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체뉴스

뉴스 상세검색
뉴스 상세검색 닫기
카테고리
기간
~
검색어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서울시는 오는 9일 낮 12시부터 17시까지 대학로 일대에 '2019 대학로 차 없는 거리'를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대학로 차 없는 거리는 ‘낭만과 추억을 회상하는 Again1989!’를 슬로건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예술가·기업·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예술공연, 예술마켓, 농부시장, 도심걷기행사까지 5개 구간에서 다양한 콘셉트로 즐길거리, 볼거리 등 풍성한 체험 행사를 제공한다. 종로구 거리예술가, 이화예술공방, 농부시장 마르쉐, 한국관광공사, 반스 등 대학로와 관련된 다양한 단체와 기관들이 참여해 거리공연, 체험행사까지 직접 운영한다. 1구간(혜화역 1번출구~올리브영 혜화역점)에서는 9월 대학로에서 개최되는 ‘2019 웰컴 대학로’의 수준 높은 거리공연을 선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대학로를 세계적인 공연관광 명소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울시 차 없는 거리와 함께 뜻을 모았다. 2구간(공간아울~마로니에 공원)은 ‘8090 추억의 거리’로 변신한다. ‘복고거리’라는 컨셉 아래 복고패션쇼, 거리극, 마술쇼, 음악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펼쳐진다. 추억의 복장을 입고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추억의 사진관 등 3代가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구간(마로니에 공원~예술가의 집)에서는 대학로를 대표하는 지역공동체 ‘이화예술공방’과 ‘마르쉐’가 그동안 마로니에 공원에서만 진행하던 농부시장과 예술시장을 도로까지 확대해 ‘사람, 관계, 대화’가 있는 지속가능한 상생의 공간으로 시민들을 맞는다. 4구간(119안전센터~방송통신대학 정문)에서는 반스가 ‘걸스 스케이트 클리닉’을 운영한다.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스케이트 보드를 배우고 스텐실 아티스트 ‘족오’와 함께 자신만의 스케이트 보도 그립 테잎을 만드는 아트 워크숍에 참가한다. 5구간(방송통신대~서울사대부여중)부터는 도심 속 걷기 생활화와 보행문화 확산을 위한 ‘제2회 걷자, 도심보행길!’ 행사가 함께 열린다. 이날 ‘차 없는 거리’ 운영으로 대학로는 이화사거리~혜화동로터리(약 960m 구간) 양방향 도로의 차량통행이 9일 9시부터 19시까지 통제된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e-환경과조경은 조달청 나라장터에 게시된 입찰 가운데, 조경관련 사업을 정리한 '조경주간입찰'을 매주 화요일마다 제공한다. 기술사사무소(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대전광역시 용역 세천근린공원(확대조성) 공원조성계획(변경) 및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159,180,000 2019/06/03 16:00 (2019/06/12 10:00)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용역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숲 공원 조성사업 실시 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3,971,000 2019/06/03 15:49 (2019/06/10 16:00) 전라북도 진안군 용역 학동 산림휴양 치유마을 조성사업 실시설계용역(입찰대행) 제한경쟁 61,701,000 2019/06/03 15:48 (2019/06/11 15:00) 경상북도 구미시 용역 구미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실효검토 및 단계별 집행계획 수립용역 제한경쟁 200,000,000 2019/06/03 11:42 (2019/06/10 10:00) 경상북도 구미시 용역 들성산림공원 외 1개소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96,530,000 2019/06/03 11:30 (2019/06/11 10:00) 경상남도 거제시 용역 거제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1,384,000 2019/05/31 11:27 (2019/06/07 10:00) 경상남도 사천시 용역 실안노을과 어우러진 해안둘레길 조성사업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93,700,000 2019/05/30 18:14 (2019/06/05 10:00) 경상남도 함양군 용역 산삼자연휴양림 보완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긴급) 제한경쟁 147,522,000 2019/05/30 13:36 (2019/06/07 12:00) 인천광역시 용역 선학근린공원 도시·군관리계획(변경) 결정 용역 제한경쟁 99,718,000 2019/05/30 10:55 (2019/06/07 10:00) 엔지니어링사업(조경)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대전광역시 용역 세천근린공원(확대조성) 공원조성계획(변경) 및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159,180,000 2019/06/03 16:00 (2019/06/12 10:00)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용역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숲 공원 조성사업 실시 설계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3,971,000 2019/06/03 15:49 (2019/06/10 16:00) 전라북도 진안군 용역 학동 산림휴양 치유마을 조성사업 실시설계용역(입찰대행) 제한경쟁 61,701,000 2019/06/03 15:48 (2019/06/11 15:00) 경상북도 구미시 용역 구미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실효검토 및 단계별 집행계획 수립용역 제한경쟁 200,000,000 2019/06/03 11:42 (2019/06/10 10:00) 경상북도 구미시 용역 들성산림공원 외 1개소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96,530,000 2019/06/03 11:30 (2019/06/11 10:00) 경상남도 거제시 용역 거제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1,384,000 2019/05/31 11:27 (2019/06/07 10:00) 경상남도 사천시 용역 실안노을과 어우러진 해안둘레길 조성사업 실시설계용역 제한경쟁 93,700,000 2019/05/30 18:14 (2019/06/05 10:00) 경상남도 함양군 용역 산삼자연휴양림 보완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긴급) 제한경쟁 147,522,000 2019/05/30 13:36 (2019/06/07 12:00) 인천광역시 용역 선학근린공원 도시·군관리계획(변경) 결정 용역 제한경쟁 99,718,000 2019/05/30 10:55 (2019/06/07 10:00)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용역 홍천군 남면 기초생활거점육성사업 기본계획(경관부분) 수립 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9,650,000 2019/05/29 12:42 (2019/06/04 14:00) 조경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국립공원공단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덕유산 문화유산지구 정비공사 제한경쟁 486,460,000 2019/06/04 13:42 (2019/06/11 14:00)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사 2019년 시 관리공원 편의시설 정비공사 수의(소액) 136,680,000 2019/06/03 16:31 (2019/06/10 10: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공사 2019년 시공원 보수정비사업 제한경쟁 381,762,000 2019/06/03 16:20 (2019/06/11 14:00)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사 하천 생태복원 및 녹화사업(중랑천 초화원) 공사 (긴급) 일반경쟁 532,348,000 2019/06/03 15:51 (2019/06/10 14:00) 전라북도 임실군 공사 임실 옥정호 마실길 생태숲 조성사업 수의(소액) 견적 제출 수의(소액) 196,927,000 2019/06/03 15:42 (2019/06/10 10:00) 국립공원공단한려해상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 한려해상 재난취약지구 정비공사 소액수의 견적입찰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2,000,000 2019/06/03 15:30 (2019/06/11 10:00) 국립공원공단한려해상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 한려해상 탐방로 정비공사 소액수의 견적입찰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81,491,000 2019/06/03 15:26 (2019/06/11 10:00) 충청북도충주교육청 충주여자중학교 공사 2019. 충주여자중학교 학교숲 조성공사 소액수의 견적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835,600 2019/06/03 14:58 (2019/06/10 10:00) 한국공항공사 사천지사 공사 사천공항 조경시설 유지관리 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8,534,000 2019/06/03 13:43 (2019/06/11 14:00) 경상북도 경주시 용역 신라달빛공원 국화전시회 연출사업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98,000,000) 2019/06/03 09:39 (-) 국립공원공단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덕유산 무장애탐방로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90,600,000 2019/06/02 17:57 (2019/06/07 15:00) 국립공원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북한산 훼손탐방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730,000,000 2019/06/02 13:18 (2019/06/10 11:00) 국립공원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북한산 훼손지 복원공사 제한경쟁 314,270,000 2019/06/02 09:46 (2019/06/10 10:00) 전라북도 정읍시 공사 정읍 구절초 지방정원 조성사업 지역제한 469,586,000 2019/06/01 10:27 (2019/06/11 14:00) 경기도 구리시 공사 2019년 쌈지공원 2개소 조성사업 수의(소액) 72,932,000 2019/05/31 19:12 (2019/06/07 12:00)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사 2019년 노후 어린이공원 정비사업(특교세,명시이월) 수의(소액) 116,550,210 2019/05/31 18:29 (2019/06/07 10:00) 전라남도 광양시 공사 섬진강 뱃길복원 및 수상레저 기반조성공사(수변쉼터) 제한경쟁 502,663,000 2019/05/31 18:04 (2019/06/10 10:00) 울산광역시 북구 공사 햇빛공원 정비사업 지역제한 239,450,000 2019/05/31 18:01 (2019/06/07 10:00)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사 샘골 녹색쌈지공원 조성사업 제한경쟁 188,460,000 2019/05/31 17:59 (2019/06/07 12:00)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사 창의어린이놀이터 재조성사업(안골) 지역제한 285,370,000 2019/05/31 17:38 (2019/06/10 10:00)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공사 광주공연마루 음악분수 보수공사 수의(소액) 60,000,000 2019/05/31 15:49 (2019/06/07 10:00) 경기도 안산시 공사 대부황금로 가로숲(띠녹지) 조성사업 수의(소액)-여성기업간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46,451,000 2019/05/31 15:31 (2019/06/07 10:00) 전라북도 김제시 공사 수류성당 주변 쉼터 및 경관조성사업 제한경쟁 339,755,000 2019/05/31 15:24 (2019/06/07 16:00)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사 공릉동 산책로 녹지대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78,166,000 2019/05/31 15:05 (2019/06/05 14:00) 충청남도 보령시 공사 테마형 명품해수욕장(무창포) 조성사업 지역제한 701,526,000 2019/05/31 14:38 (2019/06/07 10:00) 경기도 평택시 공사 (서부)교포2리 마을쉼터 부분정비공사 수의(소액) 36,727,100 2019/05/31 10:18 (2019/06/07 10:00) 충청남도 아산시 공사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둔포 제1테크노 중앙공원) 지역제한 515,390,000 2019/05/31 07:53 (2019/06/07 14:00) 경기도 용인시 공사 [긴급]용인 신봉근린공원 조성공사 지역제한 3,425,800,000 2019/05/30 13:27 (2019/06/05 10:00) 국립공원공단월출산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월출산 훼손탐방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283,900,000 2019/05/30 10:40 (2019/06/07 14:00) 경기도 포천시 공사 부소천 둘레길 조성사업 제한경쟁 2,378,003,000 2019/05/30 09:37 (2019/06/10 10:00)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 낙동강 파크골프장(거의지구)조성공사 지역제한 242,098,000 2019/05/30 01:35 (2019/06/10 14:00) 전라남도 영암군 공사 백야마을 창조적마을만들기 환경(경관,생태) 사업 제한경쟁 242,969,000 2019/05/29 20:48 (2019/06/07 10:00) 대구광역시 서구 공사 2019년 생활환경숲 조성공사 수의(소액) 216,773,000 2019/05/29 20:20 (2019/06/04 14:00) 강원도 평창군 공사 2019년 국토공원화사업(북부권역) 대관령면 수의계약(기타) 76,780,000 2019/05/29 19:05 (2019/06/04 16:30) 국립공원공단 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 공사 2019년 소백산북부 훼손탐방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314,405,639 2019/05/29 15:57 (2019/06/07 10:00) 국립공원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다도해해상 팔영산지구 탐방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179,243,000 2019/05/29 14:36 (2019/06/04 15:00) 국립공원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 공사 2019년 다도해해상 소안청산지구 탐방로 정비공사 제한경쟁 167,290,000 2019/05/29 14:17 (2019/06/04 15:00) 국립공원공단내장산국립공원백암사무소 공사 2019년 내장산백암 재난취약지구 정비공사 제한경쟁 104,434,000 2019/05/29 13:17 (2019/06/05 10:00) 성남도시개발공사 공사 2019년 탄천종합운동장 축구장 잔디(한지형) 관리 지역제한 133,000,000 2019/05/29 11:37 (2019/06/07 12:00) 조경식재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공사 [2권역]도심초 외 21교 예제초 및 수목전정 유지관리공사 제한경쟁 110,011,000 2019/06/04 12:07 (2019/06/13 10:00)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공사 [1권역]구리초 외 26교 예제초 및 수목전정 유지관리공사 제한경쟁 148,731,000 2019/06/04 12:01 (2019/06/13 10: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가로수길 고사지 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7,300,000 2019/06/04 09:41 (2019/06/11 10:00) 강원도 양양군 공사 2019년 생태계교란식물 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77,679,000 2019/06/03 21:40 (2019/06/10 10:00) 충청남도 홍성군 공사 남장터널 진입로 외 2개소 식재공사 수의(소액) 35,970,000 2019/06/03 21:19 (2019/06/11 10:00) 서울특별시 동작구 공사 2019년 현충근린공원 보수정비공사 수의(소액) 65,720,000 2019/06/03 20:01 (2019/06/07 10:00) 광주광역시 서구 공사 상록도서관 옥상녹화사업 수의(소액) 59,045,000 2019/06/03 19:32 (2019/06/10 10:00)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공사 한양대학로 띠녹지 수목 정비공사 수의(소액) 29,700,000 2019/06/03 19:18 (2019/06/10 10:00) 경상남도 거제시 공사 오비일반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473,000,000 2019/06/03 18:41 (2019/06/11 10:00) 광주광역시 북구 공사 오감만족 건강숲길 조성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9,100,000 2019/06/03 18:24 (2019/06/10 10:00) 경상북도 영주시 공사 부석 동구산공원 정비공사 수의(소액) 59,466,000 2019/06/03 18:14 (2019/06/10 10:00) 경기도 고양시 공사 벽면(담장)녹화 조성사업 지역제한 141,960,000 2019/06/03 17:51 (2019/06/11 10:00) 전라남도 여수시 공사 국가산업단지 내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1,883,927,000 2019/06/03 17:26 (2019/06/24 12:00) 강원도 횡성군 공사 앞들서2로 수목보호틀 교체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1,390,000 2019/06/03 17:04 (2019/06/10 12:00) 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 용역 결성지구 내 농업기반시설 주변 잡초목 제거 용역 제한(총액) 6,122,000 2019/06/03 17:03 (2019/06/12 10:00)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공사 가곡초 외 16교 예제초 및 수목전정 유지관리공사(4권역) 견적 제출 공고 수의(소액) 71,495,000 2019/06/03 16:52 (2019/06/11 10:00) 경기도 김포시 공사 2019년 계양천 산책로 수형조절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4,344,000 2019/06/03 16:27 (2019/06/10 10:00) 충청북도진천교육청 덕산중학교 공사 학교 숲 조성 공사 소액수의 견적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5,634,100 2019/06/03 16:11 (2019/06/12 10:00) 충청북도 영동군 공사 국가하천 금강(구탄지구) 수목제거사업 소액수의 견적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23,230,000 2019/06/03 15:55 (2019/06/10 12:00) 충청북도 영동군 공사 국가하천 금강(송호지구) 수목제거사업 소액수의 견적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35,850,000 2019/06/03 15:41 (2019/06/10 12:00) 충청북도 영동군 공사 초강천(옥전지구) 지방하천유지관리사업 소액수의 견적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47,020,000 2019/06/03 15:37 (2019/06/10 12:00) 세종특별자치시 용역 2019년 상반기 국가하천(미호천) 예초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400,000 2019/06/03 15:34 (2019/06/11 10:00) 충청북도 영동군 공사 초강천(산저지구) 지방하천유지관리사업 소액수의 견적제출 안내 공고 수의(소액) 50,000,000 2019/06/03 15:31 (2019/06/10 12:00) 충청남도 공주시 공사 유구읍 가로수 전정공사 수의(소액) 49,400,000 2019/06/03 14:38 (2019/06/11 14:00) 충청남도 논산시 공사 논산천 유지관리(풀깍기) 사업 지역제한 190,000,000 2019/06/03 14:06 (2019/06/11 14:00) 한국공항공사 사천지사 공사 사천공항 조경시설 유지관리 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8,534,000 2019/06/03 13:43 (2019/06/11 14:00) 충청남도 계룡시 용역 2019년 도로변 제초작업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3,924,000 2019/06/03 13:35 (2019/06/10 14:00) 세종특별자치시 용역 2019년 상반기 국가하천(금강 우안) 예초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9,200,000 2019/06/03 12:51 (2019/06/11 10:00) 세종특별자치시 용역 2019년 상반기 국가하천(금강 좌안) 예초용역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0,300,000 2019/06/03 12:50 (2019/06/11 10:00) 경기도 양평군 공사 종합운동장 내 비탈면 보호공사 수의(소액) 81,917,000 2019/06/03 12:30 (2019/06/07 15:00) 경기도 여주시 공사 소양천 지장수목 및 잡풀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1,260,000 2019/06/03 11:13 (2019/06/10 10:00) 경기도 평택시 안중출장소 공사 관리천 수목제거공사 수의(소액) 52,580,000 2019/06/03 10:59 (2019/06/05 14:00) 충청남도 태안군 공사 2019년 생활권 주변 피해우려목 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7,929,000 2019/06/03 10:52 (2019/06/05 15:00) 서울특별시 성북구 공사 2019년 마을숲 조성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9,373,000 2019/06/03 10:26 (2019/06/11 14:00) 전라남도 여수시 공사 2019년 자투리땅 쉼터 환경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9,676,000 2019/06/03 10:05 (2019/06/10 12:00) 경상남도 함안군 공사 2019년 가로수 및 조경수 조성지 사후관리사업(칠원,칠서,칠북지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08,010,000 2019/06/03 09:43 (2019/06/10 10:00) 경상남도 함안군 공사 2019년 가로수 및 가로변 녹지 사후관리사업(함안, 여항,군북,법수지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08,770,000 2019/06/03 09:41 (2019/06/10 10:00) 경상북도 경주시 용역 신라달빛공원 국화전시회 연출사업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98,000,000) 2019/06/03 09:39 (-) 경상남도 함안군 공사 2019년 가로수 및 조경수 조성지 사후관리사업(가야,산인,대산지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103,880,000 2019/06/03 09:39 (2019/06/10 10:00) 경상남도 산청군 공사 자양보유원지 관광명소화사업 산책로 및 녹음쉼터 조성공사 지역제한 150,590,000 2019/05/31 18:26 (2019/06/07 10:00) 환경보전협회 공사 2019년 낙동강수계 매수토지내 잡풀제거공사(기타권역) 제한경쟁 74,157,000 2019/05/31 18:23 (2019/06/07 10:00) 환경보전협회 공사 2019년 낙동강수계 매수토지내 잡풀제거공사(경남권역) 제한경쟁 153,539,000 2019/05/31 18:20 (2019/06/07 10:00) 환경보전협회 공사 2019년 낙동강수계 매수토지내 잡풀제거공사(청송권역) 제한경쟁 205,568,000 2019/05/31 18:17 (2019/06/07 10:00) 환경보전협회 공사 2019년 낙동강수계 매수토지내 잡풀제거공사(영양권역) 제한경쟁 153,427,000 2019/05/31 18:09 (2019/06/07 10:00) 환경보전협회 공사 2019년 낙동강수계 매수토지내 잡풀제거공사(안동권역) 제한경쟁 227,102,000 2019/05/31 18:03 (2019/06/07 10:00) 경상북도 산림자원개발원 공사 2019년 안동호반자연휴양림 꽃길조성사업 수의(소액) 94,128,000 2019/05/31 15:47 (2019/06/07 10:00) 전라남도 강진군 공사 2019년 탐진강 유지보수사업 제한경쟁 138,992,000 2019/05/31 15:27 (2019/06/11 10:00) 경상북도 경주시 도시재생사업본부 공사 잡초제거 사업(서천둔치 외 5개소)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7,500,000 2019/05/31 15:16 (2019/06/07 10:00)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순천국토관리사무소 용역 국도19호선 등 6개 노선 길어깨 풀베기용역 제한(총액) (174,328,000) 2019/05/31 13:55 (2019/06/11 10:00) 강원도 홍천군 공사 수타사 농촌테마공원 조경수 식재공사 수의(소액) 60,972,000 2019/05/31 13:39 (2019/06/07 14:00)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공사 매탄공원 야외무대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5,640,000 2019/05/31 09:38 (2019/06/05 10:00) 경기도 안산시 공사 2019년 호수공원 관목전정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5,200,000 2019/05/31 09:16 (2019/06/07 10:00) 충청남도 아산시 공사 국도변 가로수 잡목제거 및 제초공사 수의(소액) 60,626,000 2019/05/31 08:23 (2019/06/07 14:00) 전라북도 고창군 공사 화훼 및 조경단지 조성사업-입찰대행 수의(소액) 50,000,000 2019/05/31 06:15 (2019/06/07 14: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오천지구 공원 및 녹지대 풀베기 등 환경정비사업 수의(소액) 66,536,000 2019/05/30 22:53 (2019/06/05 12: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신대지구 생태회랑 유지관리 사업 수의(소액) 80,200,000 2019/05/30 22:39 (2019/06/05 12:00) 전라남도 순천시 공사 강청수변공원 풀베기 등 유지관리 사업 수의(소액) 50,978,000 2019/05/30 22:38 (2019/06/05 12:00) 경상북도 안동시 공사 도청이전신도시 수변공원 예초 및 제초 수의(소액) 49,071,000 2019/05/30 21:13 (2019/06/05 12:00) 경상북도 안동시 공사 도청이전신도시 시설녹지 예초 및 제초 수의(소액) 30,052,000 2019/05/30 21:12 (2019/06/05 12:00) 충청북도 제천시 공사 시내일원 가로수 곁순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00,000 2019/05/30 20:09 (2019/06/05 10:00) 강원도 화천군 용역 2019년 국가하천(북한강) 예초작업(2지구) 제한(총액) 21,600,000 2019/05/30 18:52 (2019/06/05 14:00) 강원도 화천군 용역 2019년 국가하천(북한강) 예초작업(1지구) 제한(총액) 33,110,000 2019/05/30 18:46 (2019/06/05 14:00) 강원도 원주시 공사 혁신도시 띠녹지 유지관리(제초)사업 수의(소액) 99,023,000 2019/05/30 18:30 (2019/06/05 10:00)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공사 복용승마장 등 4개소 잔디깎기 공사 수의(소액) 22,888,000 2019/05/30 18:12 (2019/06/10 12:00)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사 명지국제신도시 완충녹지 내 보식 공사 수의(소액) 49,600,000 2019/05/30 17:26 (2019/06/05 12:00) 광주광역시 동구 공사 2019년 담장허물어나무심기사업 제한경쟁 112,198,000 2019/05/30 16:47 (2019/06/07 12:00) 울산광역시 남구 공사 장생포 근린공원 꽃단지 조성사업 지역제한 146,236,000 2019/05/30 16:21 (2019/06/05 10:00)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용역 여주시 한강변 일대 생태계교란식물 제거사업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824,000) 2019/05/30 15:58 (2019/06/05 16:00) 경기도 광명시 공사 목감천 제초작업(11연보~능촌교)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8,500,000 2019/05/30 15:55 (2019/06/05 16:00)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용역 양평군 한강변 일대 생태계교란식물 제거사업 수의(총액)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824,000) 2019/05/30 15:38 (2019/06/05 15:45)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관광시설관리사업소 공사 수영강시민공원 녹지대 예초작업(긴급) 지역제한 39,990,000 2019/05/30 15:00 (2019/06/07 10:00)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성동 공사 2019년 청덕동 꽃밭 조성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8,652,760 2019/05/30 13:47 (2019/06/05 10:00) 경기도 연천군 공사 2019년 도시공원 잔디관리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9,890,900 2019/05/30 10:53 (2019/06/05 10:10) 경기관광공사 용역 임진각수풀누리 조경관리용역 제한(총액) (99,000,000) 2019/05/30 10:38 (2019/06/10 12:00) 경상북도 고령군 농업기술센터 공사 2019년 생활권 재해우려목 제거사업 수의(소액) 39,082,000 2019/05/30 10:21 (2019/06/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공사 2019년 국가하천 구간(전주천) 하천풀베기 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 50,000,000 2019/05/30 10:01 (2019/06/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공사 2019년 국가하천 구간(전주천,만경강,소양천) 유해식물 제거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 50,000,000 2019/05/30 09:52 (2019/06/05 10:00) 부산광역시 기장군 공사 도시숲(신정관로 가로숲 및 교통섬)조성사업 지역제한 91,110,000 2019/05/30 09:38 (2019/06/07 10:00) 충청남도 계룡시 공사 두계천 환경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2,774,000 2019/05/29 21:53 (2019/06/04 14:00) 경상북도 봉화군 공사 생활권 마을숲 조성사업(거촌2지구) 수의(소액) 67,500,000 2019/05/29 18:06 (2019/06/04 15:00) 경상북도 봉화군 공사 생활권 마을숲 조성사업(거촌1지구) 수의(소액) 41,000,000 2019/05/29 18:04 (2019/06/04 15:00) 경상북도 봉화군 공사 생활권 마을숲 조성사업(학산지구) 수의(소액) 58,730,000 2019/05/29 18:02 (2019/06/04 15:00) 경상북도 봉화군 공사 생활권 마을숲 조성사업(문단지구) 수의(소액) 22,250,000 2019/05/29 18:00 (2019/06/04 15:00) 경상북도 봉화군 공사 지방도915호선(북지) 가로수 전정사업 수의(소액) 49,700,000 2019/05/29 17:58 (2019/06/04 15:00) 경기도 의왕시 환경사업소 공사 2019년 의왕시 포일세거리로 가로녹지정비(주민참여예산)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3,580,000 2019/05/29 16:10 (2019/06/05 10:0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공사 창릉천 수계 제방 풀깎기 공사(연간단가) 지역제한 199,999,900 2019/05/29 15:17 (2019/06/05 10:00) 성남도시개발공사 공사 2019년 탄천종합운동장 축구장 잔디(한지형) 관리 지역제한 133,000,000 2019/05/29 11:37 (2019/06/07 12:0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공사 걷고 싶은 거리 재정비 지역제한 30,096,000 2019/05/29 10:24 (2019/06/05 15: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공사 2019년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제한경쟁 122,700,000 2019/05/29 10:19 (2019/06/07 14:00) 인천광역시 서구 공사 2019년 명품 걷고싶은거리 조성사업 지역제한 148,225,000 2019/05/29 10:04 (2019/06/05 10:00) 경기도 수원시 공사 수원수목원 양묘장 조성공사 수의(소액) 84,810,000 2019/05/29 09:41 (2019/06/04 14: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바람길 녹지축(공원,도시숲확대)조성사업(의암공원) 지역제한 150,200,000 2019/05/29 09:39 (2019/06/05 10: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바람길 녹지축(공원,도시숲확대)조성사업(약사천수변공원) 지역제한 216,500,000 2019/05/29 09:31 (2019/06/05 10: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바람길 녹지축(공원,도시숲확대)조성사업(조각공원) 지역제한 190,600,000 2019/05/29 09:23 (2019/06/05 10:00) 인천광역시 서구 공사 2019년 서구 관내 도로잡초정비 지역제한 168,267,000 2019/05/29 08:53 (2019/06/05 10:00)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서울특별시 서부공원녹지사업소 공사 서서울호수공원 시설정비사업-서부공원 지역제한 491,138,000 2019/06/04 10:42 (2019/06/13 12:00) 인천광역시 인천대공원사업소 공사 부평공원 체육시설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3,679,000 2019/06/04 09:54 (2019/06/12 10:00) 인천광역시 강화군 문화재사업소 공사 강화 갑곳돈 휴게시설 및 부대시설 공사 제한경쟁 69,080,000 2019/06/04 08:49 (2019/06/11 10:00) 전라남도 장흥군 공사 장흥댐 심천공원 관광자원사업(데크보수)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9,600,000 2019/06/03 21:30 (2019/06/10 10:00) 서울특별시 동작구 공사 2019년 현충근린공원 보수정비공사 수의(소액) 65,720,000 2019/06/03 20:01 (2019/06/07 10:00) 경상남도 합천군 공사 보조댐 인공폭포 설치사업 지역제한 394,300,000 2019/06/03 19:55 (2019/06/10 10:00)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군위교육지원청 공사 의흥초등학교 화단 조성공사 소액수의 견적 공고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1,174,000 2019/06/03 18:05 (2019/06/07 14:00) 강원도 횡성군 공사 봉복산 등산로(사방댐 방면) 우회노선 개설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69,479,000 2019/06/03 17:00 (2019/06/10 12:00) 충청북도 증평군 공사 (입찰대행)바위정원 관광편의시설 정비사업 지역제한 632,900,000 2019/06/03 16:48 (2019/06/10 10:00) 독립기념관 공사 관람로 목재시설물 보수공사 지역제한 150,000,000 2019/06/03 14:20 (2019/06/11 10:00) 경기도 용인시 공사 2019년 동백호수공원 수변 휴게공간 조성공사[긴급] 지역제한 218,100,000 2019/06/03 14:08 (2019/06/10 10:0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공사 노후 어린이공원(양영) 노후시설 재정비공사 수의(소액) 72,580,000 2019/06/03 13:32 (2019/06/10 10:00) 경기도 용인시 공사 송전레스피아 체육시설 개선공사 수의(소액) 47,547,000 2019/06/03 13:23 (2019/06/10 10:00) 경기도 양평군 공사 용문산관광지 조형물 설치공사 수의(소액) 63,427,000 2019/06/03 12:40 (2019/06/07 15:00) 인천광역시 서구 공사 청라지역 보행자도로 시설물 정비공사 지역제한 132,616,000 2019/06/03 10:57 (2019/06/11 10:0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 서울전파관리소 공사 서울전파관리소 청사 순찰로 보강공사 제한경쟁 25,000,000 2019/06/03 10:26 (2019/06/10 10:00) (주)GS스포츠 민간 『2019시즌 FC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쿨링포스시스템 설치공사』 일반경쟁 (130,700,000) 2019/06/03 10:15 (-) 경상북도 경주시 용역 신라달빛공원 국화전시회 연출사업 일반(총액)협상에의한계약 (98,000,000) 2019/06/03 09:39 (-) 경상북도 경산시 공사 폭염 대비 쿨링포그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7,106,000 2019/05/31 19:57 (2019/06/07 10:00) 경기도 군포시 공사 당골어린이공원 등 3개소 정비공사 수의(소액) 48,576,000 2019/05/31 17:13 (2019/06/07 14:00) 서울특별시 공사 천호공원 시설물(배드민턴장 등) 정비공사 지역제한 128,375,000 2019/05/31 15:23 (2019/06/11 12:00) 충청남도금산교육청 남일초등학교 공사 남일초등학교 수목환경조성 공사 수의(소액) 30,048,000 2019/05/31 11:58 (2019/06/05 10:00) 전라남도교육청 용역 순천조례초 잔디운동장 재조성공사 인조잔디 분리회수 및 재활용 처리용역 수의(총액)소액수의 23,802,000 2019/05/31 11:24 (2019/06/07 10:00) 전라북도진안교육청 안천초등학교 공사 안천초등학교 놀이터 조성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8,345,000 2019/05/31 10:57 (2019/06/05 10:00)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공사 매탄공원 야외무대 설치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5,640,000 2019/05/31 09:38 (2019/06/05 10:00)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공사 반달공원 야외무대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4,273,000 2019/05/31 09:18 (2019/06/05 10:00) 서울특별시 중랑구 공사 면목천로 녹지대 정비사업(시민참여) 제한경쟁 147,282,810 2019/05/30 20:33 (2019/06/05 10:00)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공사 암전숲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6,500,000 2019/05/30 18:40 (2019/06/05 10:00)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사 개봉동 산59-7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사업 수의(소액) 101,605,000 2019/05/30 17:38 (2019/06/05 16:00) 강원도 속초시 공사 2019년 대포항 전망대 산책길 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7,393,000 2019/05/30 17:25 (2019/06/05 10:00) 강원도 동해시 물품 무릉3지구 선도사업 스카이글라이더 제작 및 구매설치 일반(총액)규격가격동시 5,600,000,000 2019/05/30 16:35 (2019/06/11 10:00) 경기도 광명시 공사 한솔어린이공원 외 1개소 개선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3,722,000 2019/05/30 15:33 (2019/06/05 16:00) 광주광역시 광산구 공사 수완호수공원 음악분수시설 개선사업 제한경쟁 251,108,000 2019/05/30 13:58 (2019/06/05 14: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2019 퇴계농공단지 기반시설정비사업(노후옹벽개선) 수의(소액) 62,589,000 2019/05/30 13:10 (2019/06/05 14:00) 강원도 춘천시 공사 만천 제1공원외 2개소 정비사업 수의(소액) 69,974,000 2019/05/30 11:43 (2019/06/05 14:00) 경상북도 문경시 공사 문경 오미자테마공원 2공원 조성사업 지역제한 218,000,000 2019/05/30 11:42 (2019/06/07 10:00) 대구광역시 서구 공사 상리양궁장 산책로 조성공사 수의(소액) 89,226,000 2019/05/29 20:03 (2019/06/04 14:00) 강원도 강릉시 공사 경강로2255번길 일원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수의(소액) 60,010,000 2019/05/29 18:10 (2019/06/04 14:00) 서울특별시 관악구 공사 2019년 물을 이용한 친수공간 조성사업 제한경쟁 223,660,000 2019/05/29 18:08 (2019/06/07 10:00)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공사 여의샛강 둘레길 조성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80,957,450 2019-05-29 17:54 (2019/06/05 14:00) 경기도 화성시 지역개발사업소 공사 반석산 외 1개소 노후시설물 정비공사 제한경쟁 112,930,000 2019/05/29 12:24 (2019/06/04 14:00)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공사 월영동 연못공원 산책로 정비공사 수의(소액) 26,380,000 2019/05/29 08:54 (2019/06/04 15:00) 산림사업법인(도시림등조성)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가로수길 고사지 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7,300,000 2019/06/04 09:41 (2019/06/11 10:00) 경상남도 거제시 공사 오비일반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473,000,000 2019/06/03 18:41 (2019/06/11 10:00) 전라남도 여수시 공사 국가산업단지 내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 제한경쟁 1,883,927,000 2019/06/03 17:26 (2019/06/24 12:00) 충청남도 공주시 공사 유구읍 가로수 전정공사 수의(소액) 49,400,000 2019/06/03 14:38 (2019/06/11 14:00) 전라남도 여수시 공사 2019년 자투리땅 쉼터 환경정비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29,676,000 2019/06/03 10:05 (2019/06/10 12:00) 전라남도 강진군 공사 2019년 탐진강 유지보수사업 제한경쟁 138,992,000 2019/05/31 15:27 (2019/06/11 10:00) 충청북도 제천시 공사 시내일원 가로수 곁순제거사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50,000,000 2019/05/30 20:09 (2019/06/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공사 2019년 국가하천 구간(전주천) 하천풀베기 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 50,000,000 2019/05/30 10:01 (2019/06/05 10:00)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공사 2019년 국가하천 구간(전주천,만경강,소양천) 유해식물 제거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 50,000,000 2019/05/30 09:52 (2019/06/05 10:00) 부산광역시 기장군 공사 도시숲(신정관로 가로숲 및 교통섬)조성사업 지역제한 91,110,000 2019/05/30 09:38 (2019/06/07 10:00) 부산광역시 동구 공사 어린이 영어도서관 인근 쌈지공원 조성공사 지역제한 140,615,000 2019/05/29 16:23 (2019/06/04 10:00) 전라남도 곡성군 공사 2019년 섬진강변 가로수 조성사업 지역제한 185,000,000 2019/05/29 11:38 (2019/06/03 14:00) 충청북도 청주시 공사 청원구 가로수 곁가지 제거사업(단가계약) 수의(소액)(단가)-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95,000,000 2019/05/29 10:12 (2019/06/03 10:00) 전문문화재수리업(조경업) 수요기관 업무 공고명 계약방법 기초금액 (사업비) 입력일시 (입찰마감일시) 충청남도 부여군 공사 부여 나성 예초작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48,000,000) 2019/06/03 18:16 (2019/06/10 10:00) 충청남도 부여군 공사 부여 관북리 유적 예초작업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6,743,000) 2019/06/03 18:11 (2019/06/10 10:00) 충청남도 부여군 공사 백제6대왕 숭모전 건립 주변정비공사 제한경쟁 (483,860,000) 2019/06/03 17:53 (2019/06/11 10:00)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공사 2019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전시설 정비공사(성판악지구) 수의(소액) 53,578,000 2019/06/03 10:00 (2019/06/07 14:00)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공사 2019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전시설 정비공사(관음사지구) 수의(소액) 53,019,000 2019/06/03 09:54 (2019/06/07 14:00) 경기도 구리시 공사 아차산5보루 정비공사 지역제한 109,899,000 2019/05/31 19:00 (2019/06/07 12:00) 전라북도 진안군 공사 2019년 진안 마이산 주변 정비공사 수의(소액)-견적입찰(2인 이상 견적 제출) 34,510,000 2019/05/31 16:16 (2019/06/07 15:00)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공사 삼척 준경묘 조림지 가꾸기 공사 일반경쟁 (134,000,000) 2019/05/29 11:32 (2019/06/14 10:00)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 물관리, 국민참여형 물관리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환경부는 ‘물관리기본법 시행령안’이 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오는 13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물관리기본법’은 통합 물관리의 법적 기반이 되는 최상위 법률로서 지난해 6월 12일에 공포됐으며, 이후 1년간 하위법령 제정 작업을 거쳐 법 체계가 완성됐다. ‘물관리기본법’ 시행은 국가차원의 통합적 물관리, 참여·협력 바탕의 유역중심의 물관리 체계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의 의미를 가진다. ‘물관리기본법’은 국가와 지자체가 물관리 정책을 수립·시행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물관리의 기본이념과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가물관리위원회(이하 국가위원회)’와 ‘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유역위원회)’ 설치,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이하 국가계획)’과 ‘유역물관리종합계획(이하 유역계획)’의 수립 및 물분쟁 조정제도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국가위원회에 유역별로 유역위원회를 두도록 하는 법 규정에 따라 시행령에서는 법률에서 위임하고 있는 유역위원회의 명칭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유역위원회로 정하고 각 유역위원회별 관할구역을 설정했다. 또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 위원 외에 추가되는 공무원과 공공기관을 정했다. 국가위원회 위원이 되는 공무원을 산림청장과 기상청장으로 하고,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및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의 장을 국가위원회 위원으로 포함했다. 각 유역위원회의 위원이 되는 공무원을 각 유역위원회 관할구역을 담당하는 유역·지방환경청, 홍수통제소, 물환경연구소, 지방국토관리청, 지방기상청, 지방산림청의 장과 농업용수 관리 업무 경험이 있는 농식품부 공무원으로 정했고, 국가위원회 위원이 되는 공공기관의 임직원도 유역위원회 위원으로 포함했다. 국가·유역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회의, 분과위원회, 사무국에 관한 세부사항도 정했다. 국가·유역위원회의 정기 회의는 분기별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위원회 심의사항에 대한 사전 논의를 위해 분야별로 분과위원회를 각 15명 이내로 구성하도록 했다. 또한 국가위원회에 설치되는 사무국은 위원회 심의안건 검토, 협의·조정 등 위원회 운영 지원과 홍보·대외협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관리위원회 구성·운영과 더불어 물관리 최상위 법정계획에 관한 세부사항도 규정했다. 환경부 장관이 수립하는 국가계획에 물관리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국가계획의 연도별 이행상황 평가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유역위원회 위원장이 수립하는 유역계획에는 유역 내 물산업 진흥에 관한 사항과 유역계획의 연도별 이행상황 평가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물관리 관련 법률에 포함된 주요 법정계획이 국가·유역계획 체계에 맞춰 수립되도록 했다. 계획을 수립·변경할 때 물관리위원회에서 국가·유역계획과의 부합여부를 심의받아야 하는 계획으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국가물환경관리기본계획, 지하수관리기본계획 등이 있으며, 이로써 물관리 관련 법정계획 간 일관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마련됐다. 물과 관련해 다툼이 있는 경우 국가·유역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수 있는 ‘물분쟁 조정제도’의 세부내용도 규정했다. 둘 이상의 유역에 걸친 물분쟁은 국가위원회에서, 유역 내에서 발생한 물분쟁은 유역위원회에서 조정하며, 다만, 유역 내에서 발생한 물분쟁이라 하더라도 공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분쟁은 국가위원회에서 조정하게 된다. 또한 물관리위원회는 사람이 사망하는 등 주민의 건강·생활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거나 사회적으로 갈등이 심한 물분쟁에 대해서는 당사자의 신청 없이도 조정절차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물 관련 고질적인 갈등 해소의 초석을 마련했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조경기사 종목을 제외한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이 시행된다. 조경산업기사와 조경기능사는 과목명과 일부 내용이 개편돼 2022년부터 적용을 받게 된다. 정부는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오는 11일부터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개정에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국가기술자격을 현장 직무에 맞게 신설, 개선, 폐지 등 개편하는 내용이 반영됐다. 고용부는 지난 5월 1일 조경 6개 단체의 입법예고 의견 전달, 의견수렴 간담회, 관계부처 협의 결과 조경기사를 이번 개정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의 추가적인 의견수렴을 거쳐 다음번 개정 시 재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개정 시행규칙에 따르면, 먼저 정부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빅데이터분석기사,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정밀화학기사,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신발산업기사 등 총 5개 자격을 새로 만든다. 신설되는 자격에 대한 시험 및 자격증 취득은 검정 위탁 기관 선정, 출제 기준 작성과 시험 문제 출제 등의 준비를 거쳐 2020년 하반기부터 가능할 예정이다. 기존에 운영되는 자격 종목 중 일부는 현장에서 원하는 기술과 직무내용 중심으로 개선된다.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화학 분석 기능사 등 49개 종목은 시험 과목이 이론·학문 명칭에서 직무 능력 명칭으로 바뀐다. 치공구 설계 산업 기사는 직무가 작고, 생산 설비의 자동화로 치공구 수요가 감소해 내용이 유사한 기계 설계 산업 기사로 통합한다. 현장 수요, 산업 특성과 전망 등을 검토해 시장에서 활용하지 않는 반도체 설계 기사 등 4개 자격은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폐지되는 자격은 기존에 자격 취득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고려해 2022년까지는 검정을 하며 이후에는 시행을 중단한다. 기존에 취득한 자격의 효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4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고용부 소관 법률인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산업인력공단만 과정평가형 자격의 종목별 편성기준 수립 및 공고, 교육·훈련과정 운영 확인, 외부평가 출제 및 채점 등 관리 업무를 위탁 운영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검정형 자격을 위탁 운영하는 모든 기관이 관리 업무를 할 수 있게 된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LH가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미세먼지와 폭염 등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신기술을 공모한다. LH는 중소기업 초기판로 지원을 통한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실현을 위해 ‘2019년도 2차 신기술 공모’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2차 공모에서는 공모분야를 특화해 최근 주요 이슈인 미세먼지·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 및 공동주택 5대 주요하자 관련 신기술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며, 정부인증이나 국내 특허를 받은 신기술·신자재만 응모 가능하다. 접수된 신기술·신자재는 신기술심의위원회에서 현장 적용 가능 여부 및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채택 여부를 결정하며, 채택된 신기술·신자재는 설계부서 등 관련부서 협의를 거쳐 LH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공모신청 방법은 7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신청서를 인터넷으로 우선 접수한 뒤 관련 서류를 5일까지 LH 동반성장처로 우편 또는 방문 제출하면 된다. 심사 결과는 8월 중순에 발표될 예정이다. 공모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LH 홈페이지에 게시된 ‘2019년 2차 우수 신기술 발굴 공모’ 공고를 참고하면 된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한반도 자생 수목에 대한 기재, 분포정보, 생육환경 정보 등을 포함한 ‘한반도 수목지(Ⅱ)’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번에 발간되는 ‘한반도 수목지(Ⅱ)’에는 병조희풀, 가시딸기, 산분꽃나무 등 자생수목 25종에 대한 상세한 기재, 분류학적 논의, 자생지 분포, 형태학적 특성, 형태형질 도해, 화분학적 특성, 세포학적 특성, 생육환경 특성, 용도 등 주요 국가 수목유전자원의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장기사업을 통해 국가 식물지 및 수목지를 발간하였으며,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이미 오래전에 식물지를 완성하였다. 이에, 국립수목원에서는 2015년부터 한반도 수목에 대한 형질 특징과 변이 양상을 분석하고, 주요 식별형질을 파악하여 분류체계 재정립 및 산림자원활용을 위한 ‘한반도 수목지 발간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본 책자는 연구 결과의 일환이며, 국립수목원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은 “우리나라 생물주권 확보 및 보전을 위하여, 한반도 자생수목에 대한 종합적인 특성연구를 통해 한반도 수목지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서울시와 국가보훈처는 전국 대학 재(휴)학생을 대상으로 7월 5~6일(무박 2일) 숙명여자대학교에서 ‘2019 대학생 아이디어 워크숍: 효창공원 해커톤’을 개최한다. 효창공원은 오는 2024년 일상 속 추모공간이자 공공공간으로 다양한 기능이 공존할 수 있는 100년 공원으로 장기적 비전을 갖고 재조성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 4월 ‘효창 독립 100년 공원 구상(안)’을 발표하고 효창공원의 재구조화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국가보훈처와 함께 ‘효창독립 100년공원 포럼’ 운영을 계획 중이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와 전문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효창공원 해커톤은 효창공원 조성 기본구상·계획 과정에서 미래세대인 젊은 청년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구현을 통해 효창공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시민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열리는 대학생 공모전이다. 해커톤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참여자가 팀을 구성해 한정된 시간 내에 마라톤을 하듯 긴 시간 쉼 없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결과물을 만드는 행사를 뜻한다. 이번 효창공원 해커톤은 대학생 6인과 청년멘토 2인으로 구성된 총 8명이 한 팀이 되어 약 25시간 동안 효창공원과 주변부 답사, 아이디어 회의, 전문가 멘토링 등으로 이뤄진다. 효창공원 해커톤의 주제는 ‘효창독립 100년공원 장소마케팅 아이디어와 실현방안 제안’이다. 해커톤은 공간설계1, 공간설계2, 영상, 브랜딩, 역사문화콘텐츠 5개 분과별로 진행되며, 전공과 상관없이 참여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최우수상 1팀, 우수상 1팀, 참가상 3팀을 선정하고, 모든 참가자에게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수상작 중 우수 작품에 한해 10월 중 예정인 효창활용백서(EXPO)에 참가해 결과물을 발표하고 제안한 아이디어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전국 대학 재(휴)학생 3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할 예정이며, 신청은 5월 21일까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 [환경과조경 박광윤 뉴스팀장] 1999년 호텔 같은 아파트를 지향하며 롯데캐슬84를 시작으로 론칭된 ‘롯데캐슬’은 유럽 중세성을 디자인 모티브로 해 화려한 문주와 금빛 독수리로 대표되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오랜 기간 사랑받아 왔다. 하지만 사회변화와 고객의 변화된 니즈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2015년 롯데캐슬 브랜드는 16년만에 대대적인 변화를 통해 ‘롯데캐슬 2.0’을 발표했다. 기존의 고전적이고 중후한 이미지를 벗고, 클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Modern Legacy”를 콘셉트로 간결하며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탈바꿈한 것이 주요 골자이다. 브랜드 로고와 폰트부터 외관, 단지 출입구, 펜스, 조, 공용시설에 이르는 모든 부분을 토탈 디자인으로 리뉴얼했다. 그리고 2019년 1월, 롯데캐슬은 다시 한번 새로워진 디자인 ‘롯데캐슬 3.0’을 선보였다. “Modern Legacy”라는 디자인 정체성은 유지하되, 보다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젊은 감각이 강조된 디자인 철학을 통해 디자인적인 변화를 꾀했다. 롯데캐슬 3.0은 2019년 분양되는 일부 현장부터 적용되며 앞으로도 브랜드 디자인 전반에 대한 리뉴얼을 정기화해 트렌드를 반영하고 또 선도하는 브랜드로써 자리매김 하고자 한다. 장식 개념 벗어난 아파트 조경, 독자 공간으로 발전 사실 2000년 이전에는 건축과 지상주차장으로 구성된 외부공간의 남은 부분을 채우는 것이 조경의 역할이었다. 아파트 조경은 나무를 심는 것으로만 여겨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하지만 2000년대 각 건설사마다 아파트를 브랜드화하고 아파트의 인기가 높아지며 아파트만이 가진 장점인 공용 공간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져갔다. 고객들은 우리 집이 아닌 우리 아파트를 자랑했고 외관, 커뮤니티, 조경 등 공용 공간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다. 지하주차장이 보편화되면서 더욱 여유로워진 외부 환경은 조경의 역할을 높이는 기회 요소가 됐다. 이 시기 롯데캐슬의 조경은 유럽 중세성을 모티브로 화려한 유럽 건축양식의 문주와 이에 어우러지는 로툰다와 분수, 자수화단이나 조형물을 상징처럼 적용하며 하나의 꾸며진 경관으로써의 조경에 초점이 맞춰졌다. 2015년 롯데캐슬의 리브랜딩에 발맞추어 조경 분야 역시 대대적인 변화가 진행됐다. 조경을 공간을 꾸며주는 장식이 아닌 공간 자체의 의미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조경을 활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에 관심을 갖고 이를 위해 각종 시설물의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고 산책로, 휴게공간을 확충하며 킨포크(kinfolk, 가까운 사람들과 자연 속에서 여유롭게 사는 것을 지향),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멀리 나가지 않고 집이나 근방에서 휴가를 보내는 것) 등의 사회 트렌드에 맞춰 대규모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파티 테이블과 결합된 정원형 휴게공간 ‘파티가든’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를 더 가다듬고 발전시켜 2017년에는 ‘여행 같은 삶의 공간’을 만든다는 조경 콘셉트를 정의했다. 삶에 지친 순간에도 집 앞을 나오고 들어가면서 만나는 조경 공간을 통해 짧은 순간 여행의 설렘을 험하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풍요로운 일상의 배경이자 이색적인 휴식공간으로서의 조경을 지향해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콘셉트를 넘어 과거 조경이 건축 및 타 공종에서 남겨둔 공간을 채우는 수동적인 설계에서 보다 적극적인 설계로 나아가며 좀 더 경험적인 요소를 강조한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롯데캐슬 3.0에서 선보이는 조경은 공간을 경험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미세먼지 등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 아이들에게 자연을 선보이는 역할, 단지에 시그니처 공간을 만드는 것에 더욱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등 그 업역을 넓혀 가리라 예상하고 있다. 조경 업그레이드, 단지 전체 콘셉트에 영향력 확대 아파트 조경은 다양한 레벨과 속도에서 관망되고 이용된다. 보행자 시점에서 보이는 경관부터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에서의 경관도 있고, 다양한 높이의 세대에서 내려다보기도 한다. 예전에 말하던 로얄층과 달리 단지의 조경이 넓게 펼쳐지는 저층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경 디자인은 다양한 속도와 레벨에서의 경관을 고려하게 된다. 적용되는 수종도 다양해지고 있다. 서울 내에도 은목서 등의 남부 수종이 도입되기도 한다. 식재 방식도 다양하다. 여러 수종이 심겨진 숲 경관뿐만 아니라 단일 수종으로 만들어내는 숲 경관도 있으며, 한 그루 독립식재로 작품 같은 경관을 만들어내기도 하는 등 공간의 콘셉트에 맞춘 다양한 식재 연출이 시도되고 있다. 석가산, 진산수 등등으로 명명되는 산수정원이나 대형 휴게시설을 의미하는 티하우스 등이 보편화되면서 새로운 특화시설이나 공간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각 건설사마다 찾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경향 속에 롯데건설에서는 조경 콘셉트에 맞춰 다양한 공간의 대안을 계획하고 있다. 단지 안의 보행길은 숲 사이, 물 위를 넘나들도록 계획해 입주민들이 단지 곳곳을 누리며 자연을 좀 더 가까이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놀이, 휴게, 운동 등 외부 시설 전체의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해 활용도를 높이는 등 현장 별로 새로운 모습의 조경 공간을 선보일 예정이다. 롯데건설 디자인연구소 조경 파트는 건축, 환색채, 구조 등 타 분야와도 긴밀한 협업을 통해 공간을 다채롭게 활용하기 위해 고민하고, 더 나아가서는 주도적으로 전체 단지의 테마와 콘셉트까지 조경에서 제시하는 노력도 해나가고 있다. 조경품질기준 세분화…지속적 개선 노력 롯데캐슬의 어린이 놀이터는 기존의 조합 놀이대 형태에서 벗어나 조형물화하거나 운동을 결합한 형태, 녹지와 어우러지는 숲 놀이터의 형태로도 선보일 예정이다. 운동기구에서도 맨손 운동기구, 야외 크로스핏 공간, IoT와 연계된 시설 등 다양한 신상품을 발굴해 현장에 반영 중이다. 입주민의 활용이 많은 대형 휴게시설(티하우스)이나 야외테이블 세트, 통학 대기장소인 키즈스테이션 등의 디자인 개발 및 업그레이드도 진행 중이다. 롯데건설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쾌적한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높은 열망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조경 계획 시 풍성한 수목 계획과 다양한 수공간 조성을 고려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 수종을 식재 계획에 반영하고 수공간에 미스트 시설을 결합하는 등 조금 더 쾌적한 외부 공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진행하고 있다. 롯데건설에서는 조경에 대한 품질기준을 세분화해 마련하고 우수 설계사, 전문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좀 더 나은 디자인, 새로운 공간과 소재, 디테일한 아이디어를 발굴해 프로젝트에 적용해 나가고 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오는 9월 개막하는 정원박람회를 위한 ‘정원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올해의 공모주제는 ‘길과 정원, 쉬어가도 괜찮아’로, 국민 누구나 지원 가능한 일반부와 관련분야 대학, 대학원, 직업학교 재학생 또는 졸업예정자가 지원할 수 있는 학생부로 나누어 진행한다. 접수는 7월 1일부터 10일 16시까지 온라인으로 할 수 있으며, 심사는 1차 서류심사와 2차 현장심사로 진행된다. 서류심사로 선정된 14개의 작품(일반부 7개, 학생부 7개)은 오는 9월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에서 열리는 ‘한국도로공사 정원박람회’에 참가자가 직접 설치해 전시하게 된다. 일반부에게는 180만 원이, 학생부에는 100만 원이 정원조성비용으로 지급된다. 현장심사는 설치된 작품을 대상으로 일반부와 학생부 각 3개 작품을 선정해 표창 및 최대 200만원의 포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도로공사에 따르면 올해는 일반부의 정원 면적을 4㎡에서 7.5㎡로 늘리고, 정원 조성지원비를 작년보다 늘렸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사항은 한국도로공사 시설처로 연락하면 된다. 김동인 한국도로공사 시설처장은 “이번 공모전에서 선정된 작품들은 정원박람회 이후에도 전주수목원에서 1년간 전시할 예정”이라며, “직접 만든 정원이 수목원의 주요 콘텐츠가 되는 만큼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전주시가 천만그루 정원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한국은행 앞에 ‘나눔의정원’을 조성했다. 시는 3일 한국은행 전북본부 앞 팔달로에 조성된 ‘나눔의정원’에서 ‘한국은행 직원들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팔달로에 조성한 ‘나눔의정원’ 완공을 기념해 소나무를 심고, 한국은행이 기증한 나무들을 은행 직원들과 함께 심었다. 한국은행은 이번 나눔의정원 완공을 기념해 750만 원 상당의 반송 등 7종 1200주를 기부했다. 전주시와 전주시의회, 푸른전주운동본부, 한국은행은 이날 향후 정원을 지속적으로 가꾸고 관리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협약도 체결했다. 이에 앞서, 시는 한국은행 앞 화단을 공원 형태로 조성해 시민들을 위한 쉼터공간인 나눔의정원으로 만들었다. 나눔의정원 산책로에는 녹음수와 다양한 빛깔과 질감의 나무들, 계절별로 꽃이 피는 초화류 등 8종 5300본이 식재됐으며, 의자 등 편익시설이 설치돼 쉼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대전시가 샘머리공원 일원을 센트럴파크로 조성하기 위한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개최한다. 대전시는 오는 3일부터 8월 16일까지 ‘당신이 꿈꾸는 센트럴파크는 어떤 모습인가요?’를 주제로 창의적이고 실현가능한 아이디어를 공모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1990년대 둔산지구 개발과정에서 도로와 녹지·공원이 단절되어 공원이용에 불편하고 안전성이 결여된 샘머리공원 일원의 생태회복을 통해 도심 열섬화 등 이상기후 현상을 줄이고 쾌적함을 높이기 위해 추진된다. 공모분야는 둔산지역 내 공원 간 녹지축 연결, 공원별 공간구성, 보행환경개선, 자율주제 등 4개 분야다. 시상은 청소년, 대학생, 일반부로 구분해 각 부문별 최우수상 1점, 우수상 2점, 장려상 10점 등 총 39점을 선정해, 총 1000만 원의 시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 제안한 아이디어와 공원을 걸으면서 개선방안을 찾는 스마트엔티어링, 직접 찾아가는 시민 설명회 등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본계획 용역에 반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민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계획안을 마련해 년차별로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센트럴파크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 손철웅 환경녹지국장은 “센트럴파크는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생태녹지축 연결을 통한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는 개념”이라며, “이번 공모전에 많은 시민들의 참여를 부탁드리며, 소통과 협력 속에서 효용성이 높고 상징성이 있는 사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상명대학교 = 이수민 통신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는 지난 5월 31일 서울 양재 EL타워에서 ‘상명대학교 환경조경 교육 3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30주년 기념행사는 교수, 학생을 비롯한 동문 및 학계, 업계 관계자 약 240여 명이 참서거한 가운데, 김귀곤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4차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도시’에 대한 특강과 30주년 기념 ‘희망의 벽’ 제작 등의 프로그램으로 꾸려졌다. 상명대 환경조경 교육은 1989년 관상원예학과에서 환경녹지학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환경원예조경학부와 환경조경식물산업학부를 거쳐 환경조경학과로 독립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구본학 상명대 환경조경학과장은 환영사를 통해 “산업의 흐름이 급속히 바뀌면서 교육 시스템 또한 변화할 것을 강요받고 있다. 그런 흐름 속에서 전통을 이어가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변화를 수용해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변화하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모두 애정 어린 관심으로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부탁했다. 이어 방광자 상명대 명예교수는 축사를 통해 “조경학과로는 다른 학교에 비해 15년 정도 늦게 출발했기에 실내식물과 그 이용 및 실습과목을 추가해 우리만의 독특함을 살리려고 무던히 애썼다. 앞으로도 타 대학의 추종을 불허하는 생태조경식물, 특히 실내식물과 환경식물을 중심으로 환경조경학과가 남다르게 꾸준히 발전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김기환 전 수성엔지니어링 부사장이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룹한 어소시에이트는 3일 인사발령을 단행하고 신임 사장에 김기환 전 수성엔지니어링 부사장을, 신임 이사에 고미진 전 SK임업 실장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김기환 그룹한 신임 사장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혁신도시건설사업처장, 지역균형개발처장, 시설사업처장, 전략경영실장, 해외사업처장 등을 역임했고, 수성엔지니어링에서 부사장으로 재직했다. 고미진 이사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SWA그룹과 AECOM사에 근무했으며, 국내에서는 조경설계 서안에서 근무하고 SK임업에서 환경설계실장을 지냈다.
  • 2015년 대웅제약과 아름다운재단이 후원하고 통합놀이터만들기네트워크가 주최가 되어 어린이대공원에 통합놀이터의 가치를 지향하는 ‘꿈틀꿈틀 놀이터’를 조성했다. 이후 아이들의 놀 권리, 새로운 형태의 놀이터를 요구하는 사회적 흐름과 맞물려 통합놀이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고 여러 지역에 조성되고 있다. 그런데 통합놀이터라는 단어가 우리 사회에 알려지기 전에도 이미 통합놀이터의 가치를 추구하는 놀이시설은 동네 놀이터 곳곳에 있었다. 이미 마주쳤던 통합놀이시설 아래의 첫 번째 사진은 서울시내 한 놀이터에서 본 조합놀이대 모습이다. 조합놀이대에 오르는 계단이 두 방향으로 나아있다. 한 쪽은 계단 폭과 높이가 좁고 낮은 일반적인 계단이고, 다른 쪽은 계단 폭이 넓고 높이가 높다. 그런데 다른 사진을 보면 계단이 왜 두 곳에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높은 계단은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몸을 가누기 어려운 아이가 시설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영어로는 ‘transfer systems’라 하는데 우리말로는 ‘옮겨타기 시스템’이라 번역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미국의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ccessibility Guidelines(미국 장애인법 접근성 지침, 이하 ADAAG)’에 제시돼 있다. 이 가이드라인은 1990년에 제정된 장애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시민권법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미국 장애인법, 이하 ADA)’에 따라 작성된 것이고 놀이터를 포함해 여러 환경에서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옮겨 타기 시스템은 ‘옮겨타기 플랫폼’, ‘옮겨타기 계단’, ‘옮겨타기 지지대’로 구분된다. 각 요소의 디자인 원칙과 규격은 가이드라인에 자세히 명시돼 있다. 그런데 앞서 보았던 국내의 조합놀이대를 자세히 살펴보면 옮겨타기 시스템 가까운 곳에 낮은 미끄럼틀이 있다. 조합놀이대의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갈 수 있는 아이는 올라가면 되고, 그렇지 않은 아이는 위험을 무릅쓰고 더 오를 필요 없이 낮은 곳의 미끄럼을 타면 된다. 이 시설물이 설치된 놀이터 어디에도 옮겨타기 시스템이나 시설물 구성의 이유를 설명하는 안내문은 없지만 아이들은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이 시설물을 즐겼을 것이다. 통합놀이터가 지향하는 바이기도 하다. ‘모든 아동이 놀이터나 놀이시설에 접근해 자신의 능력에 따라 놀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렇게 우리나라에 수입된 미국의 제품이나 미국의 제품을 참조하여 제작된 국내 놀이시설물 덕분에 인식하지 못하고 통합놀이시설물을 이미 만나고 있었듯이, 통합놀이터는 그리 별난 게 아니다. 통합놀이터,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 영어로는 ‘inclusive playground’인 ‘통합놀이터’라는 단어를 처음 접한 몇몇 사람들은 단어에서 장애아와 비장애아가 함께 노는 놀이터라는 개념이 전달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통합’이라는 단어를 장애아와 비장애아의 ‘통합’만으로 한정시키는 건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도 한다. 그런데 왜 ‘통합’이라는 단어를 쓸까? ‘통합 놀이터’는 장애인을 장애인 시설에 고립시키지 말고 사회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어울려 살도록 해야 한다는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는 시민운동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2018년 ‘어른이 되면’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개되었고 같은 이름으로 책도 발간됐다. 이 영화의 감독은 18년간 장애인 수용시설에 살았던 중증발달장애인 동생이 시설에서 나와 자신과 사회에서 살기 시작한 첫 6개월의 이야기를 다뤘다. 영화 제작 당시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에서 제작비 모금이 이뤄졌다. 장애인의 ‘탈시설’에 대한 이해를 위해 텀블벅에 실렸던 소개 글의 일부를 옮겨 본다.“시설은 보살핌과 지원보다는 통제와 ‘순육(順育)’을 제공합니다. 순육이란 말 그대로 순하게, 고분고분하게 되도록 기른다는 뜻입니다. 시설은 장애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돌보고 지원하기보다는 장애인들을 시설의 규칙에 맞추어 통제합니다. 시설은 장애인들에게 ‘조용히, 얌전히, 가만히 시설의 규칙에 따르기’를 요구합니다.” (자료: https://tumblbug.com/grown_up) 장애인이 몇 명 이용하냐구요? 통합놀이터를 지어야 한다고 하면 받는 질문이 있다. ‘그 동네에 장애아가 몇 명이 있는지?’이다. 또 지었다고 한다면 ‘몇 명의 아동이 이용하는지?’라는 질문도 받는다. 물론 수요조사나 이용 후 평가는 보다 정밀한 현장 진단을 위해 필요하지만, 통합놀이터나 통합놀이터 디자인의 준거가 되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추구하는 바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질문이다. 우리가 계단 옆에 경사로를 놓는 건 단지 장애인만을 위한 건 아니지 않는가? 유모차를 모는 사람, 관절이 좋지 않은 사람도 경사로를 선호한다. 어린이대공원 꿈틀꿈틀 놀이터에 벨트 그네를 설치했더니, 몸을 가누기 어려운 장애아뿐만 아니라 혼자 그네 줄을 잡기 어려운 유아들도 그네를 탈 수 있게 되어 반응이 좋았다. 또 높이가 있는 모래테이블은 다양한 방식의 놀이를 유도한다. 턱이 없는 회전무대는 휠체어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도 하지만 안전성이 높아져 많은 아이들에게 놀이 기회를 제공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이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듯이, 통합놀이터도 장애아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모든 아이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아이들이 자신의 신체적 능력과 특성에 맞게 그리고 그 차이를 넘어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추구한다. 통합놀이터를 지어야 한다고 하면 받는 질문이 있다. ‘그 동네에 장애아가 몇 명이 있는가?’통합놀이터는 그리 별난 게 아니다. 계단 옆에 놓인 경사로가 단지 장애인만을 위한 건 아니지 않는가? 유니버설디자인이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듯이 통합놀이터도 장애아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통합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 Ver 1.0’이 필요하신 분들은 조경작업소 울([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면 된다. 김연금 / 조경작업소 울 소장
  •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국립공원공단이 선진화된 국립공원 관리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기 위한 연수과정을 운영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몰디브, 몽골, 파키스탄, 중국, 태국 등 5개국 국립공원 직원 12명이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관리기법을 배우기 위해 방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들은 3일부터 오는 29일까지 4주간 국립공원공단이 운영하는 ‘외국공원청 직원 연수 과정(Korea National Park Friendship Program: KNPFP)’에 참가한다. 이번 교육에 참가하는 외국 공원청 직원들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국립공원공단 본사에서 사전교육을 받고 이후 현장에서 공원관리 정책과 관리 체계 등 우리나라의 선진 국립공원 관리 기법을 배운다. 특히 덕유산, 오대산, 치악산, 변산반도, 한려해상 등 5개 국립공원에서 자원보전, 탐방객 안전관리, 공원시설물 관리, 지역사회협력 등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관리 전반을 배울 예정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으로부터 한국의 공원관리 기법을 배우고 싶다는 요청이 지속됨에 따라 2014년부터 외국공원청 직원연수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 말레이시아와 몽골 2개국 6명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총 6개국 37명의 개발도상국 국립공원 관리자들이 한국의 선진기술을 체험했고, 참여를 원하는 국가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올해는 총 6개국에서 22명이 지원했으며 보호지역 근무 경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최종 5개국 12명이 선발됐다.
  • [환경과조경 박광윤 뉴스팀장] 포스코건설은 2002년에 아파트 브랜드인 더샵(The Sharp)을 론칭했으며, “반올림”을 뜻하는 음악 기호인 “#(샵)”처럼 주거공간 속에서 삶이 더욱 풍부해지고, 즐거워지고, 세련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핵심 가치인 고객에 대한 깊은 “헤아림”을 바탕으로 “본질에 집중하며 한 땀 한 땀 정성과 세심한 배려를 통해 삶에 진정한 풍요를 제공”하기 위해 타 브랜드와 차별화된 고객중심적인 상품을 개발·적용하고 있다. 이렇게 고객과 꾸준히 소통해온 결과, 2019년에는 브랜드 고객충성도 아파트 부분 3년 연속 1위를 수상하는 등 고객의 마음에 한 발짝 더 다가가고 있다. 더샵 조경의 강점은 “헤아림”에 담긴 철학을 바탕으로 한 “이용하는 조경”에 있다. “자연에 대한 존중”과 “인간에 대한 사랑”을 담은 인본주의 정신에서 출발한 더샵 조경은 단순히 조성된 공간을 바라보고 정해진 활동을 하는 공간계획에서 벗어나 직접 참여하고 주도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그 안에서 미학적 감동을 느끼고, 이웃과 교류하며, 삶을 재충전할 수 있는 외부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2018년 한경주거문화대상 단지조경 부분에서 상반기와 하반기 연속으로 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는 등 고객들의 마음과 발맞추어 가고 있다. 생태적 공간에서 감성적 공간으로 변화 포스코건설의 아파트 조경은 2000년대 중반부터 단지 내 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대규모 공간이 마련되면서 최대한 자연과 유사하고 생태적인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점차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단지 안에서 숲과 공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의 수목을 조화롭게 식재했다(송도 더샵 엑스포, 더샵 센텀파크 등). 2010년대 초반부터는 자연의 절경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을 계획했는데, 대표적으로 “산수정원”의 도입을 꼽을 수 있다. 단지 중심에 거대한 산맥과 폭포, 계류의 형상을 기암괴석을 활용해 축소해 표현함으로써 자연 속에 아파트가 우뚝 솟아있는 느낌을 주어 지금까지도 고객들에게 사랑받는 조경기법으로 자리잡고 있다(청라 더샵 LAKE PARK 등). 2010년대 중반에는 고객의 니즈(needs)를 헤아린 감성 공간을 선보인 시기로, 더샵 필드(잔디마당), 더샵 키즈풀(어린이 물놀이장), 더샵 팜가든(텃밭) 등이 있다. 이 공간들은 단지 내 우수한 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 세대가 일정 공간을 사적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더샵의 대표적인 감성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하남미사 더샵 리버포레, 펜타힐즈 더샵 1차, 대현 더샵, 동탄역 더샵 센트럴시티 2차 등). 포스코건설은 2010년대 후반인 현재도 지속적으로 고객에 대한 깊은 헤아림을 바탕으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가며 더샵만의 아이덴티티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입주민 각각의 마음을 헤아린 행복한 외부 공간 지향 최근 트렌드 및 사회적 흐름을 분석해보면, “소확행” 등 ‘나’와 ‘행복’에 중심을 두고, “가심비” 등 ‘마음’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삶을 원하며, “만물의 서비스화”등 삶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움직임이 크다. 더불어 IoT와 AI 등 산업기술의 발달로 위와 같은 삶의 실현이 앞당겨지고 있으며, 미세먼지․폭염과 같은 환경문제에도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환경 이슈에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외부 공간 조성이 우선으로 고민되어야 하고, 아파트 조경은 공공 공간이지만 구성원 각각의 ‘행복’을 위해 ‘마음’이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조경 계획이 필요하다. 더샵 조경의 특화는 ‘헤아림’의 철학에 바탕을 두고 쾌적한 외부 공간 조성과 각각의 구성원의 ‘행복’을 위해 ‘마음’이 원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한다. 이에 기본방향은 나에게 집중해 모든 구성원의 가치를 같이 만들어가자는 의미의 “One for One Promise”의 콘셉트를 중심으로 “More Collaboration”을 통한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의 조합, 새로운 기술의 접목 등 하나의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가능한 외부 공간을 구현하고자 한다. 더샵조경이 새롭게 선보일 대표적인 조경 공간으로는 ‘포키즈 원더랜드’, ‘더샵 페르마타’, ‘테마 산책로(All in One-Way)’를 꼽을 수 있고, 환경 이슈에 대응하고자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미스트 + 미세먼지 신호등’과 ‘플랜테리어’를 도입했다. 포키즈 원더랜드 포키즈 원더랜드는 기존의 놀이터를 업그레이드한 공간으로 녹지를 추가하고 다양한 형태의 놀이시설물과 휴게시설물이 복층으로 연결돼 아이들이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주도적인 놀이를 할 수 있으며, 부모들은 뛰어노는 아이들을 지켜보면서 이웃들과 교류할 수 있는 놀이·휴게시설이다. “More Collaboration”을 통해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더샵만의 대표적인 조경상품이다. 더샵 페르마타 페르마타(Fermata)는 늘임표로 불리기도 하며, 곡에서 박자의 운동을 잠시 늦추거나 멈추도록 지시하는 음악기호이다. 더샵 페르마타는 프랑스어로 철을 지칭하는 ‘Fer’, 스페인어로 초화를 의미하는 ‘Mata’가 합쳐져 천천히 느리게 즐기는 철의 정원을 뜻한다. 포스코 상징인 ‘철’과 ‘초화’가 어우러진 더샵의 아이덴티티가 돋보이는 공간이다. 테마 산책로(All in One-Way) 계절에 따라 변하는 가로수를 벗 삼아 어린아이부터 노부부, 그리고 반려동물까지 함께 즐기고 걷고 싶도록 곳곳에 테마를 담은 산책로다. 산책을 하면서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과 풍요로운 삶을 만들 수 있다. 미스트 + 미세먼지 신호등 & 플랜테리어 2019년 최대의 환경이슈로 미세먼지를 꼽을 수 있다. 기상청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알아보기 쉽게 전달 받을 수 있는 ‘미세먼지 신호등’과 주변 미세먼지의 응집과 온도저감에 우수한 미스트를 각 시설물에 연계해 설계에 도입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는 올해 9월 준공 예정인 부산 LCT 소공원에 가장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식물(Plant)과 인테리어(Interior)의 조합으로 탄생한 ‘플랜테리어’는 평소 녹지로 활용하지 않는 공간에 녹지를 부여함으로써 쾌적함을 확보하며, 경관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올해 9월 준공 예정인 세종 더샵 예미지 M3블록의 동 측면에 약 750㎡의 벽면 녹화가 계획돼 있으며, 자동 관수 및 동파 방지 배수 등의 신기술이 도입된 현장이어서 우수한 활착을 기대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양천구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원아를 대상으로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양천근린공원 통합놀이터 유아 장애인권 교육프로그램'을 올해 처음 도입한다고 3일 밝혔다. 양천구 장애인권교육센터와 협업해 운영하는 ‘양천근린공원 통합놀이터 유아 장애인권교육프로그램’은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원아를 대상으로 장애를 편견 없이 이해하도록 돕고,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다. 교육은 지난해 양천구가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해 장애·비장애 아동 누구나 마음껏 놀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 통합놀이터(쿵쾅쿵쾅 꿈마루놀이터+실내 놀이공간인 키지트) 내에서 진행된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여우와 두루미 영상교육 ▲일반 놀이터와 통합놀이터의 같은 점과 다른 점 찾아보기 ▲실내·외 통합놀이터 시설 체험하기 ▲통합놀이터에서 함께 노는 방법 찾기 ▲소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기 등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내용의 교육을 받게 된다. 교육은 10월까지 3차례에 걸쳐 진행되며, 양천구청 홈페이지 통합예약시스템에서 각 회차 교육에 참여할 기관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양천근린공원 통합놀이터 유아 장애인권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통합놀이터를 더욱 활성화하고, UN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아이들의 놀 권리와 차별받지 않고 존중받을 권리를 구현해 아동친화도시 양천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서울시가 2022년까지 횡단보도 주변과 교통섬에 녹음을 제공할 수 있는 ‘그늘목 쉼터’ 400개소를 설치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시 3천만그루 나무심기」 정책의 일환으로 2022년까지 연간 4억 원씩 투입하여 그늘목 쉼터 총 400개소 조성 및 그늘목 600주 이상을 식재할 계획이다. ‘그늘목 쉼터 조성사업’은 기존 천막시설처럼 단순히 그늘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장기적으로 미세먼지 흡수 및 미기후 조절 등 기후변화 대응에 대처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도시녹화의 일환으로 그간 교통섬 등 유휴공지내 녹지조성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중 교통섬 23개소에 대해서는 그늘목 형태로 식재하여 시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받은 바 있다. 서울시는 올해 ‘그늘목 쉼터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자치구로부터 대상지 추천을 받아 면적 및 주변여건 등 적합성을 검토하여 사업대상지 113개소를 확정하였다. 5월 사업을 시행하여 6월 중 완료를 목표로 약 4억 원 예산을 투입하였다. 올해는 교통섬 71개소, 횡단보도 42개소 등 총 113개소를 조성 및 운영할 예정이며, 운영 중 도출되는 미비점을 2022년까지 계속 보완할 계획이다. ‘그늘목 쉼터 조성사업’은 교통섬이나 횡단보도 주변 유휴공간에 느티나무 등 녹음을 넓게 형성하는 나무로 식재를 하되, 유휴면적 및 주변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된다. 예를 들어 공간이 충분히 넓은 곳은 2~3주씩 모아서 심도록 하고, 녹음 아래에는 의자 등 휴게시설을 설치하여 잠시 쉬었다가 갈 수 있도록 조성한다. 113개소 중 35개소는 그늘목을 2주 이상 식재하여 녹음을 풍성하게 제공할 예정이며, 45개소에는 하부에 원형의자 등을 두어 신호 대기시 잠시 쉬어 갈 수 있도록 조성한다. 또한 9개소에는 이동이 가능한 플랜터 형태로 설치하여 주변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조성한다. 특히, 그늘목이 차량 운전자 시야 방해나 신호등을 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식재에 유의하고, 기존 그늘막 시설과의 연계에도 주안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를 가리지 않도록 횡단보도 오른쪽에 그늘목을 식재하도록 하며, 도로변에서 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보도 안쪽으로 식재를 하도록 기준을 정했다. 또한 식재 후 바로 그늘목의 역할을 수행하기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일부지역에는 충분한 나무그늘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기존 그늘막 시설과 병행하여 식재하는 방법도 시도된다. 서울시는 「서울시 3천만그루 나무심기」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향후에도 ‘그늘목 쉼터 조성’과 같이 작은 규모지만 시민들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높은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도로변 유휴공간인 교통섬 등은 녹색 그늘섬으로 조성하고, 가로변에도 키 큰 가로수 사이에 중간 키 나무들과 작은 키 나무들로 식재하는 다층형 식재도 적극 활용하여 가로변에 밀도 높은 녹지공간을 지속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해가 갈수록 서울시 폭염일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런 기후문제와 관련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나무심기는 훌륭한 녹색답안” 이라고 밝히며, “향후 그늘목 쉼터 조성사업을 통해 폭염에 대비함은 물론, 미세먼지 저감효과 등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LH가 투수블록포장 지침 마련을 위한 품질기준안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투수계수 변동계수, 마모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등 서울시가 적용하지 않은 새로운 항목들이 포함됐다. LH연구원, 한국블록협회, 서울시는 31일 건설공제조합 3층에서 투수블록 품질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정종석 LH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최근 미세먼지 및 폭염 저감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투수블록포장의 확대 적용이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품질기준 개선안을 마련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품질시험은 국내 9개사 제품을 시험해 적합성 여부를 파악했다. LH연구원이 선별한 시험항목은 ‘투수계수 변동계수, 마모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3가지다. 먼저 투수계수 변동계수는 측정된 투수계수 개별값에 대한 변동폭을 나타내는 계수로 LH 연구원에 따르면 최소 1.7%, 최대 26%로 품질 관리정도에 따라 제품별로 차이를 보였다. 정 연구원은 “투수계수의 변동폭이 크다는 것은 투수블록 품질도 불균형하다는 뜻”이라며, 변동계수 15% 이하일 때 시험성능에 통과하는 기준을 제시했다. 마모저항성은 ASTM C 779 시험법에 의해 마모 깊이 2mm 이하를 제안했으며, 동결융해 저항성은 변형된 GR F 4007 기준에 따라 100회 동해융결 후 줄어든 양이 1.5% 이하일 때 시험성능을 통과토록 했다. LH의 품질기준안에 대해 서울시는 “기준 강화가 품질 확보로 이어지는 것만은 아니다”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전했다. 권완택 서울시 건설혁신과장은 “서울시는 2015년부터 보도블록의 절반을 투수블록으로 설치했고, 지금은 전체 보도의 7%가 투수블록”이라며, 서울시 설치경험을 토대로 의견을 제시했다. 권 과장에 따르면, 투수블록의 투수기능은 2년까지 유지되고, 3년부터 기능이 저하되다가, 5년이 되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는 “투수계수 변동계수 측정보다 발주처 관리를 통해 어떻게 투수기능을 유지시킬 것이냐가 현장에선 더 중요하다”며 "기준을 높이면서 업계에 미칠 영향과 현장 관리를 고민하기 바란다”고 했다. 현재 서울시는 투수블록 공극의 불순물을 흡입하는 기계를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 블록분야의 기술개발 제고, 발주처 활용빈도를 높이기 위한 강화된 기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지원 한국블록협회 기술인증분과 위원장은 “서울시보다 상향된 기준인 것은 맞지만, 발주처들이 가진 보도블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부분”이라며 “업체의 기술개발을 이끄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혁 한국환경공단 차장은 투수블록 막힘 저감을 위한 조경설계기준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권 차장은 “모든 조경설계 부지가 블록보다 높기 때문에 좋은 제품을 설치해도 표면이 막힐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나무가 죽으면 책임질 사람이 없기 때문에 조경설계기준을 바꾸는 것이 투수블록기준보다 더 어렵다”고 했다. 플로어에서는 “석산, 날씨, 현장상황에 따라 같은 제품에서도 품질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투수계수 변동계수 15%는 업체에게 가혹한 조건”이라는 의견이 개진되기도 했다.
  • [환경과조경 나창호 기자] 환경부가 도시 물순환을 회복시키는 LID 기법의 환경 개선효과를 제시한 ‘빗물유출제로화 시범사업 백서’를 지난달 31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빗물유출제로화 시범사업’은 저영향개발 기법을 통한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저영향개발 기법의 확산을 이끌기 위해 추진됐다. 환경부는 청주시, 전주시와 업무협약을 체결,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청주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전주 서곡지구에서 식물재배화분, 나무여과상자, 식생체류지 등 저영향개발 시설을 설치했으며, 2018년까지 3개년간 효과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결과, 저영향개발 사업 전 대비 강우유출량이 오창과 서곡지구에서 각각 24.1%, 8.6%, 수질오염물질 농도는 총부유물질(TSS) 기준으로 21.0%, 13.1%가 저감되었으며, 지하수 함양률은 5.06%와 2.9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빗물유출제로화 시범사업 백서’는 시범사업의 계획부터 설계‧시공, 사업효과 평가를 위한 관측(모니터링) 등 전 과정을 수록함으로써 저영향개발의 성과확산과 사업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간됐다. 총론, 기본계획 및 설계, 시공, 관측(모니터링) 및 효과평가, 유지관리, 사업성과, 성과 활용방안 등으로 구성됐으며 추후 저영향개발 사업 추진 시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사업 추진의 단계별 고려사항이 수록됐다. 환경부는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시공, 유지관리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이번 백서를 지자체, 유관기관 등에 무상으로 배포할 예정이며, 환경부 및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다. 노희경 환경부 수생태보전과장은 “이번 백서가 이러한 도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 시 관계자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응시료 50% 지원,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응시 늘었다”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정부가국가기술자격청년응시료절반을지원한결과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도청년응시가늘어난것으로나타났다. 최근고용노동부에따르면,올해1분기동안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을통해청년38만9473명이응시료42억4000만원을감면받았다. 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은만34세이하청년이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시행하는439개국가기술자격시험에응시하면서응시료지원을신청하는경우,정부가응시료의50%를선지원하는사업으로올해처음시행됐다.1인당최대3회까지지원받을수있다. 이러한응시료지원사업이청년의직업능력개발과취업을위한국가기술자격취득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고있는것으로분석되고있다. 올해1분기국가기술자격접수인원은전년동기대비3만2433명증가했다.이는비청년층접수자가전년동기대비1만2477명감소했음에도청년층접수자가4만4880명증가했기때문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관계자에따르면조경분야는전년동기대비청년층이2554명에서2805명으로251명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조경기사는전년동기대비2104명에서2350명으로,조경산업기사는450명에서455명으로청년층이늘었난것으로확인됐다. 또한정보처리기사,위험물산업기사,건축기사등기사시험에응시하는대학생등취업준비청년층이큰폭으로증가했으며,2024년제1회기사실기시험청년접수자가지난해에비해2만5650명늘었다. 아울러응시료가상대적으로높은시험에응시하는청년층이크게증가했다.응시료가높은기술사및기능장시험에응시하는청년층이크게증가했으며,실기시험청년층접수자도필기시험에비해크게증가했다. 이는응시료지원이청년1인당3회로제한되기때문에상대적으로경제적부담이큰시험에청년층이많이응시한것으로보여응시료지원사업이국가기술자격을취득하고자하는청년층의경제적부담완화에크게기여하고있는것으로분석되고있다. 한편청년국가기술자격응시료지원사업에대한이용방법및자세한내용은국가자격정보홈페이지에서확인할수있다.
아파트 조경 관심도 1위는 “삼성”…현대·대우·롯데건설 순
[환경과조경박광윤기자]국내주요건설사가운데최근1년간온라인에서‘조경’관련정보량이가장많은것은‘삼성물산건설부문’인것으로나타났다.이어현대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순으로조사됐다. 여론조사기관데이터앤리서치는아파트조경및디자인관심도를알아보기위해2023년5월부터2024년4월까지주요커뮤니티를대상으로빅데이터를분석한결과를지난8일공개했다. 이번조사는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등12개채널23만개사이트를대상으로이뤄졌으며,2023년7월31일국토교통부가발표한2023국내시공능력평가상위12개건설사로한정해조사됐다. 조사키워드는‘건설사이름’+‘조경’및‘디자인’이며한글기준15자이내인경우만결과값으로도출하도록했기때문에실제정보량은달라질수도있다는설명이다. 삼성물산의경우‘건설부문’으로국한해조사했으며,포스코이앤씨의경우옛사명인포스코건설도함께조사했다. 조사결과에따르면,정보량순위에서▲삼성물산건설부문이1위로나타났다.이어▲현대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포스코이앤씨▲GS건설▲DL이앤씨▲현대엔지니어링▲HDC현대산업개발▲한화건설부문▲호반건설▲SK에코플랜트순으로나타났다. 특이할점은각건설사의주요조경상품이세계3대디자인시상식으로일컬어지는미국‘IDEA디자인어워드’과독일‘iF디자인어워드’,‘레드닷어워드’를비롯해국내시상식인‘2023굿디자인어워드’등에서수상하거나호평을받았다는내용이공통적으로확인된것이다. 1위를한삼성물산은5274건의정보량을기록했다. 4월카카오스토리의한유저는“영산홍과철쭉이한창인길을따라걷다가베일리아트라운지(BaileyArtLounge)까지왔다”면서“원베일리아트는삼성물산이국제대회‘아시아디자인프라이즈(AsiaDesignPrize2024)’에출품해대상을수상한정원”이라며수상소식을소개했다. 또한문정동에위치한래미안브랜드체험관의외부조경공간인‘네이처갤러리’가세계조경가협회(IFLA)가주관하는‘2023년IFLA아시아태평양지역어워즈’에서문화도시경관부문최고상을수상했다는내용과이문·휘경재정비촉진지구‘래미안라그란데’의조경면적이5만3586㎡(조경률46.7%)에달한다는내용의포스팅도발견됐다. 이어현대건설은관련게시물수4534건으로2위를차지했다. 현대건설의경우,‘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의조경작품‘티하우스’와‘작가정원’이‘레드닷디자인어워드2024’에서모두‘위너’에선정됐다는소식이전해졌으며,‘2023IFLA아시아태평양지역어워즈’에서공동주택부문우수상을수상한‘디에이치자이개포’단지조경과놀이터디자인부문장려상을수상한힐스테이트홍은포레스트‘토끼놀이터’사례가소개되기도했다. 일부채널에서는미국건축전문웹진‘아키타이저’주최‘2023아키타이저에이플러스비전어워드’에서현대건설의출품작‘스카이가든위드미러폰드앤미디어아트(SkyGardenwithMirrorPond&MediaArt)’가조경사진부문최고상인‘스튜디오위너’를수상했다는내용도포스팅됐다. 대우건설은3064건의정보량이집계되며3위에자리했다. 대우건설이시공한현장출품작▲대치푸르지오써밋‘아티스틱플레이그라운드’▲하남감일‘아클라우드’▲대구달성파크푸르지오힐스테이트‘숲과빛의풍경’등3개작품이독일‘레드닷디자인어워드2024’에서모두본상을차지했다는소식이비중있게다뤄졌다.또한‘2023굿디자인어워드’에서대우건설의주요주택브랜드응모작이굿디자인(GD)마크를얻었다는소식이전해졌다. 4위롯데건설은2541건으로확인됐다. 롯데는‘신반포르엘’과‘롯데캐슬리버파크시그니처’에서조경·외관·문주디자인·주방등4개상품이‘2023굿디자인어워드’에서우수디자인으로선정됐다는소식이전해졌다. 이외에도포스코이앤씨는1905건,GS건설은1818건,DL이앤씨는1397건,현대엔지니어링은1037건,HDC현대산업개발은933건,한화건설부문은725건,호반건설433건,K에코플랜트249건으로확인됐다. 데이터앤리서치관계자는“건설사별조경·디자인관련총정보량은2만3910건으로직전연도같은기간1만9393건과비교하면23.29%나증가했다”면서“건설사들이최근친환경적조경과다양한감각의디자인을반영한단지를적극선보이고있어조경에대한빅데이터정보량은더욱늘어날것으로보인다”고전했다.
정원도시포럼, “산이정원 형태의 사립식물원이 가장 이상적”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정원도시포럼콘퍼런스가지난3일전라남도해남군산이정원가든뮤지엄2층에서열렸다.2022년이후2년만에갖는자리다.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이주최하고정원도시포럼이주관한이번콘퍼런스는산이정원개원기념으로마련됐다. 이날콘퍼런스는주제발표와정원토크로나눠진행됐다.정원도시에관한구체적제안과정원정책의방향,현재정원법이규정하는정원의형태등에관해그려보는자리였다. 정원도시기본모델‘산이정원’통해정원정책기조변환필요 주제발표는▲김인호한국환경보전원국가환경보전센터센터장의‘탄소중립사회를위한정원도시미래전략’▲황승흠국민대법학과교수의‘국가정원정책의의제와방향’▲배준규국립수목원정원식물과과장의‘정원정책과수목원’▲이병철산이정원대표의‘미래와함께하는산이정원’등으로구성됐다. 김인호센터장은“지구의2%가안되는도시가에너지78%,탄소배출량60%를생산하는상황에서정원도시를통해생태문명으로의전환이가능하다고생각한다”며“최근국립수목원전문가들이정원도시유형과문화를개발하고,지자체가‘정원’이들어간과를신설하는등관심을갖고적극적인정원산업활성화에참여하는것에고무적이라생각된다”라고밝혔다.그는정원도시를통해기후위기에대응하고,태양광이나풍력등재생에너지가정원도시에어떻게안착할수있는지기능적요소로서도입필요성을제시했다. 정원도시를구성하기위한법적인관점에서황승흠교수는수목원과정원이목적과특성이달라생기는법적문제를지적했다.정원법은2015년에만들어졌지만,당시수목원식물원법에포함되는것에그쳤다.“수목원을위한정책에정원이끼어든상태”라고황교수는말했다.황교수에따르면수목원은식물전시와유전자원보존이라는특정목적이있다.정원은수목원보다범위가넓다는사실이다.즉,정원은식물을전시하고지속해서가꾸고관리하는공간으로포괄적인목적을가졌다.이런차이에도법에는거의동일하게규정되어있어작은문제들이발생한다. 또한,황교수는국가·지방정원의지정기한도문제삼았다.“현재중앙정부와지자체에서운영하는국가·지방정원은지정기한이없는상태로언젠가문제점이드러날수있는한계를갖고있다.이런면에서김인호센터가제안하는‘정원도시’에공감한다”고말했다. 그는민간정원활성화를위한국가정원정책의필요성도강조했다.‘산이정원’을예로들어“전세계유명정원은모두민간정원이다.사립식물원이면서규모가가장큰민간정원인산이정원이정원본연의모습을찾아가는형태다”라고했다.또한“민간정원은법인,단체,개인조성이가능한것으로규정되어산이정원도주식회사정원조성자로규정할수있다.국가·지방정원처럼국가가정부예산으로직접조성하는것이아닌,외국의‘공공토지임차정원’형태가지속가능한정원정책으로여겨진다”고했다. 아울러“민간정원이활성화되려면조세특례를통해여러세금을감면할수있도록법제개편이필요하다”며“민간에게저렴하게장기간임대해서민간이자본을들여정원을개발하고,지역주민과향유하는형태”를제시했다. 산림청에소속된배준규과장도주제발표에서민간정원의활성화가가장이상적인국가정원정책이라는점에공감했다.배과장은국내외정원산업시장이커지면서세계에서한국의정원산업의위치를전하고지역사회와지자체의연결에고심하는산림청의노력을설명했다.배과장은지자체특수한식물을산림청과연결해자원을복원하는사업을꺼내면서“민간이정원정책에함께해야한다.남양주시,수원시,진주시등과MOU를하고있고,최근한국토지주택공사와도협약을준비중”이라고했다. 산이정원개원기념콘퍼런스인만큼정원을직접조성한이병철대표가산이정원개원과정을사진과영상을프리젠테이션으로참석자들과공유했다.이대표는초기산이정원을둘러싼4개섬을재현한맞이정원부터노리정원,물이정원,동화정원,흐름원등12개의테마정원과시설을자세히설명하며“솔라시도는정원도시,햇빛정원도시라는비전과콘셉트로만들어지고있는새로운미래도시다”라며“해남의첫작품이태양의정원이다.50만평규모의태양광발전이밀집한해남에10분의1인5만평규모의정원을만들었다”고했다. 이대표는“저는나무를심는사람이다.태양의정원이들어서면서산업경관이생태경관으로바뀌어태양의정원이가져온열매들이부수적으로생겼다”고했다.해남에태양의정원조성후환경부는국내최대탄소중립교육기관을유치하고,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지원단지등이들어설예정이다.이대표는“내손주들이살아갈미래를생각을하니아찔하다.미래세대를위한환경을조성해보자라는생각에솔라시도를진행했고,그모델하우스가‘산이정원’이라고보면된다”라고했다. 정원예찬,“치유·공존·자연을담는그릇” 이번정원도시포럼의다양한분야포럼위원이모여정원토크를가졌다.서영애기술사사무소이수소장의사회로▲김선미동아일보기자▲김창섭가천대IT융합대학전기공학과교수▲이규인아주대건축학과교수▲이지윤숨프로젝트큐레이터가패널로참여했다. 언론인대표로나온김선미기자는‘정원도시포럼’이종합계획을갖고한팀으로활동하는부분이인상적이라며“국내정원정책이수요자보다는공급자위주인측면이있다”고했다.기업이제품출시에앞서소비자의수요예측을미리해본다는점이다.김기자는“정원도시는생태계와정원이세상을바라보는틀이돼전체적인생명체들과함께연결되는사회인데결과적으로요즘정원에는돌봄이라는키워드가많다.문화예술과접목해비인간생명체와함께연결됐으면좋겠다”고말했다. 에너지와전기,기후변화전문가인김창섭교수는에너지와탄소중립관점에서정원을설명했다.김교수는“알다시피석유나전기는사랑하기어려운물질”이라며“정원은환경기반,기술기반,문화기반솔루션을담기에가장좋은공간으로마치‘합동전진기지’같은느낌이다.이점에서솔라시도는좋은사례”라고설명했다.그는정원사들의역할을과학과연결해“정원사가기르는식물잎사귀는태양광전지판이다.그런면에서정원사는가장오래된‘에너지맥’”이라며결국탄소중립방법은정원이라는사실을확인됐다”고말했다. 이규인교수는정원도시개념에관해정의를내려보자는문제제기를시작으로“정원도시개념을인류를위기에서구할대안으로생각하고싶다”고했다.이교수는인류에게가장큰위협으로기후위기와AI를꼽았다.이교수는“AI가인간을멸망시킬것으로전망하지만,저는AI가인간을노동에서해방해줄것으로생각한다.일하지않고먹고사는시대로바뀌는시점에정원도시가큰역할을할수있다”고말했다.“기후위기나모든문제해결은생태사회로의전환밖에없다.최근자동차도로를최소화하고,보행자전거나퍼스널모빌리티자율차로바꾸고있는등기계와자동차를배제하는방향으로도시가진행되고있다”며정원도시로의방향성을설명했다.또한“솔라시도와같은도시를만드는의지와그런여론을모으고의식을높이는게필요하다”라고제안했다. 이지윤큐레이터는산이정원에개관하는박물관인가든뮤지엄을높이평가했다.이큐레이터는“박물관하면사람들은건물장소를생각하지만,사실생태공원·공원·가든·정원도시등새로운개념의질문에관한연구를할수있는시작과아카이브가만들어질기초가될수있다”며“산이정원의박물관은좋은사례이며시작”이라고했다.그는영국을예시로“영국은정원의국가로정신치료부분을고등학교부터정원과함께시작한다.정신치료가중요한만큼정원도시,생태도시와탄소중립도시에대한고민이정원박물관에서진지하게세계의석학들이모여연구주제가되기를바란다”고말했다. 정원도시포럼은정원도시의가치와비전을밝히고이에관한사회적담론을형성하기위해2019년에15명이모여결성됐다.2021년에정원도시정신과가치를담은정원도시선언문이발표됐고,이듬해기후위기와포스트팬데믹이라는새로운도전에맞서도시패러다임으로서의정원도시를살펴봤다.올해3회차로정원‘미래가되다’라는주제로산이정원에서열게됐다. 콘퍼런스시작에앞서조경진정원도시포럼위원장은개회사를통해“그동안위원들이많은답사와회의를통해우리국토가하나의정원이라는생각을확인했다.정원정책도있는자원을잘보존하고겸허한방식으로개입을해야한다고본다”며“앞으로포럼이이런생각들을공유하고확산하고자노력하겠다”고말했다. 또한,채정섭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대표는환영사를통해“2018년부터솔라시도도시조성을6년째하고있지만,속도가더딘상황이다.산이정원개원을시작으로사업속도를높이겠다”고밝혔다. 한편,이날먼거리에도40여명이참석해정원도시포럼에높은관심을내비쳤다.이번콘퍼런스는유튜브채널‘정원도시포럼’에서다시보기가가능하다.
[조경논단] 시인과 전사, 그리고 광대
벚꽃의짧은계절이지고봄꽃들이여기저기터져나오는미풍의계절이다.이계절에국립현대미술관에서정영선선생님의전시가열리고있다.그리고극장에는정영선선생님의영화가상영중이다.지난주에는전시를보았다.작지도,크지도않은전시실에한국조경의거의모든것이압축적으로담겨있어정영선이라는거인에압도되었다가,아직절정에이르지않은검박한정원에서는정영선이주는소소하며편안한위안을받았다.이번주에는영화를보았다.영화는정영선이라는사람과그가만든공간에관한이야기였는데,정영선이작은중정에숲을닮은정원같았고,포항의바위와바다와어우러진해국의경관이정영선같았다.벚꽃이내리는봄의후원과눈이내리는겨울이후원의모습이교차하는장면은황홀했다가,풀과꽃에게말을걸며쪼그려정원을어루만지는선생님의모습은모두의마음에있는할머니의모습처럼그리웠다. ‘땅에쓰는시’라는영화의제목은정영선선생님이직접정하셨다고한다.“하늘보다더높은하늘이,바다보다더깊은바다가,내앞에고개를숙였다.”영화에서선생님은본인쓴백합이라는시를읊으신다.감독님이전하기를선생님은조경은시처럼아름다워야하고,그아름다움은직접적으로표현되는것이아니라고생각하셨다고한다.국립현대미술관전시를준비하는사전회의에서선생님을잘아시는건축가는선생님의조경을다음과같이평가하셨다.선생님의조경은자기의목소리를내세우지않으며모든것을어울리게만드는배경을제공하는자연의겸손함닮았다.나는그말이선생님의조경에대한가장모범적인평가이면서도가장큰오해라고생각했다.큰목소리를내지않는다고하여,울림의공명이작은것이아니다.첫눈에시선을사로잡지않아도지워지지않는선명한기억의각인을세길수있다.시인이약하고여리다는것은편견이다. 선생님은시인이면서전사였다.아직조경의영역이제대로자리잡지못했던개발시기의건설판에서첫조경기술사로서선생님은전사였을수밖에없었다.정치가들과행정가들을설득해여의도샛강을자연으로돌리기위한과정은투쟁의연속이었을것이다.선생님의겸손은양보와낮춤의결과가아니다.오히려투쟁의결과이다.혼자우뚝서고싶고가장화려하고싶은의지들과맞서땅에시로쓴조경을하기위해선생님은강렬히온힘을다해싸워왔고지금도싸우고있다는사실을기억해야한다.시인이선생님의지향이었다면전사는시대가선생님에게던진소명의결과였을것이다.영화가끝나고나는감독님께영화를찍으면서우리조경에대해어떤생각이들었냐고,혹시아쉬운점이없냐고물어보았다.감독님은조경이늘내세우는겸양의미덕을추켜세우시면서재치있는답을해주셨다. “글쎄요.아쉬웠다기보다의외였던것이있기는했어요.영화를만드는중간에정영선선생님께서젤리코어워드를받으셨잖아요.하늘이이영화를돕는구나싶었어요.이상이조경가에게주는최고의상,노벨상이나건축의프리츠커상과같은영예잖아요.그래서저는조경계가나서서많은홍보도하고,신문이나뉴스에도크게나올줄알았어요.그런데너무조용한거예요.이번국립현대미술관전시도사실엄청난일이잖아요.세계적인상도받고,영화도나오는데이렇게조경하시는분들이본인들의이야기에조용한것이의외이기는해요.아마조경하시는분들자연을닮아겸손하시고말을아끼시는경향이있나봐요.” 50년이걸렸다.조경가가국현에서전시를하고,조경가에대한영화가나오기까지50년이걸렸다.한국조경가가세계최고의조경가에게주는상을받기까지50년이걸렸다.그런데한국조경은별말이없다.할말이없는것인지,겸손한것인지,다른일에바빠서관심이없는것인지조용하다.조경관련매체에서도,조경학계에서도정영선과서안의작품을재조명하는기획은보지못했다.건축과예술분야의사람들이오히려나에게묻는다.정영선선생님의전시와영화를보았냐고.그런좋은전시와영화가나왔는데도왜너희는아무런말이없냐고.전시회에걸린작품의리스트를보았다.나는앞으로그정도위상과규모의프로젝트를몇개나할수있겠느냐고자문해보았다.아마도그어떤조경가도그정도의일은할수없을것이다.지금조경가들의능력이부족하다는이야기는아니다.이제는과거정영선과서안에주어진그런큰프로젝트의기회는다시오지않을것이다.정영선선생님을통해마련된이축복과같은기회와시기를그냥지나쳐버리면앞으로한국조경에대한이런뜨겁고애정어린관심받게될계기는영영오지않을지도모른다는두려움과조바심이생겼다. 이전시와영화는그끝에서우리조경의다음이야기는무엇인지우리에게되묻는다.정영선의조경이아무리아름답고감동적이어도그것은정영선의길이지우리조경에대한정답지도아니고종착지도아니다.우리는정영선과다른자신의시를써야하고,정영선이마주한현실과는다른현실에맞서투쟁해야한다.정영선의조경을자양분으로삼아각기다른꽃을피우고열매를맺으려할것이며그렇게될것이다.그리고이제나는그이야기를우리가줄기차게떠들어야한다고생각한다.겸양의미덕은잠시치워두고아무리작은의미라도부풀려우리의조경이야기를여기저기퍼트려야한다고생각한다.광대가되어야한다.광대,딴따라,연예인,인플루언서가되어스스로풍악을울리며조경을팔아야한다.누군가전시를기획해주고초청해주기를기다리기보다이제우리가스스로의전시를만들고,영화를만들어줬으면소망하기보다사람들이볼만한영상콘텐츠라도만들고민을해야한다. 전시의한영상에는정영선선생님이국립현대미술관의중정에정원을만들기위해미술관을설계한건축가에게허락을얻고조언을구하는장면이나온다.광화문광장을같이설계했던소장과함께한저녁자리에서지인이우리에게물어보았다.광화문광장에팬지꽃밭이조성되었는데원설계자인우리가허락한일이냐고.우리는둘다금시초문이었고조경에서는그런것이관행이라고얼버무렸다.최근골프장을설계한조경설계사들이무단으로골프장설계에대한저작권침해에대한소송을진행하였는데,법원은골프코스설계는창작성을인정할수없으므로저작권보호대상이아니라는판결을하면서패소하였다.건축가의권리와너무나도상반되는조경의문제를보며나는담당공무원에게화를내고또다른소송을준비하는것보다지금열리고있는전시와상영중인영화가많은이들에게보여지고알려지는것이더필요한일인지도모른다.앞으로조경에이런전시와영화가몇번더나와조경에대한사람들과사회의이해가높아졌을때,조경은스스로권리를인정받고자애를쓰지않아도될까?범죄도시4가개봉4일만에300만명을돌파했다는뉴스를보면서나는다시마음이초조해졌다.‘땅에쓰는시’를본관객수는6,500명인데,이아름다운조경에관한이야기가조금만더오래상영관에걸려,조금만더많은이들이이야기를공유했으면좋겠다는마음이었다. 김영민/서울시립대학교교수
서울 유일 마을정원 축제, “정원이 들려주는 소리 들으세요”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색별로다양하게심으면돼요.” 언덕을오르는수레에는팬지,마가렛,임파첸스,가자니아등봄을담았다.정원축제까지남은기간은보름남짓.마을곳곳담장을따라긴방부목으로만든화분은정원축제의동선을가리킨다.만만하게볼길이아니다.경사도가어림잡아30도다. 마을주민들은골목화단을정리하는데익숙한듯겨우내살아남은여러해살이초화류사이사이로꽃을심는다.그렇게두어시간여마을을돌면서심고,물주기를반복하니골목이금세봄색으로변했다.단지는10년전서울시가주관하는‘꽃피는서울상’콘테스트에서최우수상을받은곳이기도하다. 정릉교수단지는매년단이틀만정원축제를연다.준비에비하면축제기간이짧다.하지만개인주택주인이직접가꾼정원10여곳을볼수있는유일한날이다.정원공개를위해대문을48시간열어놓는건요즘시대,그것도서울에서큰모험이다.올해13번째다. 교수단지에서정릉까지는걸어서5분이채안걸린다.정릉은조선왕릉중한곳.태조가총애하던신덕왕후가숨지자태종은4대문내에있던무덤을정동으로강제이장시켜동네이름이‘정릉’이됐다. 1960년대에는서울대교수들이다수거주했다.교수들이살던근현대식단독주택들로모여살았다.현재교수들은거의살지않지만,‘교수’라는이름이동네명으로남았다. 차가운회색빛보다계절감느끼는정원마을의시작 몇해전유명예능방송프로그램‘유퀴즈’에서도촬영해입소문이나기도했다.하지만그전부터이곳은개발과마을보존이라는문제로언론에주목을받았다. 재건축바람이불던2000년대건설업자들이강남의주거지개발이비싸다보니성북구로눈을돌렸다.그중정릉주변교수단지도포함됐다.재건축동의를구하기위해조합이설립되면서갈등을빚었다.경관이주요한정릉주변을개발한다는것은상식상맞지않았다. 김경숙정릉마실대표와마을주민들은동네골목마다꽃을심고봄에정원축제를열었다.축제기간몇몇집이정원을공개했다.개인정원개방은서울에서최초였다.김대표는“이렇게예쁜곳을재건축하지않아도충분히아름다운동네라는사실을알리기위해서정원을가꾸고축제를열었다”며당시를회상했다.정원가꾸기가주가되는비영리단체‘정릉마실’은이후에만들어졌다. 2009년정릉이유네스코에등록된후2012년과2021년에정릉동6구역은정비구역지정이공식해제됐다.순천시를비롯해전국지자체에서소문을듣고마을을찾았다.주민자치로마을정원이유지되는곳을선진사례로삼기위해서다.첼시플라워쇼황지해가든디자이너도정릉단지를방문해식물선정과정원가꾸기에도움을주며응원을보탰다. 한결같이생동감넘치는정릉교수단지‘가든페스티벌’ 여전히정릉마을주민들에게정원축제는또하나의명절과같다.코로나가심했던2020년을제외하곤행사를거른적이없다. 그렇다고축제준비에미온적인주민에게참여를강요하지않는다.김대표는“참여못하는그마음그대로받아들인다.동네정원가꾸기도자율적으로신청받지만,자기집앞담장에화분을설치하는것도스스로관리할수있는의지가있어야한다”고했다.변화도많다.교수단지주변연립빌라에사는사람들도축제에방문해정원삶을동경한다는이야기를전해듣기도했다. 13번째정원축제에공개될정원은하나같이개성넘친다.고급스럽게휜30년수령의사철나무가터줏대감인‘쌈지정원’,다양한크기의자연석과야생화로정원을꾸민‘돌멩이들의수다’,자연주의식재가일품인‘도도화’,금낭화로계단한구석을근사하게조성한‘행복한뜰’등올해16곳이정원을개방한다.전문적인식재설계가아닌식물을다년간키워본‘경험설계’가비법이다. 올해도정원을개방하는이미정씨는“다른멋진정원사진을보면누가만들어준느낌인반면에이곳은아마추어가가꾼듯한순수함이있다”며“해마다봐도질리지않는그런느낌의정원”이라고했다.마을주민의노력으로소소하게시작했던때와비교하면현재방문객수는가늠할수없을정도로늘었다.축제‘시그니처’라불리는꽃비빔밥이만드는족족동이날정도다. 이번축제는오전11시에정원을가꿔보는정원가드닝과오후2시부터정원해설사와함께거니는마을투어가진행된다.오후4시부터는인형극과공연이있을예정이다. 또,매년축제를지원해온성북구사회적경제센터는올해도성북구사회적기업들과마을축제를연결한다.먹다남은굴껍질로비누를만드는블루랩스,생활패션용품을만드는결혼이주여성들의알록달록협동조합,시니어를대상으로프로그램을운영하는더이음문화예술교육협동조합등이이번행사에참여한다.이들은각정원에서코끼리똥수첩만들기,꽃비단부채만들기등체험활동과플리마켓을연다. 특히,올해는마을어린이집돌봄교실엄마들과어린이들이직접정원에서방문객들을반길예정이다.“축제를준비하는마을주민들나이가평균70세다.젊은엄마들과아이들이함께참여하는축제가벌써기대된다.” 정릉교수단지정원축제는‘정원이들려주는소리’를주제로오는10일부터11일까지정릉동북악산로5길정릉교수단지에서개최한다.시간은오전11시부터오후5시까지다.
공원 BF 인증제도, 인식전환 필요… “모두를 위한 설계해야”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모두를위한설계를하기위해서는공원BF인증제도인식을제고할필요가있다는의견이나왔다. 한국조경협회와한국건설기술인협회조경기술인회는지난달29일한국과학기술회관중회의실5에서‘공원BF인증제도에대한이해와대응방안’세미나를개최했다.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BarrierFree)’제도는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뿐만아니라일시적장애인등이개별시설물·지역을접근·이용·이동함에있어불편을느끼지않도록계획·설계·시공·관리를평가하는제도다. 이날행사는1부주제발표,2부토론회순으로진행됐다. 안세헌한국조경협회회장은인사말을통해“조경협회에서는조경인들과다양한주제를통해앞으로나아갈방향을논의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앞으로진행될세미나에도많은관심부탁드린다”고말했다. 김형선한국건설기술인협회조경기술인회장은“100만명이넘는건설기술인전체회원수중에서조경기술인은약5만5000명정도된다.앞으로도세미나외행사등다양한협업을통해힘을합쳐나갔으면좋겠다”고말했다. 세미나는▲이기영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부사장(BarrierFreeDesign및BF인증저자)이‘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제해설과장애인교통약자의행동특성에대해’▲김연금조경작업소울대표가‘통합놀이터조성사례와기본가이드라인’▲김성은네드지사장이‘공원BF인증사례와문제점,개선방안제시’를주제로각각발표했다. 발표가끝난후토론에는김기천그룹한어소시에이트소장,서은실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부사장,김인순한국장애인개발원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부장이패널로참여했다. 이기영부사장은“BF설계를할때는장애인위주의개념이아닌,안전성,접근성,편리성,쾌적성,비차별성을중심으로디자인해야한다.2023년말기준우리나라인구중5%가장애인이고,장애인의54%가노인이다.출산율도점점떨어지고있는이시점에서는나를위한설계를해야한다.BF설계시장애인에국한된디자인이아닌,유니버설디자인과인크루시브디자인등모든개념이통합된디자인을추진해야한다”는의견을밝혔다. 더불어“‘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에관한규칙’등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관련법령들을잘살펴봐야한다”고강조했다. 김연금대표는외국국내·외통합놀이터사례를설명하며“전세계적으로통합놀이터와관련된다양한사례들을통해디자인가이드가만들어지고있다.유니버설디자인과BF디자인의개념은공공성과사회적책임이라는관점에서차이가있으나,사회적약자가존엄과평등을실현할수있도록물리적,심리적장벽을제거한다는점은공통적이다”고말했다. 이어“통합놀이터는‘접근성’과‘놀이성’을어떻게균형있게맞출것인가에대해많은고민이필요한것같다.영역별로장애유형과장애정도가다른데,이들이갖고있는활동특성을어떻게고려해시설을이용하게할것인가를다같이고민해야한다”고강조했다. 김성은지사장은BF인증의개요부터관계법령,공원및공원내건축물적용사례에대해설명했다. 발표가끝난후토론에서김인순부장은“보편적으로BF인증은장애인을위한제도,유니버설디자인은모두를위한제도라고생각하고있는데,그인식부터바꿔야한다.내가노인이됐을때공원에서어떤편안함느끼고,어떤불편함을느낄수있는지생각만해도답은나온다고생각한다.장애인에초점을두는것이아닌,공원이용자모두를위한설계를해야한다.공원BF인증에많은관심과적극적인반영이절실히필요한시점이다”고말했다. 김기천소장은“‘BF인증과정’은서류를제출하고의견을받아서보완하고다시제출하는과정의반복으로이뤄진다.조경설계심의를마쳤음에도불구하고BF인증심의에서심의위원이바뀌면도면전체를바꿔야한다.현재대기기간만3개월이필요하고,이후심의까지모두마치는기간이길게소요된다”는어려움을토로했다. 김인순부장은심사과정과관련해“2021년공원BF인증이의무화되면서설계회사도심의위원들도이해가부족한상황인것같다.위원들도심화교육을통해공원BF인증지표교육을받고있지만,전체적인교육이아니기때문에혼란을일으킬수있을것같다”고말했다. 김성은지사장은“현재인증기관업무과중으로서류제출후약3개월후에심사가진행되며,심사결과에대한조치계획제출및심의요청후에또약1개월대기후에인증심의가이뤄진다.BF인증으로어려움을겪고있는설계사무소가많아지면서인증기관의인력보충및효율화를위한대책이필요한것같다”고지적했다.
1세대 조경가 정영선, ‘유퀴즈’ 출연… “국토 자체가 하나의 정원입니다”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1세대조경가정영선이tvN‘유퀴즈온더블럭’(이하유퀴즈)에출연한다. 오는5월1일오후8시45분에방송되는‘유퀴즈’는▲여행유튜버빠니보틀▲한국최초여성조경가정영선▲배우박성훈이출연한다. 정영선조경가는한국1호국토개발기술사(조경)획득한최초의여성기술사다.다채로운작업을통해대통령국민포장,세계조경가협회(IFLA)상,미국조경가협회상(ASLA),한국건축가협회상,김수근문화상등유수의상들을수상했으며,지난해에는한국인최초로세계조경가협회(IFLA)가수여하는조경계의최고영예상인‘제프리젤리코상’수상자로선정되며세계적으로인정을받았다. 한국에서조경에대한사회적위상이낮았던시기에,아시아선수아파트단지(1984),예술의전당(1984),올림픽선수아파트단지(1985),희원정원,호암미술관(1997-1998),인천국제공항(1999),서울올림픽미술관과조각공원(1999),청계천복원(2002-2005),광화문광장(2007),경춘선재생공원(2014),서울식물원(2014)과같은주요프로젝트를통해조경의중요성과가치를알리는역할을했다. 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정영선조경가가유재석,조세호를만나어떤이야기를나눌지기대가되고있다. 한편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땅에쓰는시’가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등에서상영중이며,국립현대미술관서울에서는오는9월22일까지‘정영선:이땅에숨쉬는모든것을위하여’를주제로조경활동을총망라하는전시를개최하고있다.
안산 정원 단지에 ‘경기가든역’ 만들어질까?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안산시가최근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과관련해‘경기가든역’신설필요성을강조했다. 지난26일김동규경기도의원(보건복지위원회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안산1)이제374회임시회제2차본회의‘5분발언’을통해‘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의성공을위한신안산선안산·화성연장안그랑시티자이역반영과경기가든역지선신설이필요하다고주장했다. 안산시는신안산선개통에앞서이용수요가높은사동지역으로노선연장을위해타당성조사용역을진행하고중앙정부에건의해왔다.올해경기도가안산선대부도연장해한양대역에서화성을거쳐대부도연결을포함한경기서부도로·철도망구축계획을발표해안산시로서는역신설에희망을갖게됐다. 이날김동규의원은“안산·시화쓰레기매립지는안산,수원,안양,광명,과천,시흥,의왕,군포8개시의생활쓰레기를처리하면서안정화기간을포함해약30년동안지역주민들에게고통을선사한곳”이라며“올해해당매립지에경기도지방정원조성사업이시작되며안산시에경기도정원문화와정원산업의선도적역할을수행할경기정원이조성될예정이다”라고말했다. 그는“만약계획대로준공된다면안산시에는연200만명의관광객이찾는관광명소이자,안산갈대습지공원과비봉습지공원을합친다면순천만국가정원을넘어서는약38만평의국내최대규모의정원단지가조성될것”이라고했다. 이어서“경기정원사업조성지의교통수단부족이문제가될가능성이클것을예상돼본의원을비롯한안산시에서는경기정원의성공적인추진을위해가칭‘그랑시티자이역’과‘경기가든역’의신설이필요하다”고주장했다. 그는“지난2월발표된‘경기서부도로·철도망구축계획’에는경기도역점사업중하나인경기정원에대한고려가없었고,경기정원을지나지않고바로화성으로연장되는듯한안이제시됐다”며,이부분을관계공무원에게질의하자“국토교통부‘제5차국가철도망신규사업건의가이드라인’에따라기초지자체의의견수렴절차및이견이있는노선에대한중재안마련을통한단일노선건의를진행하겠다는답변을들었다”고했다. 아울러,김의원은해당지선을경기정원초입에서끝나는것이아닌현재공사가진행중인인천발KTX노선및수인분당선과연결을제안했다.그는“경기정원초입에서인천발KTX노선과수인분당선철로는직선으로약600미터정도의거리만있을뿐이다.만약제안하는지선이철도계획에반영된다면안산,화성을비롯한경기서남부도민들께서KTX이용편의와전국타시도의시민들께서경기정원에더쉽게접근해경기정원의성공적인운영에큰보탬이될것이다”라고했다. 한편‘(가칭)세계정원경기가든’은옛안산시화쓰레기매립장부지위에약45만㎡규모로2026년에조성될예정이다.특히,인근에40만㎡면적의안산갈대습지공원,47㎡규모의화성비봉습지공원이인접해있어이들을연계해개발한다면111만㎡규모의순천만정원을넘어서는132만㎡의국내최대규모정원·에코벨트가탄생될것으로전망하고있다.
창작 활동에 나쁜 선례 우려…“조경가 창작·저작권 위해 적극 행동”
[환경과조경정승환기자]한국조경가협회는24일골프장창작성부적판결(본지관련기사3월11일자‘골프코스설계,창작성없다?!’)에대한입장을밝혔다. 안계동한국조경가협회회장은입장문을통해“이번판결에서‘지형,식생,조경시설등자연물의조합인골프장에는창작성이없다’는판결은골프코스설계와조경에대한무지에서나온판결”이라고강한유감을표명했다. 안회장은“조경분야가설계및시공에관여하여만들어진대표적시설”이라며“골프경기를위한코스와지형변화,연못배치,식재등아름다운경관을조성하는창조성적산물이며골프장마다개성이다른경관이연출됐다”고했다. 또한,“조경은인간과환경의조화를통한환경의질향상을목적으로환경에대한생태적·기술적이해와심미적·정서적접근을통해인간에게휴식과안정,아름다움을제공하는전문분야다”라면서“공원이나골프장은지형,식생,조경시설등을단순히기능적나열이아닌전문조경가의구체적의도와목적에따라새롭게배치,조합,배열된창조적공간”이라고강조했다. 안회장은“2심법원판결은조경의순기능과역할에대한이해부족으로기인한것”이라며“조경을넘어건설,문화등창작활동이필요한분야전반에매우부정적이고나쁜선례를남길수있다.이는미래사회가치인‘환경’과‘문화’라는시대적사명과도배치되며세계적으로주목을받는K컬쳐발전에도걸림돌이될수있다”고우려를나타냈다. 마지막으로“우리협회는이순간에도창작활동을위해시간과노력을기울이는조경가의창작활동과저작권이보호받아한국조경문화발전과인간삶의질향상에이바지할수있도록적극행동할것”이라고밝혔다. 이번사건은스크린골프업체인골프존에서국내골프장을그대로재현한시뮬레이션영상을제작해사용하면서저작권비용을지불하지않은데서시작됐다. 지난2월1일서울고법민사5부는골프코스설계업체인오렌지엔지니어링등이골프존을상대로낸저작권침해금지와손해배상청구소송2심에서원고일부승소판결한1심을파기하고패소판결했다. 골프장의창작성부정판결에대한한국조경가협회입장문 2024.2.1.서울고등법원은원고골프코스설계사와피고스크린골프업체간의저작권침해손해배상항소심판결에서1심판결을완전히뒤집고,골프장이저작물의대상이긴하나창작성이없는기능적저작물에해당하므로저작권침해가해당하지않는다고판결하였다. 특히이번판결중‘지형,식생,조경시설등자연물의조합인골프장에는창작성이없다’라는내용은골프코스설계뿐만아니라조경에대한무지에서나온판결로서한국조경가협회는이에대해매우엄중한유감의뜻을밝힌다. 골프장은조경분야가설계및시공에관여하여만들어진대표적시설로서,골프경기의전략적목적을위한다양한코스형태와지형변화,연못배치뿐만아니라식재를통한아름답고인상적인경관조성을위해심혈을기울여만들어진창조적산물이다. 그리하여골프장마다각각다른개성있고매력적인경관이연출되어있다. 조경은인간과환경의조화를통한환경의질향상을목적으로하며궁극적으로삶의질향상을도모한다.환경에대한생태적·기술적이해뿐만아니라심미적·정서적접근을통하여인간에게휴식과안정,아름다움을제공하는전문분야이다. 그러므로조경이땅위에만드는공간인공원이나골프장은지형,식생,조경시설등을단순히기능적으로나열하는것이아니라전문조경가의구체적의도와목적에따라새롭게배치,조합,배열된창조적공간이다. 2심법원의이번판결은이러한조경의순기능과역할에대한이해가부족한데기인한것으로서,조경뿐만아니라나아가건설,문화등창작활동이필요한분야전반에매우부정적이고나쁜선례를남길수있다. 이는미래사회의가장중요한가치인‘환경’과‘문화’라는시대적사명과도배치되며세계적으로주목을받는K컬쳐발전에도걸림돌이될수있다. 우리협회는지금,이순간에도창작활동을위해시간과노력을기울이고있는조경가의창작활동과저작권이보호받아한국조경문화발전과인간삶의질향상에이바지할수있도록적극행동할것이다.끝. 한국조경가협회회장안계동
정영선 다큐멘터리 영화 ‘땅에 쓰는 시’ 오늘 개봉
[환경과조경신유정기자]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국내1세대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땅에쓰는시’가오늘개봉한다. ‘땅에쓰는시’는선유도공원,여의도샛강생태공원,경춘선숲길,서울아산병원등모두를위한정원을만들어온정영선조경가의땅을향한철학과내일의숲을위해현재까지도활동하고있는정영선조경가의사계절을담은다큐멘터리다. 정영선조경가는한국1호국토개발기술사(조경)획득한최초의여성기술사다.다채로운작업을통해대통령국민포장,세계조경가협회(IFLA)상,미국조경가협회상(ASLA),한국건축가협회상,김수근문화상등유수의상들을수상했으며,지난해에는한국인최초로세계조경가협회(IFLA)가수여하는조경계의최고영예상인‘제프리젤리코상’수상자로선정되며세계적으로인정을받았다. 영화는모든생명이싹트는봄과생동하는녹음으로가득찬여름,무르익은색채너머휴식을기다리는가을그리고모든아름다움을준비하는겨울까지‘사계절’을중심테마로구성해다채롭고도풍성한볼거리를전한다.5년간야생화가만개한정영선조경가의양평집앞마당부터남녀노소모두가즐기는대규모공원과신비로움을간직한개인정원등다양한장소를누비며각계절이지닌고유한경치를온전히담아냈다. 언제나사람과자연의관점에서치열하게고민해온‘땅의연결사’정영선조경가의궤적을따라가며,관객들에게일상의위로를건네는공원의아름다움은물론,‘조화’를잃지않는삶의태도로써공원의의미에대해생각하게만든다. 특히미나리아재비,개쑥부쟁이등우리국토의매력을즐길수있는각양각색의야생화와제주를비롯한전국의금수강산을포착하며,한국적경관의현대적완성을빚어낸정영선조경가가그려온자연스럽고도감각적인풍경들을담아냈다.땅이간직한고유의맥락을읽어시를그리듯공간에생명력을불어넣는1세대조경가의진심어린철학을전하며새로운배움으로관객들에게다가간다. 이영화는국내작품으로는최초로제20회EBS국제다큐영화제개막작으로선정됐으며,남도영화제시즌1순천개막작선정및제49회서울독립영화제장편쇼케이스부문에공식초청되는등작품성을인정받았다. 한편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은지난5일부터정조경가의작품세계를돌아보는전시‘정영선:땅에숨쉬는모든것을위하여’(9월22일까지)를열고있다.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에서 ‘정원도시국’으로 ‘졸속’ 추진…4일간 입법예고
[환경과조경박광윤기자]서울시가푸른도시여가국을정원도시국으로명칭변경을추진하면서관련분야의충분한의견을수렴하지않아서졸속추진이라는비판이제기됐다. 서울시는이달5일시정추진력강화를위한조직개편을위해‘서울특별시행정기구설치조례일부개정조례안’을시의회에상정했다. 개정안의주요내용은▲기구개편및소관사무조정▲주요실국의통솔범위조정▲자율신설기구일반기구화▲한시기구정비및존속기한연장▲기구명칭변경등이다. 이에따르면푸른도시여가국을정원도시국으로변경하고,올해7월까지한시적으로운영할예정이었던한강사업추진단을3년더연장해존속시키는내용이포함됐다. 이중‘푸른도시여가국(이하푸도국)’을‘정원도시국’으로변경하는것에대해기존업무를포괄하는이름으로적합하지않다는지적이일고있다. 현재푸도국은▲공원정책▲공원조성▲조경▲정원▲자연환경▲생태계▲산림▲동물보호▲공원여가▲산사태사방사업등을담당하고있다. 게다가이번개정안은지난달29일부터이달2일까지단4일동안의견을수렴해부랴부랴추진하는모양새여서졸속추진이라는비판까지받고있다. 보통입법예고는40일,지자체법규는20일로정하고있으며,서울시의경우에도“입법예고기간을20일미만으로하려는경우에는법무담당관과미리협의하여야한다”고정해놓았다. 하지만이번개정안은입법예고가충분히되지못해시민들은물론관련학계등전문가들도알지도못한사이에‘정원도시국’으로바뀔수있는상황이다. 개칭부정적,“기후변화등다양한패러다임고려”“조직위상축소”등 안승홍한경대학교조경학과교수는“서울시가정원도시기조에맞춰서조직명칭을변경하는상황”으로생각되지만,“정원도시국이라는이름은기존푸른도시여가국에비해똑같은기능을하더라도조직이협소해지는느낌이든다”고말했다. 그는“정원에서발달된개념이공원이다.공원은정원에비해공간적으로크고,이용자측면에서도공공공간으로훨씬범위가넓은데,산림청에서정원법이통과되면서혼란한시기를거치고있다”며특히정원도시국이라는이름아래공원관련부서가위치한다는것은“배보다배꼽이더큰상황”이라고말했다. 하지만경기도에정원산업과가신설되는등지자체조직에정원이라는이름이들어가는것은최근추세라고진단했다.또한정부부처에서공원업무를담당하는국토교통부녹색도시과는법·정책만관리하고있지만,산림청은국가정원이나지방정원조성등을통해직접사업에관여하고지자체에매칭예산을주고있어서앞으로지자체부서이름에‘정원’을사용하는비율이더늘어날것이라고전망했다. 실제2022년말경기도에서도‘산림과’와‘공원녹지과’를각각‘산림녹지과’와‘정원산업과’로명칭을변경한바있다.하지만당시‘정원산업과’신설은산림공원정원을포괄하는상위부서의명칭이아니라,부서간업무조정성격이강했다. 오순환조경지원센터본부장은“푸른도시여가국이더좋은것같다”며“기후변화,리질리언스등현재여러가지패러다임이존재하는데,정원으로만접근하는게맞는건지논의가필요하다”고말했다. 또한오본부장은“기존공원녹지관리사업소를공원여가센터로친근감있게바꾼건좋은데,일반사람들에게‘정원도시’가더친근한가?‘푸른도시’는안그런가?”라며정원도시국이더친근감이있는이름은확실하냐고반문했다. 무엇보다정원은가장작은단위의조경이므로,생태공원산림자연등을총괄하는부서이름으로는축소되는느낌이든다며“푸른도시여가국에서많은정원을조성하면되는데,여러불편과행정비용까지감수하면서이름까지바꿀타당성이있는지모르겠다”고말했다. 특히4일밖에입법예고가안된것은“왜4일만했는지이해할수없다”며“좀더논의의장을마련할필요가있다”고말했다. 개칭긍정적,“공원녹지포함한큰개념”“구체화”등 ‘푸른도시국’보다‘정원도시국’이더낫다는의견도있다. 안명준조경시공연구소느티대표는오히려“기존푸른도시국은지향점이상당히모호했다”며“정원도시국은정원이라는구체적인대상이지칭되니까개인적으로훨씬낫다고생각한다”고말했다. 그는이번논란에대해“정원을어디까지로보느냐에따라달라질것”이라며,‘정원도시국’을가드닝개념의좁은의미의정원으로사용한것이라면논란이있겠지만,공원녹지를포함한큰개념의정원으로보는것이기때문에“서울시가정원도시정책을펼치고있는상황에서정원도시국으로가도문제가없을것”이라고말했다.다만“아직까지정원이도시적인차원에서이해되지않으니까조금이른감이있다”며일반시민들이가진정원에대한편견을극복하기위해“홍보가필요하다”고말했다. ‘졸속추진’논란에대해서는,이번개정안이입법예고를짧게거쳐도될사안은아니라는입장을보였다.“국단위명칭이바뀌는이유가제대로설명이안되고있는것같다”며,국의명칭이변경되면서하위부서에대한세심한계획안이공고되지않은것은시정철학이반영되지않은채“일단명칭부터질러놓고보자”는것에불과하다며,숙의할기간이필요하다고말했다. 한갑수한국전통조경학회회장은“‘푸른도시’가워낙넓은개념인데반해‘정원도시’가좀더구체적이라는점에서좋은것같다”고말했다.하지만“이름을정원으로하면업무범위가축소될것이라는염려도있을것같다”며조경내에서도다양한분야가있어서논란의여지가있을수있으므로“관련분야의견을참조했다면더좋겠다”며졸속추진논란에“아쉬운점”이라고평가했다. 한편서울시는이외에도“경제정책실,복지정책실,도시교통실”을“경제실,복지실,교통실”로,“시민건강국”을“시민건강국,민생노동국,디지털도시국”으로,“재난안전관리실,주택정책실”을“민생사법경찰국,재난안전실,주택실”로변경한다는방침을개정안에담았다.
[조경논단] 요즘 공원
은퇴하신회사선배들과이야기나눌기회가있었는데,‘건강,돈,친구’가제일중요하다고반복해강조하셨다.‘돈’이야어렵겠으나,‘건강’과‘친구’라면그래도공원이제법커버할수있겠다싶었다.기실공원의발단이1832년영국런던의콜레라대유행과연관이클정도로공원과건강은한몸이나다름없다.공원에서산책과달리기등운동을통한시민의건강뿐아니라,맑은공기와생태계조절등도시의건강까지연관되기때문이다.이런건강측면으로요즘공원에서유의미한움직임이라면‘맨발걷기붐’과‘야외체육시설의진화’가손꼽힌다. 점점흙이없는도시가되니외려흙길을찾는것인지,맨발걷기는현재공원에서가장핫한이슈다.어찌보면건강의영역을벗어나신화의영역에다다를정도.거친산길을맨발로걷는건기행에가까웠는데,2006년대전계족산황톳길(14㎞)을시작으로2020년서울양천구안양천황톳길(570m)과강남구양재천황톳길(600m)조성등을통해맨발걷기용흙길이공원제도권으로진입했다.물론맨발공원으로불리던지압보도도있었다.밀레니엄전후로주요공원마다자갈,사고석등의재질로지압로가조성돼선풍적인기를끌었고현재도일부남아있지만,이젠이용률이극히저조해지며사라져간다.영원히변하지않을것같은공원도개별시설마다끊임없이경쟁하고흥망성쇠를겪는걸보여주는대표적사례다. 공원으로진출한황톳길에서수년간경험이쌓이고민간단체가태동하고몇몇언론보도를통해맨발걷기의장점이증폭되는과정을거치며,2022년부터는공원내흙길조성요구가본격적으로대두됐다.작년부터양천구는현황조사를거쳐총20개소3.7㎞의맨발흙길기본계획을수립·추진중이고,전국주요공원마다황톳길등맨발흙길조성이쇄도한다.신규조성뿐아니라자연발생적으로활성화된공원내흙길을정비하는방식도활발하고,시설측면에서도황톳길과마사토길,건식흙길과습식흙길로의분화와배수를위한황토배합비조절,이용편의를위한세족장,신발장,비닐하우스,방수포설치등다방면으로진화중이다. 건강측면에서요즘공원의또다른이슈는야외체육시설의진화다.2000년대초반공원에처음도입된야외체육시설은종목확대와내구성·디자인개선수준에머무르다,팬데믹을거치며폭발적으로진화했다.초기집합금지와거리두기로인해인기를끌며공스장(공원+헬스장),산스장(산+헬스장)같은유행어를만들더니,팬데믹이지속되며높아진수요는난이도높은근력운동과맨손복합운동기구로는물론,난이도낮은어르신을위한감각운동기구로까지확대시켰다.비가림시설과조합해일상성도높였고에너지생성까지스마트하게뻗어나가면서,상대적으로배제되었던청년과여성까지폭넓게포용하는중이다. 두번째주제인‘친구’로넘어가기전에소개하고픈중첩된사례가도심공원과거리에서자주만나는러닝크루(RunningCrew)다.주로평일이나일요일저녁,젊은직장인이나학생그룹이깔끔한복장으로줄지어달린다.건강을챙기면서도느슨한팀워크를구축해안전성과참여도를높이는데,볼때마다흐뭇하다.이런낮은단계의관계망은‘혼자’를강조했던팬데믹을거친이후도시에서자주볼수있는트렌드이기도하다. ‘친구’라표현했지만‘관계’로해석하는것이조금더정확할것이다.공원은혼자찾는사람도많고또그만큼다양한관계망이동반되기도한다.가족이나연인과피크닉을위해찾는경우도,친구와함께운동을즐기는경우도,반려견등반려동물과동반하는경우도있다.특히전국에600만명(命)정도로추산되는반려견은요즘공원의주이용객으로서큰변화를이끈다. 2004년최초로서울능동어린이대공원에반려견놀이터가생긴후,여러노력에도불구하고번번이지역주민들의완강한반대를넘어서지못한경우가많았다.하나인구4명에1명꼴,약1300만명까지반려인구가늘면서상황은역전됐다.특히팬데믹을지나며반려동물입양률이연간20%가까이증가하니,반대목소리를드높이시던어르신들의데시벨이크게낮아졌다.현재서울시공원내에만반려견놀이터23개가운영중이며,그중양천구도7개로30%를차지한다.특히,내달양천구목동IC남측녹지대에개장하는‘목동반려숲’은녹지공간전체를반려견테마로꾸몄다.앞으로모든공원에다양한형식의반려견놀이터가도입될뿐아니라,교육기관,보호소,보건소,캠핑장등반려동물테마시설도확대될것이다. 반려동물뿐인가?팬데믹은반려식물에대한관심도키웠다.즉각적반응이특징인반려견과스마트폰에대응하는‘느린관계맺기’다.집에서의반려식물은공원에서의텃밭과정원으로확장되는데,모두가드닝의영역이다.요즘공원에서식물관련최대이슈는‘정원’으로,전국적인정원도시트렌드와맞물리며도시의공원과거리를다채로운정원으로바꾸는중이다.서울시는작년5월정원도시선언에이어올해봄에만1000개의매력정원을조성한다고발표했다.양천구도도시곳곳에25개의매력정원을일구는상황.우리는왜이렇게공원과거리에정원을만들려노력할까?정원이갖는아름다움과계절감과색과향기와질감의매력도그이유겠지만,근본적으로는복잡한도시속에서인간이자연과더밀착된관계를맺고싶은욕망일것이다.그런측면에선모두‘반려’식물인셈.집에서의반려식물도공원내정원의확산도불안하고외로운도시의삶에대한대응이며,이노력들로인해공원과거리는더많은가드너들이함께가드닝하는정원도시로향해있다. 반려동물·반려식물에서확장된생태적관계망또한중요하다.기후위기의신호로받아들이는꿀벌의실종등작은곤충류의생멸(生滅)부터숲에서마주치는너구리,강에서살아가는새와물고기와수달까지서로연결되며큰위기에함께대응한다.공원에서생물다양성에진력해야하는이유다.최근몇년새시민과학자들의노력으로안양천철새보호구역에새들이조금씩늘어나는결과를얻었다.지속적인조사데이터를바탕으로겨울철공사자제나갈대군락지관리등에목소리를내주신덕분이다.올해부턴양천구에서활동하는자원봉사자‘에코친구’도함께참여한다.결국공원을중심으로사람과사람뿐아니라도시와자연까지서로함께‘관계’맺음으로써우리도도시도지구도더안전해진다. 해방과한국전쟁이후70여년간경제발전과민주주의라는목표를향해모든분야마다부지런히달려왔지만,세계최고의자살률과세계최저의출산율을성적표로받았다.물론괄목할만한경제성장을거뒀고민주주의도지속적으로향상시켜왔지만,결국우리사회는자식을가지길거부하는또스스로삶을소거하는마음이가장강한나라가된셈이다.출산율의추락은젊은세대가불암감에휩싸여미래를비관하는것이고자살률의상승은어르신세대가외로움에휩싸여현재를비관하는것으로분석할수도있겠지만,결국생명의관점에선가장본능적욕구인생존과번식을선택적으로포기하는‘불임사회’에돌입했고또돌진해갈태세인셈이다. 도시는더심각하다.2023년우리나라합계출산율0.72명에비해서울은0.55명수준이다.도시에사는젊은세대들이도시에서의삶을,도시의미래를더비관적으로본다는얘기다.불안감과외로움이지배하는불임사회의이엄중한현실에대해도시와공원과시민은어떻게대응해야할까?큰틀에서는포용도시일것이고자연에대해서는생태도시일것이며공공공간과개인의영역에선정원도시일것이다.건강하게서로관계맺고진화를통해위기에대응하는것이요즘공원에요구되는핵심과제다. 온수진양천구청공원녹지과장/공원주의자저자
  • 환경과조경 2024년 5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정복
  • 공원주의자