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수경 엔쓰컴퍼니 대표 ([email protected])

국토교통부의 스마트화 공원사업과 스마트 주거공간을 표방하는 민간 건설사의 요구로 조경시설물 업계에서도 스마트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다. 벤치에 스마트폰 충전기를 다는 1세대 모델에서부터 온열기능을 추가하는 2세대 모델, 여름철 뜨거워진 벤치에 송풍까지 추가하라는 3세대 모델까지 벤치 하나에도 다양한 기능 요구가 들어오고 있다. “굳이 저런 것까지 에너지를 쓰도록 만들어야 하나”싶을 때가 많으나, 좀 속되게 표현하자면 시골 마을에 어느 집에서 안마의자를 사면 온 동네가 너나 할 것 없이 안마의자 하나씩 들여놓아야 평화가 유지되듯 스마트시티 시설도 이제 그런 경쟁을 통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듯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조경시설물 업체 사장님들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리 회사는 스마트 기기 개발 인력도 없고 기술도 없는데 엔지니어를 어디서 모셔와야 하나 외주개발을 맡겨야 하나…. 이런 스마트 제품은 고장도 잘 날 텐데 AS하러 다니느라 뒤로 밑지는 건 아닌가. 그냥 그런 제품은 취급하지 말아야 하나’ 등등
왜 아니겠는가. 내가 경험해 보지도 못한 생소한 분야가 나와 연결된 미래의 먹거리라 하니 회사의 역량과 자금 여력을 견주어보며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작년 말쯤 A 조경회사 대표님과 식사하는 자리가 있었는데 발주처에서 스마트 스마트 요청이 많아 IT 인력 한 명을 뽑으셨다고 했다.
내가 “대표님 IT 어떤 분야의 인력을 뽑으셨어요?”라고 물으니, “IT가 IT 아녜요?”라고 되물으셨던 기억이 있다. 스마트시설물을 온전히 자체 개발을 하려면 적어도 5가지 분야의 기술인력이 필요하다. 기계설비 엔지니어, 하드웨어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전기 엔지니어, 네트워크 엔지니어 등 단순화시켜 1명씩만 둔다고 해도 최소 5명이 필요하고 또 이 기술 분야를 아우르는 관리자가 1인이 필요하다.
인력 확충이야 회사의 재무적 여력이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이뤄질 수 있지만 그보다 IT 분야 기술인력 운용에 있어서는 기존 조직과 새로 들어온 엔지니어들 간의 일의 방식,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 요소가 더 어려운 과제가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조경시설물 회사 10년과 스마트시설 회사 7년을 운영해 보니 이 두 업종의 차이를 더 극명하게 실감한다.
1m를 다루는 일과 1㎜를 다루는 일의 차이라 할까. 되돌아보면 나 역시도 영업을 위해 뛰어다닌 시간보다 이 분야 엔지니어들의 사고방식을 알아가고 이에 맞는 업무 프로세스를 만들고 조직문화를 통합해나가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으니 말이다. 그래서 나는 직접 제품을 개발해 보겠다는 회사 대표님들을 극구 말린다.
“대표님. 이런 수준의 기술은 밖에 널려있어요. 우리 원천기술 개발하는 것 아니잖아요. 지금 밖에는 소규모 기술 회사들이 시장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그런데 조경시장에도 새로운 먹거리가 있다고 하면 그들에게는 얼마나 기회가 되겠어요. 협업(co-work)하세요. 그래야 서로 살 수 있어요.”
나는 한국조경협회 등의 상위단체에서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등과의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기술 수요기업과 공급 기업을 연계하는 사업 등을 빠르게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부 각 기관에서 쏟아지는 스마트시티, 스마트도시재생, 스마트공원 사업 등에 조경시설업체들이 마음이 급해 준비 없이 기술인력을 뽑았다가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돈과 시간만 낭비할 것이 자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조경시설물 업체는 기술자가 아닌 기획 역량을 키워야 한다. 대부분 기술개발 의뢰를 받아보면 이런저런 사회적 수요가 있을 것 같아 제품 개발을 해보려 한다고만 말하지 자신들이 만들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기능 정의가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시민들이 어떻게 이 제품을 이용할 것인지 시뮬레이션하며 제품에 대한 세세한 시나리오를 만들지 않으면 제품개발은 할 수 없다. 만약 그런 과정 없이도 제품이 나왔다면 조만간 하나씩 뜯어고쳐야 하는 일이 일어날 것이다.
스마트 그늘막으로 하나 예를 들어보자.
“지역별 월별 시간별 일사량과 일사각이 다를 텐데 이에 맞추어 가동조건을 디테일하게 설계할 것인가”
“가동 중에 비가 오면 어떻게 동작할 것인가. 이 비는 레인센서로 할 것인가, 기상청 에어코리아 데이터로 할 것인가”
“어느 정도 비가 내려야 비가 오는 것으로 모드로 전환되는 것인가”
“흐린 날씨라 가동하지 않아도 된다면 그 흐린 날씨는 습도로 판단할 것인가, 관리자 재량에 의해 수동 제어할 것인가”
이제 상품을 개발한다는 것은 제품의 기능을 정의해내는 것과 다르지 않다. 업계 많은 분들이 이런 일은 기술업체가 하는 일이 아닌가 생각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기술업체는 의뢰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대로 개발을 해주는 곳이지 본인이 운영의 정책적 판단을 내리지 않는다. 그것까지 한다면 시장을 모르는 개발자가 자가 임의대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조경시설물이 스마트로 들어서는 순간 그 제품은 정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과 외부환경 요인에 따라 수시로 동작 모드가 바뀌어야 하는 움직이는 제품이다. 여기에 그 변화의 조건과 동작 시나리오만큼 중요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 이것이 사용자 UI 영역이다.
생태탐방로에도 이제 스마트시설이 도입되고 있다. 우리 조경업계가 두고 보고 있는 사이에 스마트시설 분야 SI업체들이 뛰어들면서 생태탐방로에 현란한 LED 연출 조명시설이 제안되고 어처구니 없게도 이런 제안서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사업으로 선정되고 있다.
가만히 있다고 조경의 업역은 지켜지지 않는다. 기업은 현상유지를 위해서라도 먹거리를 찾아 끊임없이 움직이지 않으면 도태된다. 스마트시티·탄소중립도시의 여러 어젠다 중 기존 조경의 영역을 넘어서서 스마트 조경시설의 영역까지 과감히 도전해, 조경의 스마트화는 적어도 우리가 주도하겠다는 생각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허수경 / 엔쓰컴퍼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