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민수 ([email protected])
동상
뫼비우스, 순환의 땅
류광하 작가
제3회 LH가든쇼의 대상지인 검단은 갯벌 위에 조성된 신도시다. 검단의 지명은 검붉은 갯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갯벌은 해와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 등 자연의 순환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대지다. 갯벌은 조개와 고둥, 게, 갯지렁이 등 다양한 생물이 사는 서식지며, 이러한 생물은 물고기나 새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일종의 선순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을 포함한 자연의 모든 것들은 우주적 생태계 안에서 끊임없이 순환한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순환의 고리를 잊은 채 살아간다. ‘뫼비우스, 순환의 땅’은 검붉은 갯벌의 기억을 순환의 고리를 상징하는 뫼비우스 구조와 세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인간과 생생한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며, 순환하는 모든 것의 기억을 되살리고자 했다.
세 개의 레이어를 통해 위·아래의 자연에 감싸져 있는 인간을 표현했다. 맨 아래층에 해당하는 지면에는 나대지와 유사하게 이끼, 고사리 등의 음지 식물과 숙근초를 식재해 야생의 자연이 가진 생동감을 표현했다.
주요 동선인 재생의 길과 순환의 길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단차가 있는 보행로이며, 인간이 살아가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앉는 곳을 만드는 대신 자유롭게 거닐며 여러 곳에 시선이 머물 수 있도록 했다.
내후성 강판 타공판으로 만든 순환의 길은 꼬인 물결 형태로 뫼비우스를 형상화했다. 내후성 강판 타공판 특유의 검붉은 색은 검단의 검붉은 갯벌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형철근으로 만든 재생의 길은 순환의 길을 연결해 정원을 여러 방향에서 둘러볼 수 있는 동선을 만든다.
지하고가 높은 자작나무는 맨 위층의 자연을 의미한다. 시야 확장을 위해서 관목 식재를 지양하고, 자작나무의 흰색 수피를 통해 내후성 강판과의 색감 대비를 연출했다.
<인터뷰>
“잊었던 순환의 기억을 되살리는 기회”
- LH가든쇼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
다양한 정원 박람회에 참여했는데,제3회 LH가든쇼의 주제로 제시된 검단의 지역성이 흥미로웠다. 갯벌 위에서 신도시가 탄생한 검단이 가진 특유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잘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았고, 구현했을 때 많은 사람이 알아줄 것 같았다.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줘서 주제에 수월하게 접근했다.
- 정원 주요 콘셉트는 무엇이고, 주제와 어떤 관련성이 있나?
대지의 주름, 자연의 물결. 주제를 들으면 누구나 옛날의 갯벌을 떠올릴 것이다. 나 역시도 갯벌로 접근했다. 갯벌 위에서 탄생한 신도시라는 특성을 활용해서 잊힌 갯벌의 기억을 정원에서 되살려보고 싶었다. 태양과 달의 인력,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갯벌은 자연의 순환 에너지로 탄생한 대지다. 정원을 통해서 갯벌의 순환성을 표현하려고 했으며, 지역 주민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개념을 디자인에 활용했다. 뫼비우스 띠를 활용한 것도 순환을 상징하는 친숙한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 정원 감상 포인트나, 조성 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특히 주력했던 점은 무엇인가?
정원과 미술품에는 차이가 있다. 미술품은 한자리에서 보는 것이고, 정원은 걷고 사유하면서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성한 정원에서도 자유롭게 거닐면서 사유하는 이용자들을 염두에 두며, 특별한 경관 포인트를 따로 만들지 않았다. 대신 강판의 꼬임을 연출했다. 보행로의 중간에 위치한 꼬임이 동선을 막기 때문에 돌아갈 수밖에 없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시선과 동선의 변화를 만든다. 이처럼 자유롭게 거닐고 동서남북으로 시선을 옮기면서 공간을 온전히 느낄 수 있게끔 하고 싶었다.
- 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이나 재밌었던 점 등 기억에 남는 비하인드 스토리는 무엇인가?
한 달 동안 7개의 작품이 조성되다 보니 조성 시 동선이 꼬일 것 같아서 우려를 많이 했다. 장비 진입도 쉽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다 같이 도우면서 했다. 작가들과 장비도 가끔 빌려 쓰고, 폐기물을 같이 처리하다 보니 유대감도 더 쌓였다. 시공 시 어려웠던 점은 아무래도 강판 밴딩이 쉽지 않았다. 생각보다 많은 곳에 의뢰를 했지만 못한다는 답이 돌아왔었다. 수소문 끝에 한 업체를 찾았는데, 한 번으론 부족해서 몇 군데 업체에 요청을 더 드렸다. 결국 마지막엔 직접 기계로 꺾었다.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잘 나와서 정말 다행이다.
- “나의 정원은 OOO이다” 본인 작품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검단이 가진 지역성에 끌려서 시작했고, 그 지역성을 최대한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이 작품은 다른 지역에서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검단이기 때문에 가능했다. 명확한 문장으로 정의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갯벌이 가진 순환성의 의미를 되새기고 잊었던 순환의 기억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