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월간 환경과조경이 지난 15일 선유도공원 이야기관 강연홀에서 ‘올해의 조경인·젊은 조경가 시상식’ 및 ‘창간 40주년 조경비평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시상식은 ▲박명권 환경과조경 발행인 인사말 ▲올해의 조경인·젊은 조경가 소개 영상 시청 및 시상식 ▲창간 40주년 조경비평상 소개 및 시상식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제25회 올해의 조경인’에는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가, ‘제5회 젊은 조경가’에는 최윤석 그람디자인 대표가, ‘창간 40주년 조경비평상’에는 정평진 스코어러 대표가 각각 선정됐다.
박명권 환경과조경 발행인은 인사말을 통해 “한국 조경 50년 기념전과 ILFA 한국 개최 성과전이 열리는 장소에서 시상식을 개최하게 돼 더욱 의미가 깊은 것 같다”며 “오늘 수상이 끝이 아니라 한국 조경 분야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 되길 바라며, 수상의 영예를 안은 세분께 축하와 응원의 말씀을 드린다”고 격려했다.
제25회 올해의 조경인으로 선정된 조경진 교수는 한국조경학회 회장으로서 한국조경 50주년을 맞이해 미래 50년을 위한 비전플랜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환경위기, 그린인프라, 건강 등 다양한 이슈에 대응하는 포럼 및 세미나를 개최해 동시대 도시가 직면한 난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한 조경헌장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써 2013년 ‘한국조경헌장’ 제정, 2022년 ‘한국조경헌장’ 개정에 이바지했다. 서울시 공원녹지 총감독으로 활동하면서 주요 공원, 정원 등 녹지 환경 개선에 앞장섰으며, ‘푸른도시 선언 전략계획’ 수립 등 관련 정책을 제안해 조경 분야의 방향성 제시와 정체성 확립, 위상 제고에 기여한 공로 등이 높이 평가됐다.
시상식에서 조경진 교수는 “한국 조경 50년이 되는 해에 올해의 조경인으로 선정돼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이 상은 IFLA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성과인 것 같다. IFLA에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이 상을 받는 게 마땅하다”며 “앞으로 50년 후 조경은 젊은 조경가들이 더 나은 더 멋진 미래를 펼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이 상을 통해 앞으로 더 열심히 활동하라는 의미로 받아드리겠다”고 말했다.
제5회 젊은 조경가에 선정된 최윤석 대표는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등에서 실무를 경험했다. 이후 2008년 그람디자인을 설립해 돈의문박물관마을 수직정원, 서울숲 어린이정원 등 다양한 유형의 조경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는 ‘정원사 친구들(gardening friends)’을 결성해 색다른 정원 문화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한글 글자마당 아이디어 현상공모에 당선됐으며,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과 기업정원에도 참여했다. 2021년 개최된 제11회 대한민국 조경대상에서는 산림청장상과 한국조경학회장상을 받았다.
최윤석 대표은 “가장 정상의 조경가보다는 보통의 조경가 되는 게 목표였다. 혼자 진행하는 것이 아닌 동료들과 합심해서 열심히 달려오다 보니 ‘젊은 조경가’라는 성과를 이룬 것 같다. 앞으로 올바르고 모범적인 조경가 되라는 의미로 생각하고, 앞으로 정진해 나가겠다”는 수상 소감을 밝혔다.
조경비평상을 수상한 정평진 대표는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건축학을 전공했으며, 건축 전문 잡지에서 기자로 일했다. 여러 매체에 도시와 건축에 관한 글을 쓰며 설계경기 아카이브 ‘스코어러(scorer)’를 운영하고 있다.
수상한 조경비평상은 ‘거리에 대한 권리’라는 제목으로 김수근의 르네상스 호텔이 철거된 자리에 조성된 공개공지와 그 한켠에 공공미술로서 설치된 이우환의 관계항 작품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정평진 대표는 “조경비평상을 준비하면서 창간호부터 공개돼 있는 환경과조경의 디지털 아카이브가 가장 많이 도움이 됐다. 80~90년대에 조경가들이 했었던 고민 등을 배울 수 있었다”며 “유사 분야 비평상이 사라지고 있는 와중에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게 분야의 크기에 비해서 많은 패턴들이 있고, 앞으로 도시나 환경 쪽에 담론을 주도해 갈 젊은 에너지가 있는 분야가 조경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한편 조경비평상은 조경비평 활성화와 신진 조경비평가 발굴을 위해 월간 환경과조경이 2003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번 조경비평상은 당선작 없는 가작만 선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