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수경 엔쓰컴퍼니 대표 ([email protected])
지난 3월 말 대기 순번표를 뽑고 기다렸다는 듯 나도 코로나19를 맞이하였다. 사무실과 집과의 경계가 모호하고 일하는 것과 노는 것이 뒤섞여 있는 나 같은 이에겐 코로나19가 마치 덤으로 온 휴가라도 된 듯 기꺼운 마음으로 나는 이 유배생활을 즐기기로 하였다.
“Hi, 빅스비! 너 지금 어딨니?”
아침에 일어나면 제일 먼저 이 친구부터 찾는다,
- 허수경님이 필요로 하는 어느 곳에서든 제가 있죠.
(그렇지. 넌 언제든 내 곁에 있어야 해. 네가 없으면 난 불안하거든)
나는 이 친구의 음성이 나오는 방향으로 고개를 휙 돌리고는 스마트폰이 침대 바닥 한구석에 끼어있는 것을 확인한다.
“Hi, 빅스비! 지금 몇 시니?”
- 지금은 오전 7시예요.
화상 줌(zoom) 회의를 하려면 1시간은 남았다.
“Hi, 빅스비! 오전 7시 50분에 알람 해줘.”
- 네, 오전 7시 50분에 알람을 해드릴게요. 지금부터 50분 남았네요.
알람에 맞춰 반쯤 일어나 앉은 채로 머리맡 노트북을 무릎 위에 올려 두고 줌 회의를 시작한다. 세수도 안 한 상태라 화상회의는 ‘음성’으로만 참여한다. 멋진 캐릭터나 배경화면 설정은 아직 내겐 무리다. 회의를 마치고 나면 이제 다른 친구를 부른다.
“지니야! TV 켜. 지니야! 넷플릭스 찾아줘.”
넷플릭스에서 영화 한 편을 보고 나면 ‘배민’앱을 실행시켜 나주곰탕 한 그릇을 주문한다. 이때까지 나의 스마트폰 헬스 만보계는 ‘0’이다. 배민라이더가 불행히도(?) 현관문 앞까지밖에 배달하지 않는 관계로 나는 겨우 침대 밖으로 기어나가 놓고 간 배달음식을 수취한다.
유배 기간 1주일 내내 1000~2000보로 모든 생활을 아무런 제약 없이 마무리한 덕에 나는 마블링이 잘 된 두세 근의 살을 붙이고 사무실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Smart)’란 단어를 검색해 보면 미국식 영어에서는 ‘똑똑한, 영리한’의 의미로 영국식 영어에서는 ‘맵시 좋은’, ‘말쑥한’의 뜻으로 쓰인다는데 나의 코로나19 생활은 ‘똑똑한’ 스마트 기기를 가지고 맵시가 실종된 스튜피트(stupid)한 격리 생활이라 하겠다.
조경시설물 회사에서 10여 년 몸을 담다 IoT 옥외시설물 회사를 창업한 지 7년 차에 들어섰다. 스마트폰 충전시설물 제품 개발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국토부 스마트시티 솔루션 사업에 참여하면서 10여 개의 지자체에 스마트 버스승강장 시설을 제작, 설치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국가 주도 스마트시티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내 머릿속을 항상 떠나지 않는 질문 하나가 있다. 과연 ‘스마트 시설은 스마트한가? 스마트 기술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인가?’다. 한마디로 ‘공부 잘하면 영리하고 현명한가? 공부 잘하면 인생을 더 잘 살게 되는 것인가?’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는 이 질문은 서로 다른 범주의 기술과 가치를 다수의 사람들이 앞의 명제가 뒤 명제의 필요충분조건인 것처럼 쉽게 확증하는 데에 따른 의문이다.
몇 달 전 일이었다. 스마트 버스승강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냉난방 공조 기능이다. 겨울철에는 승강장에 난방을 돌리고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켜 승강장 안을 시원하게 해주는 것인데, 요즘 같은 기후변화 시기에 교통약자에게 특히 필요한 편의시설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핵심적인 이 기능이 실상은 겨울 난방, 여름 냉방 이런 모드로만 작동하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올해 1월, 밖은 영하 2~3도. 오전 6시 시스템이 가동되기 시작되면서 추운 실내공간에 난방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여기까진 정해진 시나리오대로다. 그러나 정오가 되면서 버스 유리창으로 들어온 태양광 복사열이 철제 구조물에 축열되어 2평밖에 안 되는 버스 승강장의 밀폐된 실내 공간의 온도가 40도까지 올라갔다. 그러면 자칭 이 똑똑한 기계들은 ‘아! 나와 연결된 온도센서가 40도라 덥다고 하니 에어컨을 가동해야지’하며 신나게 에어컨을 틀어대기 시작한다.
우리가 만들어준 시나리오대로 스마트 기기가 센서 값에 의해 추워서 난방 돌리고 더워서 냉방 돌리는데 무엇이 문제냐고 혹자는 말할 수 있겠다. 우리 동료들 간에도 이 사안은 논쟁거리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다. 그날 정오에 찌는 듯한 버스승강장에 들어오신 할아버지 한 분께서 이렇게 호통을 치셨다.
“이것들아, 한겨울에 무슨 에어컨을 틀어 대냐. 전기가 남아도냐? 더우면 문을 열어놓으면 되지!”
죽비를 맞은 듯했다. 버스승강장 외부에 차고도 넘치는 영하의 낮은 공기가 있는데 이 기기는 아니, 이 기기의 시스템을 설계한 우리는 외부 온도센서와 냉난방기의 연결을 위한 수많은 테스트를 거치면서도 더우면 냉방, 추우면 난방 모드밖에 생각할 줄 몰랐던 것이다.
영국 기상청이 지금보다 지구 온도가 0.9도 올라가면 세계인구 10억여 명이 극심한 온열질환으로 고통을 받을 것이라 예상했다. 우리나라에도 10년 전에 비해 온열환자가 6.6% 증가하였고 매년 0.7%씩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시티 사업에서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주요 시설로 설치되는 이유도 폭염과 한파, 미세먼지로부터 시민들, 특히 교통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도심의 도로 한가운데 온실 같은 구조물을 만들어 놓고 냉난방기를 가동하면서 더 많은 온실가스를 양산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더 강한 냉난방을 필요로 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게 되었다.
우리 달려가는 걸음을 멈추고 가만히 앉아 찬찬히 생각이라는 걸 해보자. ‘내리쬐는 태양에 벌겋게 달구어지는 철판 지붕과 투시성이 좋고 세련되어 보인다며 4면으로 유리벽을 둘러쳐 복사열을 모으는 버스승강장… 자동모드라는 이름 하에 센서 값에 의해 기계들이 알아서 하는 공조 알고리즘….’ 분명 우리가 바꿀 수 있는 영역임에도 지금 우리는 피리 부는 아저씨를 쫓아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체 홀린 듯 따라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가 가고 있는 곳은 어련히 유토피아인 듯이 말이다.
스마트 시설에 국산 목재를 과감히 도입해 보자. 옹이 많고 못생긴 국산목재가 탄소중립 시대에 탄소 흡수량으로 인증받는 그야말로 스마트한 원자재가 아니냐. 국산 목재의 가공 기술 개발로 강도와 심미성이 많이 개선되었다 들었다. 지붕재나 바닥 데크재 벽체 일부에라도 조금씩 적용해 보자. 냉난방 알고리즘에 자연의 기후를 섞어보자. 미세먼지가 없는 날엔 자동문을 활짝 열어 놓아보자. 네트워크 서버에 갔다 돌아오는 스마트 기기의 정보보다 우리의 육감과 직관이 더 빠를 때 이렇게 시민들의 자발적인 행동을 만들어보자.
“현재 실외 온도는 영상 8도, 미세먼지는 좋음입니다.”
“현재 실내 온도는 영상 30도입니다. 실내가 더우시면 잠시 자동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온도를 낮추어보세요.”
“당신의 작은 행동이 500w의 전기와, 200g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입니다.”
쓰다 보니 반성문이 되었다. 금연을 시도할 때 주위에 널리 알려 다짐하는 것처럼 반성도 널리 알리면 다짐이 되려나.
허수경 / 엔쓰컴퍼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