체험원 조성공사 제한경쟁 165,215,000 2019/06/25 10:31 (2019/07/03 10:00) 인천광역시 서구 공사 원당2호근린공원 시설물 정비공사 지역제한 123,777,000 2019/06/25 09:19 (2019/07/02 10:00) 서울특별시 공사 샛강다리 목재데크 보수공사 지역제한 461,538,000 2019/06/24 21:03 (2019/07/02 14:00) 경상북도 예천군 공사 낙동강 종주길 자전거도로 보수공사(3차)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6,700,000 2019/06/24 19:42 (2019/07/01 10:00) 경상북도 고령군 공사 다산면 바닥분수 조성공사 지역제한 256,310,000 2019/06/24 19:15 (2019/07/01 10:00)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공사 SJA Jeju 국제학교 (초등학교) 실외놀이터 조성사업 입찰 공고 제한경쟁 101,323,000 2019/06/24 13:54 (2019/07/02 15:00) 경기도 안성시 물품 사계절썰매장 인조잔디 교체 및 보수공사 관급자재구입(인조잔디) 제한(총액) 74,790,000 2019/06/24 13:18 (2019/06/28 15:00)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물품 월배중학교 외 1교(용산중) 운동장 생활체육시설 조성 공사 인조잔디 및 충진재 구매 일반(총액) 254,175,000 2019/06/24 12:00 (2019/07/03 10:00) 국회 국회사무처 공사 국회 제1어린이집 놀이터 개선공사 제한경쟁 161,340,000 2019/06/24 10:37 (2019/07/02 10:00) 경상남도 양산시 공사 수학체험공원 조성공사 지역제한 220,976,000 2019/06/24 09:25 (2019/07/03 10:0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공사 [긴급]대서리 문화광장 수변시설 조성사업 지역제한 124,075,000 2019/06/24 07:28 (2019/06/26 14:00) 경기도 수원시 공사 2019 광교호수공원 시설물 유지보수공사 수의(소액) 60,000,000 2019/06/22 15:06 (2019/06/27 14:00) 대전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공사 대전동문초 휴게공간조성 조경공사 지역제한 142,900,000 2019/06/21 22:25 (2019/07/03 10:0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공사 노후 어린이놀이시설 교체공사 제한경쟁 183,162,830 2019/06/21 20:33 (2019/07/02 14:00) 대전광역시 대덕구 공사 2019년 동지역주민 건의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5,580,000 2019/06/21 17:45 (2019/06/27 14:00) 서울특별시강동교육청 서울잠전초등학교 공사 서울잠전초등학교 운동장 스탠드 및 음수대 개선 공사 수의(소액) 80,300,000 2019/06/21 17:39 (2019/06/27 10:00) 인천광역시 연수구 용역 2019년 물놀이장 관리 용역 제한(총액) 113,289,000 2019/06/21 14:59 (2019/06/27 10:00) 충청남도 예산군 공사 용굴천 산책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146,960,000 2019/06/21 14:48 (2019/06/27 15:00) 경기도용인교육청 공사 어정초 교육환경 개선 사업공사 수의(소액) 103,928,000 2019/06/21 11:06 (2019/06/27 1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공사 장애인과 함께하는 어울림 공원 조성공사 제한경쟁 65,765,000 2019/06/21 10:02 (2019/07/02 15:00) 충청북도 보은군 공사 전천후게이트볼장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7,000,000 2019/06/20 16:28 (2019/06/26 10:00)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공사 삼광초 포장개선공사 및 어린이놀이시설 조성공사 제한경쟁 242,921,000 2019/06/20 14:33 (2019/06/28 10:00) (주)GS스포츠 민간 『2019시즌 FC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쿨링포스시스템 설치공사』 일반경쟁 (130,700,000) 2019/06/20 10:43 (-) 경기도 화성시 지역개발사업소 공사 창의생태놀이터(배틀어린이공원) 조성사업 제한경쟁 128,917,300 2019/06/20 10:07 (2019/06/26 14:00) 인천광역시 부평구 공사 공원 내 수경시설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9,430,000 2019/06/20 09:59 (2019/06/26 10:00) 경상북도 안동시 용역 용상풋살장 노후인조잔디 분리회수 및 재활용처리용역 제한(총액) 72,300,000 2019/06/19 18:53 (2019/06/27 12:00) 충청북도교육청 충청북도청주교육지원청 공사 충북고 기숙사 옥상 휴게공간 조성공사 소액수의 견적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8,959,000 2019/06/19 17:27 (2019/06/26 10:00) 경기도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공사 2019년 물향기수목원 금암천 목교 보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1,970,000 2019/06/19 14:49 (2019/06/26 15:00) 강원도 철원군 물품 김화인조잔디 축구장 노후시설 개보수사업 인조잔디 구매 설치 제한(총액)KS표시허가업체 417,105,000 2019/06/19 14:19 (2019/06/26 12:00) 울산광역시강남교육청 학성중학교 물품 학성중학교 인조잔디 제조 구매 설치 입찰 공고(긴급) 제한(총액)규격가격동시 505,540,000 2019/06/19 11:25 (2019/07/02 14:00) 한국산업단지공단 중부지역본부 용역 구미국가산업단지 50주년 기념 조형물 제작설치(재공고/협상에의한계약) 제한(총액)협상에의한계약 120,000,000 2019/06/19 08:58 (-) 연세대학교 공사 대운동장 인조잔디 교체공사 제한경쟁 567,380,000 2019/06/19 08:56 (2019/07/08 15:00) 산림사업법인(도시림등조성)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전라남도 해남군 공사 2019년 숲속의 전남 만들기 삼산천 힐링 하천숲 조성사업 수의(소액) 97,000,000 2019/06/24 14:41 (2019/07/01 10: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순천신대지구 주민참여 도시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324,168,000 2019/06/21 18:54 (2019/06/27 12:00) 광주광역시 서구 공사 2019년 녹지공간 생활환경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148,140,000 2019/06/20 17:25 (2019/06/26 10:00)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 원호산림공원 조성공사 지역제한 1,464,860,000 2019/06/20 11:15 (2019/07/08 14:00) 전문문화재수리업(조경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상북도 성주군 공사 성밖숲 정비사업(3차년도) 지역제한 220,557,000 2019/06/24 20:04 (2019/07/02 10:00) 경상남도 사천시 공사 2019년 문화재 구역 내 수목정비 공사 수의(소액) 85,100,000 2019/06/24 17:42 (2019/06/28 10:00) 경기도 연천군 공사 연천 은대리물거미서식지 식생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4,700,000 2019/06/20 11:24 (2019/06/26 10:00)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지난 5년간 여의도 면적 2배 가까이 되는 갯벌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2018 전국갯벌면적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갯벌의 보전·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2003년부터 5년 주기로 전국갯벌면적조사를 실시해 연안습지 면적현황을 공표해 왔다. 이번 조사에서는 2018년 갯벌면적이 2482㎢로, 2013년보다 5.2㎢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감소한 갯벌면적 2.2㎢보다 2배 이상 더 줄어든 것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이는 중·소규모 공유수면 매립이 지속적으로 추진된 것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해수부는 연안 습지보호지역 확대,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확대 등 갯벌 보전을 위한 정책 추진으로 현재 갯벌면적 수준은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갯벌면적 2482㎢ 중 서해안이 83.8%인 2079.9㎢, 남해안이 16.2%인 402.1㎢이며, 지역별로는 전남 42.5%, 인천·경기 36.1%, 충남 13.7%, 전북 4.4%, 경남·부산이 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갯벌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해 당초 조사대상인 연안습지 외에 수심 0~6m의 해역과 바닷가에 대한 면적조사도 함께 진행됐다. 이번 갯벌면적조사 결과는 내년에 수립 예정인 갯벌관리·복원 기본계획 등 갯벌에 대한 주요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명노헌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2020년 1월 갯벌법 시행에 맞춰 갯벌의 보전·복원 및 현명한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지난해 여의도 면적의 8.4배에 달하는 자연환경보전지역 면적이 사라졌다. 도시·군계획시설 결정 시설 가운데 미집행 비율이 가장 높은 시설은 공원, 유원지, 녹지 순이었으며, 이중 미집행공원의 면적은 44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18년 기준 도시지역 인구·면적 등 일반현황, 용도지역·지구·구역 현황, 도시·군계획시설 현황 등이 수록된 2018년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24일 발표했다. 국토계획법에 따라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국토 면적은 10만6286㎢이며, 그 중 도시지역이 1만7789㎢로 전체 면적의 약 16.7%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민등록 상 총인구 5182만 명 중 4759만 명이 도시지역(91.8%)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 1만7789㎢(16.7%), 관리지역 2만7223㎢(25.6%), 농림지역 4만9351㎢(46.5%), 자연환경보전지역 1만1923㎢(11.2%)로 전체 면적은 10만6286㎢로 조사되었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2684㎢(15.1%), 상업지역 335㎢(1.9%), 공업지역 1198㎢(6.7%), 녹지지역 12,628㎢(71.0%), 미지정 지역 944㎢(5.3%)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의 경우 주거지역(14.0㎢), 상업지역(3.7㎢), 공업지역(16.6㎢), 녹지지역(11.8㎢)이 모두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 지역은 관리지역(42.9㎢), 농림지역(5.4㎢)은 증가한 반면 자연환경보전지역은 24.4㎢ 감소하였으며, 이는 도시·군관리계획 재정비에 따른 변동으로 파악되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년(2017년) 대비 53475명 증가한 4759만6436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91.84%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된 면적은 총 7127.3㎢이다. 교통시설(2,396.6㎢)이 가장 많고, 방재시설(1,847.3㎢), 공간시설(1,469.2㎢), 공공문화체육시설(1,013.9㎢), 유통 및 공급시설(241.8㎢), 환경기초시설(109.2㎢), 보건위생시설(49.0㎢) 순으로 확인됐다. 도시·군계획시설 중 집행 면적은 6012.6㎢(84.4%), 미집행은 1114.7㎢(15.6%) 이며, 미집행 시설은 공원이 446.7㎢로 가장 많았으며, 도로(316.4㎢), 하천(88.1㎢), 유원지(62.9㎢) 순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00.2㎢으로 가장 많고, 경북(136.1㎢), 경남(121.7㎢), 전남(87.5㎢), 서울(64.3㎢) 순으로 확인되었다. 매년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작성되는 도시계획 현황 통계는 도시정책 및 도시계획 수립, 지방교부세 산정 근거자료, 지역개발계획 구상 등의 정책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통계 상세 자료는 인터넷 도시계획정보서비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통계누리 및 e-나라지표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산림청이 올 11월 목표로 도시림‧생활림‧가로수(도시림등) 품셈과 표준시방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청은 현재 건설공사 품셈을 적용하고 있는 도시림등의 사업에 대한 독자적인 품셈과 표준시방서 개발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산림청 ‘제2차 도시림 기본계획(2018~2027)’에 따르면 도시림은 ‘도시에서 국민보건 휴양·정서함양 및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면지역과 자연공원 제외)’을 의미한다. ‘도시림등’의 범위에는 ‘도시림, 생활림, 가로수, 기타(옥상·벽면녹화, 도시공원·녹지 등)’가 포함된다. 청은 품셈시행을 위한 규정 마련 및 도시림등 공종의 체계성을 확보하고 도시림등이 산림분야 고유기술로 자리매김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전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현재 도시림등의 품셈은 건설 쪽을 인용하고 있고, 산림에 안맞는 것이 있다. 조경분야와 일부 겹치지만 안겹치는 부분도 있어서 독자적으로 만드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도시림등 설계도서의 품셈, 시방서의 적용 실태조사, 시공지 공종 조사를 통한 필요 공정조사 항목 선정, 현재 사용되는 도시림등 품셈, 시방서 적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림등의 공종 명칭과 정의도 확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도시림 사업의 상당수가 조경과 중복되는데 국민의 세금을 들여 새로 품셈과 시방서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중복에 의한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김영철 산림청 산림기술계 담당자는 “조경과 겹치는 품이 있다면, 그대로 인용해 도시림등에 적용할 수 있다”며 조경과의 중복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경사지에 조성되는 산림공원의 경우, 일반 공원과 다른 품을 적용해야 한다”고 차이점을 말했다. 그러나 도시림 품셈으로 대체되면 기존 공종의 품이 상승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일반적인 공원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한 조경전문가는 “산림사업이라고 하지만, 도시림 사업 상당수가 조경업체가 수행을 하고 있는 현실에서, 산림청은 도시림 품셈과 시방서 제작 초기 단계부터 조경분야를 반드시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도시미관을 해치는 공사중단 건축물과 낡은 공공 건축물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이뤄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공사중단 건축물 정비사업과 노후 공공 건축물 리뉴얼사업 가속화를 위해 오는 24일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제5차 선도사업을 공모한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6년 시행한 공사중단 건축물 실태조사 결과 전국 공사중단 건축물은 387개소로 도시미관 저해는 물론 범죄·사고유발의 우려가 높아 지역 활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공공청사는 2019년 4월 30일 기준 총 18만3000여 동으로 이 중 24%인 4만4000여 동이 30년 이상 노후화돼 불편할 뿐 아니라 지진 등 재해에도 취약한 상태다. 국토부는 지난 2015년부터 4차례에 걸쳐 선도사업을 선정해 왔고, 사업지구에 국비를 투입해 사업모델 검토·개발구상 수립을 등을 지원해왔다. 이번 제5차 선도사업은 각 지자체에서 오는 7월 18일까지 신청한 사업을 대상으로, 공익성과 사업성 등을 평가해 8월 말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선정방식에 있어서는 생활SOC 연계성을 평가항목에 추가하고, 기존 상대평가 방식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평가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사업을 선도사업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휴론네트워크는 7월부터 8월까지 환경·조경인을 위한 드론 기초 교육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드론과 환경'이란 주제로 기획된 이번 교육은 4차산업 기술의 민간 활용 저변을 넓히고 관련분야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주민이나 경기도 소재 대학 재학생, 또는 드론에 관심있는 국민은 7월 3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수강료는 무료이다. 강의는 드론의 구조와 동작원리를 살펴보는 기초교육을 시작으로 건설, 환경, 물류 분야에 활용되는 드론기술 사례교육, 환경분석 기술 등 총 3회에 걸쳐 진행된다. 특히 3일차 환경 분석기술 교육은 드론영상 가공을 통한 식생조사 방법을 배울 수 있는 흔치않은 기회다. 교육은 7월과 8월의 둘째주, 넷째주에 각각 진행돼 원하는 주차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월, 수, 금 3일동안 진행된다. 교육장소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KT모란빌딩 5층이다. 한편 휴론네트워크는 조경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으로 드론, 라이다, 3D 시뮬레이션 등 4차산업 과학기술을 이용한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특강 신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휴론네트워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2027년 개원을 목표로 하는 새만금수목원이 올 하반기 기본설계에 착수하고 본격적인 조성에 들어간다. 산림청은 20일 전라북도청에서 전라북도 및 김제시와 ‘국립새만금수목원 조성 사업의 성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새만금수목원은 해안식물 돔과 우리나라 주요 도서 식물 전시원 등다양한 전시·연구·체험 공간이 마련돼 생태·문화 환경을 조성하고 해안·도서식물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국립새만금수목원은 전체면적 151ha에 총공사비 1530억 원이 투입된다. 산림청은 올 하반기 기본설계에 착수하여 2022년 착공할 계획이다. 개원은 2027년으로 구상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각 기관은 지역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지역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수목원 조성에 필요한 토사 확보 등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산림분야 국책사업에서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라면서 “국립새만금수목원을 성공적으로 조성해 지역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 말했다.
  •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 연재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나는 결코 컴퓨터에 친숙하거나 프로그램에 능숙한 기술적인 사람이 아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흔한 컴퓨터 게임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 늦은 출산과 육아로 잠시 쉬는 시간을 갖고서 다시 학교에 돌아와 보니, 갓난아기가 아장아장 걷게 된 짧은 기간에 세상은 너무나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었다. 이전의 수업에서 다뤘던 설계기법이나 접근방식이 구닥다리로 느껴졌다. 현재의 복잡하고 다양한 설계이슈들을 풀어내고 조경의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는 학생들의 역량을 키워줘야 하는 의무와 함께, 새로운 설계방법의 도입이 절실했다. 현재 커리큘럼을 새로 만들고 평소 교류하던 재야의 고수들을 총동원하여 직접 배워가면서 모든 수업을 전면 개편하는 중이다. 21세기 조경분야의 계획가와 설계가가 풀어야하는 기후변화, 도시재생, 스마트시티, 미세먼지 등 긴급하고 도전적인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접근방법을 넘어서는 용감한 시도가 필요하다. 특히 설계기법에 대한 수업은 실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만큼 최근의 설계방식이나 기술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학계는 미래를 위한 인재양성이라는 막중한 책임을 갖고 있는 만큼, 업계에서 새로운 업역을 구축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설계 이슈는 더욱 복잡해졌는데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없다면 살아남을 수 없다. 설계 교육에도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디자인이란 주어진 제한적 조건 안에서 디자이너(설계가)가 우선적으로 고려할 규칙들을 정하고, 좌뇌와 우뇌의 반복적인 사고와 드로잉이나 모델에 의한 구체화를 통해 형태와 시스템이 걸러지고 결정되는 과정이다. 우리는 가장 처음 그린 디자인이 최종안인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것을 안다. 개인적 경험으로는 대략 3~4번째 쯤에 시도했던 디자인이 최종안으로 발전됐던 것 같다. 그렇다고 마지막 디자인이 가장 완벽한 디자인인가? 최종안은 단지 주어진 마감시간에 내에 완료된(완성이 아닌) 디자인일 뿐이다. 나는 어떤 디자인이라도 충분한 분석을 근거로 현실화에 시간을 들인다면 최종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산적 설계(Computational Design)는 디자인을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기하학에서 논리로 전환하는 설계과정으로, 고도의 복잡성을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한다는 면에서 ‘설계의 자동화’라고도 얘기할 수 있다. 그러나 연산적 설계는 컴퓨터가 대신 설계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설계가가 특정 데이터에 어떠한 규칙을 적용하는가에 따라 설계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빠른 시간에 확인하는 과정이다. 연산적 설계의 전제는, 설계자가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무엇이 중요한 규칙인지를 결정하고 이를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따라 설계안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방식은 디자인이 공간의 시각화와 소통의 기능을 넘어서 기능성(performance)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 해외동향을 파악해보면 연산적 설계(Computational Design)는 다양한 분야를 중심으로 실무에 활용되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는 이미 10여년전부터 연산적 설계의 한 축인 파라메트릭 디자인(Parametric Design) 수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도 다양한 변수를 추출하여 파라메트릭 모델을 구축하고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방식의 수업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건축설계와 시공업계를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의무화되고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의 도입도 설계와 시공 프로세스의 획기적인 변화이다. 게임제작도구인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으로 구축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설계안의 시뮬레이션을 넘어 블루프린트라는 코딩 작업을 통해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을 재현하는 도구로 활용가치가 높다. 건축이나 예술 분야에 비해 조경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매우 느리게, 때로는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협업의 일원으로서 조경분야도 이제는 BIM을 CAD와 같은 기본적인 프로그램으로 여기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외부 공간의 특성상 환경적 요소의 지대한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감성적이거나 단편적 분석에 의존하여 어떤 환경적 변수를 어떤 가중치로 설계에 적용해야 하는지를 검증할 기회도 없이 설계안이 그려지고, 공사가 시작된다. 우리는 이제 조경분야에서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이 연필, 지우개, 가위와 풀을 대신하여 전산화된 작도와 표현의 도구로만 사용되었던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설계와 시공 과정에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와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설계가가 코드나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화하고 설계 도구를 직접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다행히 주위에는 무료로 제공되는 오픈소스가 넘쳐나고 융합적인 설계방식과 아이디어들을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과 신진 세대가 새롭고 혁신적인 도구를 익히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어야 한다. 기존 세대가 첨단의 기술과 프로그램을 익혀서 실무와 교육에 활용하는 일은 쉽지 않으나, 최소한의 시도는 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또한 잠깐이라도 쉼의 시간을 갖지 못했다면 다람쥐 쳇바퀴에서 내리는 용기를 갖지 못했을 것 같다. 일단 맨땅에 던져지고 나니 그제야 지금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진정성 있는 탐구가 시작되었기에. 이유미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
    • 이유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2019-06-19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기초 공사가 불가능한 건물 내·외부 공간, 특히 일조량과 대기중 염분이 높은 바닷가 관광지에서 합성목재를 찾는 수요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친환경 합성목재 기업, 뉴테크우드코리아는 최근 여름철 피서지로 유명한 강릉 S호텔 옥외 수영장 루프탑에 조립식 데크플로어를 설치했다고 19일 밝혔다. S호텔은 탁 트인 해변을 바라볼 수 있는 레스토랑과 루프탑으로 유명한 곳이다. 일반 조립식 데크는 셀프 설치가 가능해 개인주택 베란다, 테라스, 옥상, 현관 등 좁은 공간에 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뉴테크우드 데크플로어는 설치가 간편할뿐만 아니라 설치 이후에도 오랫동안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어, 야외 시설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뉴테크우드 데크플로어는 바닥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지 못하거나 바닥 기초 작업이 불가능한 환경에 적합하다. 기초에 해당하는 그리드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클립을 꽂아 데크 보드를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수평이 맞춰진 바닥면이라면 누구나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분해 후 다른 곳에 재설치도 가능하다. 특히 일조량과 대기 중 수분 및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닷가 인근에서는 변형, 변색, 부패가 없고, 내구성이 보장된 뉴테크우드 제품의 활용성이 높다. 완벽하게 피복 처리된 뉴테크우드 데크플로어는 열악한 외부 환경에서도 강한 내구성이 보장된 제품이다. 뉴테크우드코리아 관계자는 "뉴테크우드 데크플로어는 공사기간을 줄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데크를 설치하려는 개인고객부터 건축주, 건설업체까지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맞출 수 있는 제품으로, 최근 제주 지역 및 바다 인근 기업고객의 상담이 늘며 납품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국립한국농수산대학이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 11개 품종을 보급하여 막대한 로열티를 지불했던 화훼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18일 한농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의 국산화를 위해 지난 2014년부터 품종개발을 진행해 현재까지 11개의 아시아틱 백합 품종을 개발했고, 이를 화훼농가에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틱 백합의 자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분화‧조경용 아시아틱 백합의 경우 연간 약 50만개 가량을 네덜란드에서 수입하고 있다. 국내 분화·조경용 백합 구근을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막대한 사용료(로열티)를 지급함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산업에 부담이 되었고, 우리가 원하는 품종을 원하는 시기에 수입하지 못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송천영 한농대 화훼학과 교수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14년부터골든씨드프로젝트(GSP) 원예종자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아시아틱 백합 국산화를 위한 품종 연구에 돌입했고, 현재까지 ‘딥레드리아송, 옐로우리아송, 로즈리아송’ 등 아시아틱 백합 11개 품종을 개발하게 됐다. 한농대에서 개발한 아시아틱 백합의 경우 땅에서 꽃까지의 길이(초장)가 30㎝~50 내외여서 작은 화분에서 심기 적합하다. 조경용의 경우 한번 심으면 매년 꽃이 피어서 효용성이 높다. 또한, 꽃송이가 기존보다 많고 화색이 다채롭고 선명하여 수입 아시아틱 백합보다 소비자 선호도가 높고 상품성이 좋다는 것도 특징이다. 특히, 국내에서 이미 내병성과 내한성을 검증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경과 기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틱 백합의 국산화를 통해 해외로 지급되는 사용료(로열티) 부담 등을 완화해 국내 화훼농가 경영비 절감에 일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농대는 개발한 아시아틱 백합의 빠른 보급을 위해 5개 업체에 10차례 기술이전을 하는 등 산학협력을 통해 화훼농가에 보급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곤명에서 현지 시험 재배도 진행 중이다. 또한, 지난 2016년부터 한농대 재학생과 졸업생을 비롯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발품종에 대한 품평회를 진행해 상품성을 검증받고 있으며, 재배 방법과 향후 시장 전망 등에 대한 공개강좌도 병행하고 있다. 허태웅 한농대 총장은 “한농대에서 개발한 아시아틱 백합이 K-Flower의 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년 응시료 50% 지원,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응시 늘었다”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정부가국가기술자격청년응시료절반을지원한결과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도청년응시가늘어난것으로나타났다. 최근고용노동부에따르면,올해1분기동안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을통해청년38만9473명이응시료42억4000만원을감면받았다. 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은만34세이하청년이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시행하는439개국가기술자격시험에응시하면서응시료지원을신청하는경우,정부가응시료의50%를선지원하는사업으로올해처음시행됐다.1인당최대3회까지지원받을수있다. 이러한응시료지원사업이청년의직업능력개발과취업을위한국가기술자격취득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고있는것으로분석되고있다. 올해1분기국가기술자격접수인원은전년동기대비3만2433명증가했다.이는비청년층접수자가전년동기대비1만2477명감소했음에도청년층접수자가4만4880명증가했기때문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관계자에따르면조경분야는전년동기대비청년층이2554명에서2805명으로251명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조경기사는전년동기대비2104명에서2350명으로,조경산업기사는450명에서455명으로청년층이늘었난것으로확인됐다. 또한정보처리기사,위험물산업기사,건축기사등기사시험에응시하는대학생등취업준비청년층이큰폭으로증가했으며,2024년제1회기사실기시험청년접수자가지난해에비해2만5650명늘었다. 아울러응시료가상대적으로높은시험에응시하는청년층이크게증가했다.응시료가높은기술사및기능장시험에응시하는청년층이크게증가했으며,실기시험청년층접수자도필기시험에비해크게증가했다. 이는응시료지원이청년1인당3회로제한되기때문에상대적으로경제적부담이큰시험에청년층이많이응시한것으로보여응시료지원사업이국가기술자격을취득하고자하는청년층의경제적부담완화에크게기여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고있다. 한편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에대한이용방법및자세한내용은국가자격정보홈페이지에서확인할수있다.
아파트 조경 관심도 1위는 “삼성”…현대·대우·롯데건설 순
[환경과조경박광윤기자]국내주요건설사가운데최근1년간온라인에서‘조경’관련정보량이가장많은것은‘삼성물산건설부문’인것으로나타났다.이어현대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순으로조사됐다. 여론조사기관데이터앤리서치는아파트조경및디자인관심도를알아보기위해2023년5월부터2024년4월까지주요커뮤니티를대상으로빅데이터를분석한결과를지난8일공개했다. 이번조사는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등12개채널23만개사이트를대상으로이뤄졌으며,2023년7월31일국토교통부가발표한2023국내시공능력평가상위12개건설사로한정해조사됐다. 조사키워드는‘건설사이름’+‘조경’및‘디자인’이며한글기준15자이내인경우만결과값으로도출하도록했기때문에실제정보량은달라질수도있다는설명이다. 삼성물산의경우‘건설부문’으로국한해조사했으며,포스코이앤씨의경우옛사명인포스코건설도함께조사했다. 조사결과에따르면,정보량순위에서▲삼성물산건설부문이1위로나타났다.이어▲현대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포스코이앤씨▲GS건설▲DL이앤씨▲현대엔지니어링▲HDC현대산업개발▲한화건설부문▲호반건설▲SK에코플랜트순으로나타났다. 특이할점은각건설사의주요조경상품이세계3대디자인시상식으로일컬어지는미국‘IDEA디자인어워드’과독일‘iF디자인어워드’,‘레드닷어워드’를비롯해국내시상식인‘2023굿디자인어워드’등에서수상하거나호평을받았다는내용이공통적으로확인된것이다. 1위를한삼성물산은5274건의정보량을기록했다. 4월카카오스토리의한유저는“영산홍과철쭉이한창인길을따라걷다가베일리아트라운지(BaileyArtLounge)까지왔다”면서“원베일리아트는삼성물산이국제대회‘아시아디자인프라이즈(AsiaDesignPrize2024)’에출품해대상을수상한정원”이라며수상소식을소개했다. 또한문정동에위치한래미안브랜드체험관의외부조경공간인‘네이처갤러리’가세계조경가협회(IFLA)가주관하는‘2023년IFLA아시아태평양지역어워즈’에서문화도시경관부문최고상을수상했다는내용과이문·휘경재정비촉진지구‘래미안라그란데’의조경면적이5만3586㎡(조경률46.7%)에달한다는내용의포스팅도발견됐다. 이어현대건설은관련게시물수4534건으로2위를차지했다. 현대건설의경우,‘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의조경작품‘티하우스’와‘작가정원’이‘레드닷디자인어워드2024’에서모두‘위너’에선정됐다는소식이전해졌으며,‘2023IFLA아시아태평양지역어워즈’에서공동주택부문우수상을수상한‘디에이치자이개포’단지조경과놀이터디자인부문장려상을수상한힐스테이트홍은포레스트‘토끼놀이터’사례가소개되기도했다. 일부채널에서는미국건축전문웹진‘아키타이저’주최‘2023아키타이저에이플러스비전어워드’에서현대건설의출품작‘스카이가든위드미러폰드앤미디어아트(SkyGardenwithMirrorPond&MediaArt)’가조경사진부문최고상인‘스튜디오위너’를수상했다는내용도포스팅됐다. 대우건설은3064건의정보량이집계되며3위에자리했다. 대우건설이시공한현장출품작▲대치푸르지오써밋‘아티스틱플레이그라운드’▲하남감일‘아클라우드’▲대구달성파크푸르지오힐스테이트‘숲과빛의풍경’등3개작품이독일‘레드닷디자인어워드2024’에서모두본상을차지했다는소식이비중있게다뤄졌다.또한‘2023굿디자인어워드’에서대우건설의주요주택브랜드응모작이굿디자인(GD)마크를얻었다는소식이전해졌다. 4위롯데건설은2541건으로확인됐다. 롯데는‘신반포르엘’과‘롯데캐슬리버파크시그니처’에서조경·외관·문주디자인·주방등4개상품이‘2023굿디자인어워드’에서우수디자인으로선정됐다는소식이전해졌다. 이외에도포스코이앤씨는1905건,GS건설은1818건,DL이앤씨는1397건,현대엔지니어링은1037건,HDC현대산업개발은933건,한화건설부문은725건,호반건설433건,K에코플랜트249건으로확인됐다. 데이터앤리서치관계자는“건설사별조경·디자인관련총정보량은2만3910건으로직전연도같은기간1만9393건과비교하면23.29%나증가했다”면서“건설사들이최근친환경적조경과다양한감각의디자인을반영한단지를적극선보이고있어조경에대한빅데이터정보량은더욱늘어날것으로보인다”고전했다.
정원도시포럼, “산이정원 형태의 사립식물원이 가장 이상적”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정원도시포럼콘퍼런스가지난3일전라남도해남군산이정원가든뮤지엄2층에서열렸다.2022년이후2년만에갖는자리다.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이주최하고정원도시포럼이주관한이번콘퍼런스는산이정원개원기념으로마련됐다. 이날콘퍼런스는주제발표와정원토크로나눠진행됐다.정원도시에관한구체적제안과정원정책의방향,현재정원법이규정하는정원의형태등에관해그려보는자리였다. 정원도시기본모델‘산이정원’통해정원정책기조변환필요 주제발표는▲김인호한국환경보전원국가환경보전센터센터장의‘탄소중립사회를위한정원도시미래전략’▲황승흠국민대법학과교수의‘국가정원정책의의제와방향’▲배준규국립수목원정원식물과과장의‘정원정책과수목원’▲이병철산이정원대표의‘미래와함께하는산이정원’등으로구성됐다. 김인호센터장은“지구의2%가안되는도시가에너지78%,탄소배출량60%를생산하는상황에서정원도시를통해생태문명으로의전환이가능하다고생각한다”며“최근국립수목원전문가들이정원도시유형과문화를개발하고,지자체가‘정원’이들어간과를신설하는등관심을갖고적극적인정원산업활성화에참여하는것에고무적이라생각된다”라고밝혔다.그는정원도시를통해기후위기에대응하고,태양광이나풍력등재생에너지가정원도시에어떻게안착할수있는지기능적요소로서도입필요성을제시했다. 정원도시를구성하기위한법적인관점에서황승흠교수는수목원과정원이목적과특성이달라생기는법적문제를지적했다.정원법은2015년에만들어졌지만,당시수목원식물원법에포함되는것에그쳤다.“수목원을위한정책에정원이끼어든상태”라고황교수는말했다.황교수에따르면수목원은식물전시와유전자원보존이라는특정목적이있다.정원은수목원보다범위가넓다는사실이다.즉,정원은식물을전시하고지속해서가꾸고관리하는공간으로포괄적인목적을가졌다.이런차이에도법에는거의동일하게규정되어있어작은문제들이발생한다. 또한,황교수는국가·지방정원의지정기한도문제삼았다.“현재중앙정부와지자체에서운영하는국가·지방정원은지정기한이없는상태로언젠가문제점이드러날수있는한계를갖고있다.이런면에서김인호센터가제안하는‘정원도시’에공감한다”고말했다. 그는민간정원활성화를위한국가정원정책의필요성도강조했다.‘산이정원’을예로들어“전세계유명정원은모두민간정원이다.사립식물원이면서규모가가장큰민간정원인산이정원이정원본연의모습을찾아가는형태다”라고했다.또한“민간정원은법인,단체,개인조성이가능한것으로규정되어산이정원도주식회사정원조성자로규정할수있다.국가·지방정원처럼국가가정부예산으로직접조성하는것이아닌,외국의‘공공토지임차정원’형태가지속가능한정원정책으로여겨진다”고했다. 아울러“민간정원이활성화되려면조세특례를통해여러세금을감면할수있도록법제개편이필요하다”며“민간에게저렴하게장기간임대해서민간이자본을들여정원을개발하고,지역주민과향유하는형태”를제시했다. 산림청에소속된배준규과장도주제발표에서민간정원의활성화가가장이상적인국가정원정책이라는점에공감했다.배과장은국내외정원산업시장이커지면서세계에서한국의정원산업의위치를전하고지역사회와지자체의연결에고심하는산림청의노력을설명했다.배과장은지자체특수한식물을산림청과연결해자원을복원하는사업을꺼내면서“민간이정원정책에함께해야한다.남양주시,수원시,진주시등과MOU를하고있고,최근한국토지주택공사와도협약을준비중”이라고했다. 산이정원개원기념콘퍼런스인만큼정원을직접조성한이병철대표가산이정원개원과정을사진과영상을프리젠테이션으로참석자들과공유했다.이대표는초기산이정원을둘러싼4개섬을재현한맞이정원부터노리정원,물이정원,동화정원,흐름원등12개의테마정원과시설을자세히설명하며“솔라시도는정원도시,햇빛정원도시라는비전과콘셉트로만들어지고있는새로운미래도시다”라며“해남의첫작품이태양의정원이다.50만평규모의태양광발전이밀집한해남에10분의1인5만평규모의정원을만들었다”고했다. 이대표는“저는나무를심는사람이다.태양의정원이들어서면서산업경관이생태경관으로바뀌어태양의정원이가져온열매들이부수적으로생겼다”고했다.해남에태양의정원조성후환경부는국내최대탄소중립교육기관을유치하고,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지원단지등이들어설예정이다.이대표는“내손주들이살아갈미래를생각을하니아찔하다.미래세대를위한환경을조성해보자라는생각에솔라시도를진행했고,그모델하우스가‘산이정원’이라고보면된다”라고했다. 정원예찬,“치유·공존·자연을담는그릇” 이번정원도시포럼의다양한분야포럼위원이모여정원토크를가졌다.서영애기술사사무소이수소장의사회로▲김선미동아일보기자▲김창섭가천대IT융합대학전기공학과교수▲이규인아주대건축학과교수▲이지윤숨프로젝트큐레이터가패널로참여했다. 언론인대표로나온김선미기자는‘정원도시포럼’이종합계획을갖고한팀으로활동하는부분이인상적이라며“국내정원정책이수요자보다는공급자위주인측면이있다”고했다.기업이제품출시에앞서소비자의수요예측을미리해본다는점이다.김기자는“정원도시는생태계와정원이세상을바라보는틀이돼전체적인생명체들과함께연결되는사회인데결과적으로요즘정원에는돌봄이라는키워드가많다.문화예술과접목해비인간생명체와함께연결됐으면좋겠다”고말했다. 에너지와전기,기후변화전문가인김창섭교수는에너지와탄소중립관점에서정원을설명했다.김교수는“알다시피석유나전기는사랑하기어려운물질”이라며“정원은환경기반,기술기반,문화기반솔루션을담기에가장좋은공간으로마치‘합동전진기지’같은느낌이다.이점에서솔라시도는좋은사례”라고설명했다.그는정원사들의역할을과학과연결해“정원사가기르는식물잎사귀는태양광전지판이다.그런면에서정원사는가장오래된‘에너지맥’”이라며결국탄소중립방법은정원이라는사실을확인됐다”고말했다. 이규인교수는정원도시개념에관해정의를내려보자는문제제기를시작으로“정원도시개념을인류를위기에서구할대안으로생각하고싶다”고했다.이교수는인류에게가장큰위협으로기후위기와AI를꼽았다.이교수는“AI가인간을멸망시킬것으로전망하지만,저는AI가인간을노동에서해방해줄것으로생각한다.일하지않고먹고사는시대로바뀌는시점에정원도시가큰역할을할수있다”고말했다.“기후위기나모든문제해결은생태사회로의전환밖에없다.최근자동차도로를최소화하고,보행자전거나퍼스널모빌리티자율차로바꾸고있는등기계와자동차를배제하는방향으로도시가진행되고있다”며정원도시로의방향성을설명했다.또한“솔라시도와같은도시를만드는의지와그런여론을모으고의식을높이는게필요하다”라고제안했다. 이지윤큐레이터는산이정원에개관하는박물관인가든뮤지엄을높이평가했다.이큐레이터는“박물관하면사람들은건물장소를생각하지만,사실생태공원·공원·가든·정원도시등새로운개념의질문에관한연구를할수있는시작과아카이브가만들어질기초가될수있다”며“산이정원의박물관은좋은사례이며시작”이라고했다.그는영국을예시로“영국은정원의국가로정신치료부분을고등학교부터정원과함께시작한다.정신치료가중요한만큼정원도시,생태도시와탄소중립도시에대한고민이정원박물관에서진지하게세계의석학들이모여연구주제가되기를바란다”고말했다. 정원도시포럼은정원도시의가치와비전을밝히고이에관한사회적담론을형성하기위해2019년에15명이모여결성됐다.2021년에정원도시정신과가치를담은정원도시선언문이발표됐고,이듬해기후위기와포스트팬데믹이라는새로운도전에맞서도시패러다임으로서의정원도시를살펴봤다.올해3회차로정원‘미래가되다’라는주제로산이정원에서열게됐다. 콘퍼런스시작에앞서조경진정원도시포럼위원장은개회사를통해“그동안위원들이많은답사와회의를통해우리국토가하나의정원이라는생각을확인했다.정원정책도있는자원을잘보존하고겸허한방식으로개입을해야한다고본다”며“앞으로포럼이이런생각들을공유하고확산하고자노력하겠다”고말했다. 또한,채정섭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대표는환영사를통해“2018년부터솔라시도도시조성을6년째하고있지만,속도가더딘상황이다.산이정원개원을시작으로사업속도를높이겠다”고밝혔다. 한편,이날먼거리에도40여명이참석해정원도시포럼에높은관심을내비쳤다.이번콘퍼런스는유튜브채널‘정원도시포럼’에서다시보기가가능하다.
[조경논단] 시인과 전사, 그리고 광대
벚꽃의짧은계절이지고봄꽃들이여기저기터져나오는미풍의계절이다.이계절에국립현대미술관에서정영선선생님의전시가열리고있다.그리고극장에는정영선선생님의영화가상영중이다.지난주에는전시를보았다.작지도,크지도않은전시실에한국조경의거의모든것이압축적으로담겨있어정영선이라는거인에압도되었다가,아직절정에이르지않은검박한정원에서는정영선이주는소소하며편안한위안을받았다.이번주에는영화를보았다.영화는정영선이라는사람과그가만든공간에관한이야기였는데,정영선이작은중정에숲을닮은정원같았고,포항의바위와바다와어우러진해국의경관이정영선같았다.벚꽃이내리는봄의후원과눈이내리는겨울이후원의모습이교차하는장면은황홀했다가,풀과꽃에게말을걸며쪼그려정원을어루만지는선생님의모습은모두의마음에있는할머니의모습처럼그리웠다. ‘땅에쓰는시’라는영화의제목은정영선선생님이직접정하셨다고한다.“하늘보다더높은하늘이,바다보다더깊은바다가,내앞에고개를숙였다.”영화에서선생님은본인쓴백합이라는시를읊으신다.감독님이전하기를선생님은조경은시처럼아름다워야하고,그아름다움은직접적으로표현되는것이아니라고생각하셨다고한다.국립현대미술관전시를준비하는사전회의에서선생님을잘아시는건축가는선생님의조경을다음과같이평가하셨다.선생님의조경은자기의목소리를내세우지않으며모든것을어울리게만드는배경을제공하는자연의겸손함닮았다.나는그말이선생님의조경에대한가장모범적인평가이면서도가장큰오해라고생각했다.큰목소리를내지않는다고하여,울림의공명이작은것이아니다.첫눈에시선을사로잡지않아도지워지지않는선명한기억의각인을세길수있다.시인이약하고여리다는것은편견이다. 선생님은시인이면서전사였다.아직조경의영역이제대로자리잡지못했던개발시기의건설판에서첫조경기술사로서선생님은전사였을수밖에없었다.정치가들과행정가들을설득해여의도샛강을자연으로돌리기위한과정은투쟁의연속이었을것이다.선생님의겸손은양보와낮춤의결과가아니다.오히려투쟁의결과이다.혼자우뚝서고싶고가장화려하고싶은의지들과맞서땅에시로쓴조경을하기위해선생님은강렬히온힘을다해싸워왔고지금도싸우고있다는사실을기억해야한다.시인이선생님의지향이었다면전사는시대가선생님에게던진소명의결과였을것이다.영화가끝나고나는감독님께영화를찍으면서우리조경에대해어떤생각이들었냐고,혹시아쉬운점이없냐고물어보았다.감독님은조경이늘내세우는겸양의미덕을추켜세우시면서재치있는답을해주셨다. “글쎄요.아쉬웠다기보다의외였던것이있기는했어요.영화를만드는중간에정영선선생님께서젤리코어워드를받으셨잖아요.하늘이이영화를돕는구나싶었어요.이상이조경가에게주는최고의상,노벨상이나건축의프리츠커상과같은영예잖아요.그래서저는조경계가나서서많은홍보도하고,신문이나뉴스에도크게나올줄알았어요.그런데너무조용한거예요.이번국립현대미술관전시도사실엄청난일이잖아요.세계적인상도받고,영화도나오는데이렇게조경하시는분들이본인들의이야기에조용한것이의외이기는해요.아마조경하시는분들자연을닮아겸손하시고말을아끼시는경향이있나봐요.” 50년이걸렸다.조경가가국현에서전시를하고,조경가에대한영화가나오기까지50년이걸렸다.한국조경가가세계최고의조경가에게주는상을받기까지50년이걸렸다.그런데한국조경은별말이없다.할말이없는것인지,겸손한것인지,다른일에바빠서관심이없는것인지조용하다.조경관련매체에서도,조경학계에서도정영선과서안의작품을재조명하는기획은보지못했다.건축과예술분야의사람들이오히려나에게묻는다.정영선선생님의전시와영화를보았냐고.그런좋은전시와영화가나왔는데도왜너희는아무런말이없냐고.전시회에걸린작품의리스트를보았다.나는앞으로그정도위상과규모의프로젝트를몇개나할수있겠느냐고자문해보았다.아마도그어떤조경가도그정도의일은할수없을것이다.지금조경가들의능력이부족하다는이야기는아니다.이제는과거정영선과서안에주어진그런큰프로젝트의기회는다시오지않을것이다.정영선선생님을통해마련된이축복과같은기회와시기를그냥지나쳐버리면앞으로한국조경에대한이런뜨겁고애정어린관심받게될계기는영영오지않을지도모른다는두려움과조바심이생겼다. 이전시와영화는그끝에서우리조경의다음이야기는무엇인지우리에게되묻는다.정영선의조경이아무리아름답고감동적이어도그것은정영선의길이지우리조경에대한정답지도아니고종착지도아니다.우리는정영선과다른자신의시를써야하고,정영선이마주한현실과는다른현실에맞서투쟁해야한다.정영선의조경을자양분으로삼아각기다른꽃을피우고열매를맺으려할것이며그렇게될것이다.그리고이제나는그이야기를우리가줄기차게떠들어야한다고생각한다.겸양의미덕은잠시치워두고아무리작은의미라도부풀려우리의조경이야기를여기저기퍼트려야한다고생각한다.광대가되어야한다.광대,딴따라,연예인,인플루언서가되어스스로풍악을울리며조경을팔아야한다.누군가전시를기획해주고초청해주기를기다리기보다이제우리가스스로의전시를만들고,영화를만들어줬으면소망하기보다사람들이볼만한영상콘텐츠라도만들고민을해야한다. 전시의한영상에는정영선선생님이국립현대미술관의중정에정원을만들기위해미술관을설계한건축가에게허락을얻고조언을구하는장면이나온다.광화문광장을같이설계했던소장과함께한저녁자리에서지인이우리에게물어보았다.광화문광장에팬지꽃밭이조성되었는데원설계자인우리가허락한일이냐고.우리는둘다금시초문이었고조경에서는그런것이관행이라고얼버무렸다.최근골프장을설계한조경설계사들이무단으로골프장설계에대한저작권침해에대한소송을진행하였는데,법원은골프코스설계는창작성을인정할수없으므로저작권보호대상이아니라는판결을하면서패소하였다.건축가의권리와너무나도상반되는조경의문제를보며나는담당공무원에게화를내고또다른소송을준비하는것보다지금열리고있는전시와상영중인영화가많은이들에게보여지고알려지는것이더필요한일인지도모른다.앞으로조경에이런전시와영화가몇번더나와조경에대한사람들과사회의이해가높아졌을때,조경은스스로권리를인정받고자애를쓰지않아도될까?범죄도시4가개봉4일만에300만명을돌파했다는뉴스를보면서나는다시마음이초조해졌다.‘땅에쓰는시’를본관객수는6,500명인데,이아름다운조경에관한이야기가조금만더오래상영관에걸려,조금만더많은이들이이야기를공유했으면좋겠다는마음이었다. 김영민/서울시립대학교교수
서울 유일 마을정원 축제, “정원이 들려주는 소리 들으세요”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색별로다양하게심으면돼요.” 언덕을오르는수레에는팬지,마가렛,임파첸스,가자니아등봄을담았다.정원축제까지남은기간은보름남짓.마을곳곳담장을따라긴방부목으로만든화분은정원축제의동선을가리킨다.만만하게볼길이아니다.경사도가어림잡아30도다. 마을주민들은골목화단을정리하는데익숙한듯겨우내살아남은여러해살이초화류사이사이로꽃을심는다.그렇게두어시간여마을을돌면서심고,물주기를반복하니골목이금세봄색으로변했다.단지는10년전서울시가주관하는‘꽃피는서울상’콘테스트에서최우수상을받은곳이기도하다. 정릉교수단지는매년단이틀만정원축제를연다.준비에비하면축제기간이짧다.하지만개인주택주인이직접가꾼정원10여곳을볼수있는유일한날이다.정원공개를위해대문을48시간열어놓는건요즘시대,그것도서울에서큰모험이다.올해13번째다. 교수단지에서정릉까지는걸어서5분이채안걸린다.정릉은조선왕릉중한곳.태조가총애하던신덕왕후가숨지자태종은4대문내에있던무덤을정동으로강제이장시켜동네이름이‘정릉’이됐다. 1960년대에는서울대교수들이다수거주했다.교수들이살던근현대식단독주택들로모여살았다.현재교수들은거의살지않지만,‘교수’라는이름이동네명으로남았다. 차가운회색빛보다계절감느끼는정원마을의시작 몇해전유명예능방송프로그램‘유퀴즈’에서도촬영해입소문이나기도했다.하지만그전부터이곳은개발과마을보존이라는문제로언론에주목을받았다. 재건축바람이불던2000년대건설업자들이강남의주거지개발이비싸다보니성북구로눈을돌렸다.그중정릉주변교수단지도포함됐다.재건축동의를구하기위해조합이설립되면서갈등을빚었다.경관이주요한정릉주변을개발한다는것은상식상맞지않았다. 김경숙정릉마실대표와마을주민들은동네골목마다꽃을심고봄에정원축제를열었다.축제기간몇몇집이정원을공개했다.개인정원개방은서울에서최초였다.김대표는“이렇게예쁜곳을재건축하지않아도충분히아름다운동네라는사실을알리기위해서정원을가꾸고축제를열었다”며당시를회상했다.정원가꾸기가주가되는비영리단체‘정릉마실’은이후에만들어졌다. 2009년정릉이유네스코에등록된후2012년과2021년에정릉동6구역은정비구역지정이공식해제됐다.순천시를비롯해전국지자체에서소문을듣고마을을찾았다.주민자치로마을정원이유지되는곳을선진사례로삼기위해서다.첼시플라워쇼황지해가든디자이너도정릉단지를방문해식물선정과정원가꾸기에도움을주며응원을보탰다. 한결같이생동감넘치는정릉교수단지‘가든페스티벌’ 여전히정릉마을주민들에게정원축제는또하나의명절과같다.코로나가심했던2020년을제외하곤행사를거른적이없다. 그렇다고축제준비에미온적인주민에게참여를강요하지않는다.김대표는“참여못하는그마음그대로받아들인다.동네정원가꾸기도자율적으로신청받지만,자기집앞담장에화분을설치하는것도스스로관리할수있는의지가있어야한다”고했다.변화도많다.교수단지주변연립빌라에사는사람들도축제에방문해정원삶을동경한다는이야기를전해듣기도했다. 13번째정원축제에공개될정원은하나같이개성넘친다.고급스럽게휜30년수령의사철나무가터줏대감인‘쌈지정원’,다양한크기의자연석과야생화로정원을꾸민‘돌멩이들의수다’,자연주의식재가일품인‘도도화’,금낭화로계단한구석을근사하게조성한‘행복한뜰’등올해16곳이정원을개방한다.전문적인식재설계가아닌식물을다년간키워본‘경험설계’가비법이다. 올해도정원을개방하는이미정씨는“다른멋진정원사진을보면누가만들어준느낌인반면에이곳은아마추어가가꾼듯한순수함이있다”며“해마다봐도질리지않는그런느낌의정원”이라고했다.마을주민의노력으로소소하게시작했던때와비교하면현재방문객수는가늠할수없을정도로늘었다.축제‘시그니처’라불리는꽃비빔밥이만드는족족동이날정도다. 이번축제는오전11시에정원을가꿔보는정원가드닝과오후2시부터정원해설사와함께거니는마을투어가진행된다.오후4시부터는인형극과공연이있을예정이다. 또,매년축제를지원해온성북구사회적경제센터는올해도성북구사회적기업들과마을축제를연결한다.먹다남은굴껍질로비누를만드는블루랩스,생활패션용품을만드는결혼이주여성들의알록달록협동조합,시니어를대상으로프로그램을운영하는더이음문화예술교육협동조합등이이번행사에참여한다.이들은각정원에서코끼리똥수첩만들기,꽃비단부채만들기등체험활동과플리마켓을연다. 특히,올해는마을어린이집돌봄교실엄마들과어린이들이직접정원에서방문객들을반길예정이다.“축제를준비하는마을주민들나이가평균70세다.젊은엄마들과아이들이함께참여하는축제가벌써기대된다.” 정릉교수단지정원축제는‘정원이들려주는소리’를주제로오는10일부터11일까지정릉동북악산로5길정릉교수단지에서개최한다.시간은오전11시부터오후5시까지다.
공원 BF 인증제도, 인식전환 필요… “모두를 위한 설계해야”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모두를위한설계를하기위해서는공원BF인증제도인식을제고할필요가있다는의견이나왔다. 한국조경협회와한국건설기술인협회조경기술인회는지난달29일한국과학기술회관중회의실5에서‘공원BF인증제도에대한이해와대응방안’세미나를개최했다.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BarrierFree)’제도는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뿐만아니라일시적장애인등이개별시설물·지역을접근·이용·이동함에있어불편을느끼지않도록계획·설계·시공·관리를평가하는제도다. 이날행사는1부주제발표,2부토론회순으로진행됐다. 안세헌한국조경협회회장은인사말을통해“조경협회에서는조경인들과다양한주제를통해앞으로나아갈방향을논의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앞으로진행될세미나에도많은관심부탁드린다”고말했다. 김형선한국건설기술인협회조경기술인회장은“100만명이넘는건설기술인전체회원수중에서조경기술인은약5만5000명정도된다.앞으로도세미나외행사등다양한협업을통해힘을합쳐나갔으면좋겠다”고말했다. 세미나는▲이기영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부사장(BarrierFreeDesign및BF인증저자)이‘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제해설과장애인교통약자의행동특성에대해’▲김연금조경작업소울대표가‘통합놀이터조성사례와기본가이드라인’▲김성은네드지사장이‘공원BF인증사례와문제점,개선방안제시’를주제로각각발표했다. 발표가끝난후토론에는김기천그룹한어소시에이트소장,서은실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부사장,김인순한국장애인개발원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부장이패널로참여했다. 이기영부사장은“BF설계를할때는장애인위주의개념이아닌,안전성,접근성,편리성,쾌적성,비차별성을중심으로디자인해야한다.2023년말기준우리나라인구중5%가장애인이고,장애인의54%가노인이다.출산율도점점떨어지고있는이시점에서는나를위한설계를해야한다.BF설계시장애인에국한된디자인이아닌,유니버설디자인과인크루시브디자인등모든개념이통합된디자인을추진해야한다”는의견을밝혔다. 더불어“‘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에관한규칙’등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관련법령들을잘살펴봐야한다”고강조했다. 김연금대표는외국국내·외통합놀이터사례를설명하며“전세계적으로통합놀이터와관련된다양한사례들을통해디자인가이드가만들어지고있다.유니버설디자인과BF디자인의개념은공공성과사회적책임이라는관점에서차이가있으나,사회적약자가존엄과평등을실현할수있도록물리적,심리적장벽을제거한다는점은공통적이다”고말했다. 이어“통합놀이터는‘접근성’과‘놀이성’을어떻게균형있게맞출것인가에대해많은고민이필요한것같다.영역별로장애유형과장애정도가다른데,이들이갖고있는활동특성을어떻게고려해시설을이용하게할것인가를다같이고민해야한다”고강조했다. 김성은지사장은BF인증의개요부터관계법령,공원및공원내건축물적용사례에대해설명했다. 발표가끝난후토론에서김인순부장은“보편적으로BF인증은장애인을위한제도,유니버설디자인은모두를위한제도라고생각하고있는데,그인식부터바꿔야한다.내가노인이됐을때공원에서어떤편안함느끼고,어떤불편함을느낄수있는지생각만해도답은나온다고생각한다.장애인에초점을두는것이아닌,공원이용자모두를위한설계를해야한다.공원BF인증에많은관심과적극적인반영이절실히필요한시점이다”고말했다. 김기천소장은“‘BF인증과정’은서류를제출하고의견을받아서보완하고다시제출하는과정의반복으로이뤄진다.조경설계심의를마쳤음에도불구하고BF인증심의에서심의위원이바뀌면도면전체를바꿔야한다.현재대기기간만3개월이필요하고,이후심의까지모두마치는기간이길게소요된다”는어려움을토로했다. 김인순부장은심사과정과관련해“2021년공원BF인증이의무화되면서설계회사도심의위원들도이해가부족한상황인것같다.위원들도심화교육을통해공원BF인증지표교육을받고있지만,전체적인교육이아니기때문에혼란을일으킬수있을것같다”고말했다. 김성은지사장은“현재인증기관업무과중으로서류제출후약3개월후에심사가진행되며,심사결과에대한조치계획제출및심의요청후에또약1개월대기후에인증심의가이뤄진다.BF인증으로어려움을겪고있는설계사무소가많아지면서인증기관의인력보충및효율화를위한대책이필요한것같다”고지적했다.
봄맞이 나무 관리 교육 위해 시흥에 모인 ‘조수다’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조경계커뮤니티모임인오픈카카오톡방‘조경을좋아하는사람들의수다방(이하조수다)’이올해첫나무전지와병충해방제관한교육을실시했다. 지난28일조수다는경기도시흥시거모동238번지에있는송동근조수다방장이운영하는대영수림원에서‘조수다수도권조경정기전지교육’을진행했다고밝혔다. 매년정기적으로진행되는조수다조경정기교육은2022년에시작해올해3년차다.매년조경전지와병충해방제교육을받고싶은조경인들을대상으로무료로실시하고있다. 행사는교육을받으러온조경인들70여명이참석한가운데오전11시에송동근방장의인사말에이어참석자들이자기소개하는시간을갖고시작했다. 교육은수목방제와전지교육으로이뤄졌다.황승현미성조경자재부장이수목방제법중하나인수간주사교육을,안수환등너머조경대표,이승영나무숨결대표가직접시범을보이며수목전정교육을진행했다. 이날문현수대림원예종묘전무,박재성히말라야대표,유성훈유한조경개발대표,안정록루트릭스대표등이참석해조경실무자들에게도움을줬다.문현수전무는참석한회원들에게사비를털어음료를제공하는등교육행사에힘을보탰다. 교육은오후2시에식사를끝으로마쳤다.이날참석한한조수다회원은“조경관련다양한분야에서활동하는조경인들과소통하는기회를얻고,좋은교육을통해많은것을알게되어유익한시간이었다”라고소감을밝혔다. 조수다는이번교육을시작으로올해▲5월26일나린조경에서‘조경사업준비및취업생을위한충청권교육’▲7월5~7일2박일정으로문경캠핑장모임▲9월28일대규모서울정모▲11월2일일송농원에서호남정모▲12월7일연탄봉사등이예정돼있다. 한편‘조경을좋아하는사람들’회원수는현재약1500여명으로조경계오픈카톡방으로는가장많은회원수를보유하고있다.수다방’에참여하고싶은사람은카카오톡오픈톡방에서‘조경’검색어를통해찾을수있다.현재회원수초과로참여코드를부여받아가입할수있다.
1세대 조경가 정영선, ‘유퀴즈’ 출연… “국토 자체가 하나의 정원입니다”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1세대조경가정영선이tvN‘유퀴즈온더블럭’(이하유퀴즈)에출연한다. 오는5월1일오후8시45분에방송되는‘유퀴즈’는▲여행유튜버빠니보틀▲한국최초여성조경가정영선▲배우박성훈이출연한다. 정영선조경가는한국1호국토개발기술사(조경)획득한최초의여성기술사다.다채로운작업을통해대통령국민포장,세계조경가협회(IFLA)상,미국조경가협회상(ASLA),한국건축가협회상,김수근문화상등유수의상들을수상했으며,지난해에는한국인최초로세계조경가협회(IFLA)가수여하는조경계의최고영예상인‘제프리젤리코상’수상자로선정되며세계적으로인정을받았다. 한국에서조경에대한사회적위상이낮았던시기에,아시아선수아파트단지(1984),예술의전당(1984),올림픽선수아파트단지(1985),희원정원,호암미술관(1997-1998),인천국제공항(1999),서울올림픽미술관과조각공원(1999),청계천복원(2002-2005),광화문광장(2007),경춘선재생공원(2014),서울식물원(2014)과같은주요프로젝트를통해조경의중요성과가치를알리는역할을했다. 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정영선조경가가유재석,조세호를만나어떤이야기를나눌지기대가되고있다. 한편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땅에쓰는시’가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등에서상영중이며,국립현대미술관서울에서는오는9월22일까지‘정영선:이땅에숨쉬는모든것을위하여’를주제로조경활동을총망라하는전시를개최하고있다.
안산 정원 단지에 ‘경기가든역’ 만들어질까?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안산시가최근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과관련해‘경기가든역’신설필요성을강조했다. 지난26일김동규경기도의원(보건복지위원회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안산1)이제374회임시회제2차본회의‘5분발언’을통해‘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의성공을위한신안산선안산·화성연장안그랑시티자이역반영과경기가든역지선신설이필요하다고주장했다. 안산시는신안산선개통에앞서이용수요가높은사동지역으로노선연장을위해타당성조사용역을진행하고중앙정부에건의해왔다.올해경기도가안산선대부도연장해한양대역에서화성을거쳐대부도연결을포함한경기서부도로·철도망구축계획을발표해안산시로서는역신설에희망을갖게됐다. 이날김동규의원은“안산·시화쓰레기매립지는안산,수원,안양,광명,과천,시흥,의왕,군포8개시의생활쓰레기를처리하면서안정화기간을포함해약30년동안지역주민들에게고통을선사한곳”이라며“올해해당매립지에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이시작되며안산시에경기도정원문화와정원산업의선도적역할을수행할경기정원이조성될예정이다”라고말했다. 그는“만약계획대로준공된다면안산시에는연200만명의관광객이찾는관광명소이자,안산갈대습지공원과비봉습지공원을합친다면순천만국가정원을넘어서는약38만평의국내최대규모의정원단지가조성될것”이라고했다. 이어서“경기정원사업조성지의교통수단부족이문제가될가능성이클것을예상돼본의원을비롯한안산시에서는경기정원의성공적인추진을위해가칭‘그랑시티자이역’과‘경기가든역’의신설이필요하다”고주장했다. 그는“지난2월발표된‘경기서부도로·철도망구축계획’에는경기도역점사업중하나인경기정원에대한고려가없었고,경기정원을지나지않고바로화성으로연장되는듯한안이제시됐다”며,이부분을관계공무원에게질의하자“국토교통부‘제5차국가철도망신규사업건의가이드라인’에따라기초지자체의의견수렴절차및이견이있는노선에대한중재안마련을통한단일노선건의를진행하겠다는답변을들었다”고했다. 아울러,김의원은해당지선을경기정원초입에서끝나는것이아닌현재공사가진행중인인천발KTX노선및수인분당선과연결을제안했다.그는“경기정원초입에서인천발KTX노선과수인분당선철로는직선으로약600미터정도의거리만있을뿐이다.만약제안하는지선이철도계획에반영된다면안산,화성을비롯한경기서남부도민들께서KTX이용편의와전국타시도의시민들께서경기정원에더쉽게접근해경기정원의성공적인운영에큰보탬이될것이다”라고했다. 한편‘(가칭)세계정원경기가든’은옛안산시화쓰레기매립장부지위에약45만㎡규모로2026년에조성될예정이다.특히,인근에40만㎡면적의안산갈대습지공원,47㎡규모의화성비봉습지공원이인접해있어이들을연계해개발한다면111만㎡규모의순천만정원을넘어서는132만㎡의국내최대규모정원·에코벨트가탄생될것으로전망하고있다.
창작 활동에 나쁜 선례 우려…“조경가 창작·저작권 위해 적극 행동”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한국조경가협회는24일골프장창작성부적판결(본지관련기사3월11일자‘골프코스설계,창작성없다?!’)에대한입장을밝혔다. 안계동한국조경가협회회장은입장문을통해“이번판결에서‘지형,식생,조경시설등자연물의조합인골프장에는창작성이없다’는판결은골프코스설계와조경에대한무지에서나온판결”이라고강한유감을표명했다. 안회장은“조경분야가설계및시공에관여하여만들어진대표적시설”이라며“골프경기를위한코스와지형변화,연못배치,식재등아름다운경관을조성하는창조성적산물이며골프장마다개성이다른경관이연출됐다”고했다. 또한,“조경은인간과환경의조화를통한환경의질향상을목적으로환경에대한생태적·기술적이해와심미적·정서적접근을통해인간에게휴식과안정,아름다움을제공하는전문분야다”라면서“공원이나골프장은지형,식생,조경시설등을단순히기능적나열이아닌전문조경가의구체적의도와목적에따라새롭게배치,조합,배열된창조적공간”이라고강조했다. 안회장은“2심법원판결은조경의순기능과역할에대한이해부족으로기인한것”이라며“조경을넘어건설,문화등창작활동이필요한분야전반에매우부정적이고나쁜선례를남길수있다.이는미래사회가치인‘환경’과‘문화’라는시대적사명과도배치되며세계적으로주목을받는K컬쳐발전에도걸림돌이될수있다”고우려를나타냈다. 마지막으로“우리협회는이순간에도창작활동을위해시간과노력을기울이는조경가의창작활동과저작권이보호받아한국조경문화발전과인간삶의질향상에이바지할수있도록적극행동할것”이라고밝혔다. 이번사건은스크린골프업체인골프존에서국내골프장을그대로재현한시뮬레이션영상을제작해사용하면서저작권비용을지불하지않은데서시작됐다. 지난2월1일서울고법민사5부는골프코스설계업체인오렌지엔지니어링등이골프존을상대로낸저작권침해금지와손해배상청구소송2심에서원고일부승소판결한1심을파기하고패소판결했다. 골프장의창작성부정판결에대한한국조경가협회입장문 2024.2.1.서울고등법원은원고골프코스설계사와피고스크린골프업체간의저작권침해손해배상항소심판결에서1심판결을완전히뒤집고,골프장이저작물의대상이긴하나창작성이없는기능적저작물에해당하므로저작권침해가해당하지않는다고판결하였다. 특히이번판결중‘지형,식생,조경시설등자연물의조합인골프장에는창작성이없다’라는내용은골프코스설계뿐만아니라조경에대한무지에서나온판결로서한국조경가협회는이에대해매우엄중한유감의뜻을밝힌다. 골프장은조경분야가설계및시공에관여하여만들어진대표적시설로서,골프경기의전략적목적을위한다양한코스형태와지형변화,연못배치뿐만아니라식재를통한아름답고인상적인경관조성을위해심혈을기울여만들어진창조적산물이다. 그리하여골프장마다각각다른개성있고매력적인경관이연출되어있다. 조경은인간과환경의조화를통한환경의질향상을목적으로하며궁극적으로삶의질향상을도모한다.환경에대한생태적·기술적이해뿐만아니라심미적·정서적접근을통하여인간에게휴식과안정,아름다움을제공하는전문분야이다. 그러므로조경이땅위에만드는공간인공원이나골프장은지형,식생,조경시설등을단순히기능적으로나열하는것이아니라전문조경가의구체적의도와목적에따라새롭게배치,조합,배열된창조적공간이다. 2심법원의이번판결은이러한조경의순기능과역할에대한이해가부족한데기인한것으로서,조경뿐만아니라나아가건설,문화등창작활동이필요한분야전반에매우부정적이고나쁜선례를남길수있다. 이는미래사회의가장중요한가치인‘환경’과‘문화’라는시대적사명과도배치되며세계적으로주목을받는K컬쳐발전에도걸림돌이될수있다. 우리협회는지금,이순간에도창작활동을위해시간과노력을기울이고있는조경가의창작활동과저작권이보호받아한국조경문화발전과인간삶의질향상에이바지할수있도록적극행동할것이다.끝. 한국조경가협회회장안계동
정영선 다큐멘터리 영화 ‘땅에 쓰는 시’ 오늘 개봉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국내1세대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땅에쓰는시’가오늘개봉한다. ‘땅에쓰는시’는선유도공원,여의도샛강생태공원,경춘선숲길,서울아산병원등모두를위한정원을만들어온정영선조경가의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다. 정영선조경가는한국1호국토개발기술사(조경)획득한최초의여성기술사다.다채로운작업을통해대통령국민포장,세계조경가협회(IFLA)상,미국조경가협회상(ASLA),한국건축가협회상,김수근문화상등유수의상들을수상했으며,지난해에는한국인최초로세계조경가협회(IFLA)가수여하는조경계의최고영예상인‘제프리젤리코상’수상자로선정되며세계적으로인정을받았다. 영화는모든생명이싹트는봄과생동하는녹음으로가득찬여름,무르익은색채너머휴식을기다리는가을그리고모든아름다움을준비하는겨울까지‘사계절’을중심테마로구성해다채롭고도풍성한볼거리를전한다.5년간야생화가만개한정영선조경가의양평집앞마당부터남녀노소모두가즐기는대규모공원과신비로움을간직한개인정원등다양한장소를누비며각계절이지닌고유한경치를온전히담아냈다. 언제나사람과자연의관점에서치열하게고민해온‘땅의연결사’정영선조경가의궤적을따라가며,관객들에게일상의위로를건네는공원의아름다움은물론,‘조화’를잃지않는삶의태도로써공원의의미에대해생각하게만든다. 특히미나리아재비,개쑥부쟁이등우리국토의매력을즐길수있는각양각색의야생화와제주를비롯한전국의금수강산을포착하며,한국적경관의현대적완성을빚어낸정영선조경가가그려온자연스럽고도감각적인풍경들을담아냈다.땅이간직한고유의맥락을읽어시를그리듯공간에생명력을불어넣는1세대조경가의진심어린철학을전하며새로운배움으로관객들에게다가간다. 이영화는국내작품으로는최초로제20회EBS국제다큐영화제개막작으로선정됐으며,남도영화제시즌1순천개막작선정및제49회서울독립영화제장편쇼케이스부문에공식초청되는등작품성을인정받았다. 한편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은지난5일부터정조경가의작품세계를돌아보는전시‘정영선:땅에숨쉬는모든것을위하여’(9월22일까지)를열고있다.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에서 ‘정원도시국’으로 ‘졸속’ 추진…4일간 입법예고
[환경과조경박광윤기자]서울시가푸른도시여가국을정원도시국으로명칭변경을추진하면서관련분야의충분한의견을수렴하지않아서졸속추진이라는비판이제기됐다. 서울시는이달5일시정추진력강화를위한조직개편을위해‘서울특별시행정기구설치조례일부개정조례안’을시의회에상정했다. 개정안의주요내용은▲기구개편및소관사무조정▲주요실국의통솔범위조정▲자율신설기구일반기구화▲한시기구정비및존속기한연장▲기구명칭변경등이다. 이에따르면푸른도시여가국을정원도시국으로변경하고,올해7월까지한시적으로운영할예정이었던한강사업추진단을3년더연장해존속시키는내용이포함됐다. 이중‘푸른도시여가국(이하푸도국)’을‘정원도시국’으로변경하는것에대해기존업무를포괄하는이름으로적합하지않다는지적이일고있다. 현재푸도국은▲공원정책▲공원조성▲조경▲정원▲자연환경▲생태계▲산림▲동물보호▲공원여가▲산사태사방사업등을담당하고있다. 게다가이번개정안은지난달29일부터이달2일까지단4일동안의견을수렴해부랴부랴추진하는모양새여서졸속추진이라는비판까지받고있다. 보통입법예고는40일,지자체법규는20일로정하고있으며,서울시의경우에도“입법예고기간을20일미만으로하려는경우에는법무담당관과미리협의하여야한다”고정해놓았다. 하지만이번개정안은입법예고가충분히되지못해시민들은물론관련학계등전문가들도알지도못한사이에‘정원도시국’으로바뀔수있는상황이다. 개칭부정적,“기후변화등다양한패러다임고려”“조직위상축소”등 안승홍한경대학교조경학과교수는“서울시가정원도시기조에맞춰서조직명칭을변경하는상황”으로생각되지만,“정원도시국이라는이름은기존푸른도시여가국에비해똑같은기능을하더라도조직이협소해지는느낌이든다”고말했다. 그는“정원에서발달된개념이공원이다.공원은정원에비해공간적으로크고,이용자측면에서도공공공간으로훨씬범위가넓은데,산림청에서정원법이통과되면서혼란한시기를거치고있다”며특히정원도시국이라는이름아래공원관련부서가위치한다는것은“배보다배꼽이더큰상황”이라고말했다. 하지만경기도에정원산업과가신설되는등지자체조직에정원이라는이름이들어가는것은최근추세라고진단했다.또한정부부처에서공원업무를담당하는국토교통부녹색도시과는법·정책만관리하고있지만,산림청은국가정원이나지방정원조성등을통해직접사업에관여하고지자체에매칭예산을주고있어서앞으로지자체부서이름에‘정원’을사용하는비율이더늘어날것이라고전망했다. 실제2022년말경기도에서도‘산림과’와‘공원녹지과’를각각‘산림녹지과’와‘정원산업과’로명칭을변경한바있다.하지만당시‘정원산업과’신설은산림공원정원을포괄하는상위부서의명칭이아니라,부서간업무조정성격이강했다. 오순환조경지원센터본부장은“푸른도시여가국이더좋은것같다”며“기후변화,리질리언스등현재여러가지패러다임이존재하는데,정원으로만접근하는게맞는건지논의가필요하다”고말했다. 또한오본부장은“기존공원녹지관리사업소를공원여가센터로친근감있게바꾼건좋은데,일반사람들에게‘정원도시’가더친근한가?‘푸른도시’는안그런가?”라며정원도시국이더친근감이있는이름은확실하냐고반문했다. 무엇보다정원은가장작은단위의조경이므로,생태공원산림자연등을총괄하는부서이름으로는축소되는느낌이든다며“푸른도시여가국에서많은정원을조성하면되는데,여러불편과행정비용까지감수하면서이름까지바꿀타당성이있는지모르겠다”고말했다. 특히4일밖에입법예고가안된것은“왜4일만했는지이해할수없다”며“좀더논의의장을마련할필요가있다”고말했다. 개칭긍정적,“공원녹지포함한큰개념”“구체화”등 ‘푸른도시국’보다‘정원도시국’이더낫다는의견도있다. 안명준조경시공연구소느티대표는오히려“기존푸른도시국은지향점이상당히모호했다”며“정원도시국은정원이라는구체적인대상이지칭되니까개인적으로훨씬낫다고생각한다”고말했다. 그는이번논란에대해“정원을어디까지로보느냐에따라달라질것”이라며,‘정원도시국’을가드닝개념의좁은의미의정원으로사용한것이라면논란이있겠지만,공원녹지를포함한큰개념의정원으로보는것이기때문에“서울시가정원도시정책을펼치고있는상황에서정원도시국으로가도문제가없을것”이라고말했다.다만“아직까지정원이도시적인차원에서이해되지않으니까조금이른감이있다”며일반시민들이가진정원에대한편견을극복하기위해“홍보가필요하다”고말했다. ‘졸속추진’논란에대해서는,이번개정안이입법예고를짧게거쳐도될사안은아니라는입장을보였다.“국단위명칭이바뀌는이유가제대로설명이안되고있는것같다”며,국의명칭이변경되면서하위부서에대한세심한계획안이공고되지않은것은시정철학이반영되지않은채“일단명칭부터질러놓고보자”는것에불과하다며,숙의할기간이필요하다고말했다. 한갑수한국전통조경학회회장은“‘푸른도시’가워낙넓은개념인데반해‘정원도시’가좀더구체적이라는점에서좋은것같다”고말했다.하지만“이름을정원으로하면업무범위가축소될것이라는염려도있을것같다”며조경내에서도다양한분야가있어서논란의여지가있을수있으므로“관련분야의견을참조했다면더좋겠다”며졸속추진논란에“아쉬운점”이라고평가했다. 한편서울시는이외에도“경제정책실,복지정책실,도시교통실”을“경제실,복지실,교통실”로,“시민건강국”을“시민건강국,민생노동국,디지털도시국”으로,“재난안전관리실,주택정책실”을“민생사법경찰국,재난안전실,주택실”로변경한다는방침을개정안에담았다.
  • 환경과조경 2024년 5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정복
  • 공원주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