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전통정원을 대중들에게 소개하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재해석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산림청이 주최하고 국립수목원, 순천시가 주관하는 2023 국제정원심포지엄이 지난 1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순천만 생태문화교육원 2층 공연장에서 ‘정원에서 전통과 역사를 이야기하다’는 주제로 개최됐다.
심포지엄은 최영태 국립수목원장 인사말, 노관규 순천시장 축사, 최덕림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 총감독 박람회 추진 배경 설명, 주제발표, 질의응답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주제발표는 ▲클레어 매터슨(Clare Matterson) 영국 왕립원예협회 회장 ▲데니스 오라(Denise Ora) 호주 왕립식물원 및 도메인 트러스트 최고경영자 ▲스테판 게일(Stephan Gale) 홍콩 카도리에 농식물원 식물보전부장 ▲이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교수 ▲임연진 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임업연구관이 ‘각 국가의 정원이 역사와 전통정원 문화를 중심으로’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클레어 매터슨 회장은 위슬리 정원, 하이드홀 정원, 로즈무어 정원, 할로우 정원 등 RHS 소속의 5개 정원을 소개하며, 정원의 동향을 살펴보고 오늘날 영국의 정원의 변화하는 관심을 반영한 RHS 최신 전략을 공유했다.
클레어 회장은 “스스로 ‘영국정원은 존재할까?’에 대해 질문한다. 1804년 왕립원예협회가 설립된 후 영국정원도 사회, 경제, 문화 규범을 반영해 수 세기에 걸쳐 변화해 왔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과 사람과의 관계”라고 말했다.
더불어 “지구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정원을 자연에 맡기는 것이 아닌 옥상, 텃밭, 거실 등에서 열심히 식물을 가꾸고 다뤄야 한다”며 “협회부터 단단한 조직이 돼 미래를 만들어, 지속가능한 정원을 조성해야 한다. 정원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고,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지속가능성, 협동심, 포용심, 실험적인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니스 오라 원장은 시드니왕립식물원의 역사와 전통, 위기종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는지, 식물원이 어떻게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변화해 왔는지, 환경적으로 재정적으로 대중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발전시켰는지 설명했다.
데니스 원장은 “식물원은 문화 간 소통을 촉진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고, 사람과 자연 사이의 연결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원주민 문화의 중요성과 다문화 사회의 다양성에 새롭게 브랜드화된 시드니왕립식물원에서는 식물과학, 지속가능성, 기후변화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흥미로운 계획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 교수는 한국의 자연환경 개관, 한국인의 자연관, 한국전통정원의 특징, 식물의 의미, 정통정원 식물의 경항에 대해 소개했다.
이 교수는 “한국 전통정원은 지역의 지형과 기후와 관련이 있다. 지형은 ‘정원의 터’와 ‘정원의 식물’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선조들은 공간이 한정돼 있거나 안팎의 경계가 뚜렷한 정원이 아니라 주변 풍경으로 시선이 퍼지는 정원을 만들어 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체적으로 낙엽활엽수와 아름다운 꽃의 비율이 높은 식물이 선호하며, 식물 선정에서는 식물의 ‘상징성’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받았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모든 자연 현상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로 정원을 만들었다” 말했다.
아울러 “퇴계 이황의 유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식물과 인간을 동격으로 생각해, 식물을 정원 소재로서만이 아닌, 인생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다. 조선의 선비는 자연 속에 정원을 가꿔 자연 풍광을 즐겼으며 정원 속의 식물도 과학적 대상이 아니라 사유의 대상이자 동주로서 간주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후 질의응답 시간에 한 청중은 “영국의 정원문화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데 국민과 정부가 한 노력들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클레어 회장은 “정부로부터 어떠한 지원도 받고 있지 않다. 영국의 정원문화는 정부보다는 사람들의 영향력이 큰 것 같다. 협회에는 63만 명의 회원이 영국 전역에 있고, 회원들로부터 기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다른 청중은 “정원의 전통 요소를 대중들에게 소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가?”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배준규 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장은 “과거에 있었던 전통 요소에 대해서 원형 그대로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해석해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실제로 전통 요소라는 것이 결국은 대중하고 결합이 되지 않으면 의미를 잃어가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와 여러 가지 정책 및 다양한 전통 요소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